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방문작업치료 중재를 실시한 무작위대조군실험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완호,황수빈,광태,최원석,김종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2

        목적 : 본 연구는 가정방문작업치료 중재 중 무작위대조군실험연구를 중심으로 가정방문작업치료의 대상 자, 평가도구, 중재기간 및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문헌선택과정은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방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Medline, CINAHL, EMbase를 이용하였 다. 비뚤림 위험 평가도구로 문헌의 질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선별된 가정방문작업치료 무작위대조 군실험연구의 문헌 수는 총 8편이었다. 결과 : 가정방문작업치료 중재를 실시한 무작위대조군실험연구의 대상자는 뇌졸중, 치매, 노인이 각각 2편 이었으며, 척수손상과 외상성뇌손상 환자가 1편으로 조사되었다. 가정방문작업치료의 기간은 평균 10주, 횟수는 평균 7회로 조사되었다. 사용된 평가도구는 영역별로 운동기능 5편, 낙상 4편, 일상생활활동 2 편, 보호자의 부담 2편, 우울증, 욕창, 삶의 질에 대한 평가가 각각 1편씩 조사되었다. 가정방문작업치료 의 효과는 운동기능 향상, 일상생활활동 증진, 낙상예방, 우울증상 및 보호자 부담의 감소 등 다양하게 보고되었다. 결론 : 해외의 가정방문작업치료의 체계적인 중재와 연구방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가정방문작업 치료의 질적 및 양적 향상을 위해 제도적 틀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가정방문작업치료의 중재전 략을 세우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제도적 도입의 근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duration of intervention, outcome measurements, and subjects of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with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e literature selection process was conducted through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PRISMA) method. The databases were collected using Pubmed, Medline, CINAHL, and EMbase. The quality of the literature was assessed using a bias risk assessment tool. Finally, 8 RCTs studies were selected for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Results: Among the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that conducted interventions on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there were two papers each for stroke, dementia, elderly person and one for spinal cord injury and traumatic brain injury. The average duration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was 10 weeks, and the average number of visits was seven. Five outcome measurements were used for the motor function, four for falls, two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two for care giver burden, and one for depression, pressure ulcer, and quality of life. The various effects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were reported as improvements in motor functional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revention of falls, and a reduction of the depression symptoms and care giver burden. Conclusions: The systematic intervention and research methods of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abroad are being conducted, and an institutional framework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not only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intervention strategy for domestic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but also as a basis for institutional evidence.

      • Poly-β(1,4)-D-glucosamine-g-polyethyleneoxide의 합성 및 물성에 관한 연구

        주상명,장광태,성용길 동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원 1995 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15 No.-

        Poly-β(1,4)-D-glucosamine derived from poly-β(1,4)-N-acetyl-D-glucosamine by treating with alkaline solution has been reported to be a promising polymer not only in the chemical field but also in biomedical area. Poly-β(1,4)-D-glucosamine used in this experiment was seen about 93 percentage of degree of deacetylation by heterogeneous alkaline soultion. Poly-β(1,4)-D-glucosamine-g-polyethyleneoxide was synthesized by homogeneous method. Various molecular weights of polyethyleneoxide as a hydrophilic and flexible spacer were introduced to Poly-β(1,4)-D-glucosamine to produce Poly-β(1,4)-D-glucosamine-g-polyethyleneoxide. The synthesized copolymers are characterized by FT-IR, elemental analysis, thermogravimetric analyzer,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수·전동 휠체어 개발을 위한 수동휠체어 간 비교 사용성 평가 :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김동완(Dong-Wan Kim),이윤환(Yun-Hwan Lee),완호(Wan-Ho Jang),광태(Kwangtae Moon),정성우(Seongwoo Jeong),김종배(Jongba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3

        본 비교 사용성 평가는 휠체어 사용자들이 지역사회에서 경험할 수 있는 지형 및 장애물이 설치된 연구 시설에서 지체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이동 보조기기에 대한 이해가 있는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었다. 수동휠체어 간 사용성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휠체어 구매 의사결정 시 영향을 미치는 사용성과 사용자에게 더 적합한 수·전동휠체어를 만들기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수·전동휠체어는 대만 K사 제품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참여자들은 3개의 시나리오, 12개의 과제로 구성된 평가 순서에 따라 개인 휠체어로 1회, K사 수·전동휠체어로 1회 총 2회 코스를 주행하였다. 주행 결과 한 명의 참여자는 K사 제품으로 주행 시 1회 오류를 범하였다. 과제 소요 시간과 RPE(Borg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Scale), DRS(Difficulty Rating Scale)를 통해 두 제품을 비교한 결과 K사 제품은 시간의 효율은 떨어졌지만(+0.2초), 노력의 정도(-2.38점)와 어려움의 정도(+1.24점)는 효율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만족도는 ARS(Acceptability Rating Scale)의 비교를 통해 K사 제품이 더 수용할 수 있는 것(+1.1점)으로 확인하였고, SUS(System Usability Scale)의 점수를 분석한 결과 K사 수ㆍ전동휠체어에 대한 전체 참여자의 사용성 및 만족도는 75.2점으로 B등급/‘Good’ 정도의 사용성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제표준을 근거하여 사용성을 정의하고, 특정 집단인 휠체어 사용 장애인들을 직접 연구에 참여시킴으로써 학술적인 의의를 높였으며, 추후 국내업체에서는 실용적인 수ㆍ전동휠체어 개발을 위해 개발과정부터 실제 사용자의 사용성을 지속해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comparative usability test was conducted by researchers with an understanding of mobility aids. Five physically disabled subjects were enrolled in research facilities having terrains and obstacles that wheelchair users experience in the community. The usability of manual wheelchairs was compared, and usability factors that affect the users wheelchair purchase decisi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pplie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manufacturing a suitable manual and power hybrid wheelchair. Participants maneuvered the wheelchairs under test conditions comprising 3 scenarios and 12 tasks.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products under assess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 comparison of the two products showed that the K product had a low driving efficiency (+0.2 seconds) but the degree of effort (-2.38 points) and difficulty (+1.24 points) were more efficient. The satisfaction was also confirmed to be more acceptable (+1.1 points) for Ks product. Analysis of the SUS (System Usability Scale) score determined that the overall usability and satisfaction of Ks manual and power wheelchair were 75.2 points, which is rated as B and Good usability.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ugmented by defining the usability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and by the direct participation of a specific group of wheelchair users. We propose the necessity for domestic companies to conduct continuous usability studies for the development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