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 초등영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요구도 연구

        임희정 ( Ihm Heejeo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4차산업혁명의 도래와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부합한 미래 초등영어 교과서에 대한 현직, 예비 영어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현직교사 30명, 예비교사 46명을 대상으로 교과서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지원기술, 교과서의 내용 측면에서 현직, 예비교사의 요구도를 조사하는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결과분석은 응답 빈도분석과 응답 평균에 대한 t 검증을 하였다. 설문은 미래 교과서의 내용과 기술, 전반적인 기능에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심층된 의견을 모으기위해 주관식 문항도 추가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미래 초등영어 교과서는 서책형과 디지털 교과서가 공존할 것이며 교과서 개발의 주체가 다양화 될 것이라는 문항에 높은 비율의 응답자들이 동의했다. 교과서 지원 기술 항목에 관한 12개의 문항에서 높은 비율의 응답자들이 각 기술요소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을 표시하였다. 특히 응답 평균이 가장 높았던 기술요소는 학습자 맞춤형 기술지원, 클라우드 시스템 활용 자료와 정보지원 부분이었다. 교과서의 내용에 관한 문항에서는 응답자들은 문화, 교과 내용 통합에 대해서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내용 요소로서 게임 활용 교과서 활동이 증가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에 대해서 다른 내용 항목에 비해 응답 비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설문 문항에는 제시되지 않은 기술, 내용 관련한 다양한 의견이 자유 응답 문항에서 확인되었으며 이 분석 결과는 양적 분석 결과를 해석하는데 활용 되었다. 또한 후속 연구로 설문 대상을 전국의 현직, 예비 초등영어 교사들에게 확대한 연구와 미래 초등영어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elementary English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of future English textbook for elementary English classes and to suggest elements of the futur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 For these purpos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46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nd 30 in-service English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contents related to the content, technology, and overall function of future textbooks. Open-ended questions were also added to gather in-depth opinions. The results of the survey revealed that more than fifty percents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that print textbooks and digital textbooks coexist in future. Most respondents agreed that futur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are media and web based. Regarding the functions of the future textbooks, the study showed that a cloud system for sharing resources, individualized and self-regulated learning assistance systems are the most preferred features of the future English textbooks. Most respondents agreed that culture and subject integrated contents should be added more. Additionally, game based activities were the least preferred contents of the future textbook. Comments of the respondents were also analyzed and tallied to investigate their attitude and need for the future textbook. This study finally suggested the direction of developing futur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futur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textbooks reflecting the needs of textbook users and enhancing the utilization of existing book-types and digital textbooks.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done to expand to mor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 KCI등재

        창의적 사고기법 활용 과업중심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의 효과

        김민정 ( Kim Minjung ),임희정 ( Ihm Heejeong ) 한국현대언어학회 2017 언어연구 Vol.32 No.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ask-based speaking lessons using creative thinking technique on students` English speaking attitudes toward speaking English. Two classes of 5<sup>th</sup>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One group took task-based speaking lessons using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The other group took normal speaking lessons. The data of pre-and post-English speaking tests and attitude surveys were analyzed. Videos of English speaking tests and speaking lessons, along with students` reviews and journal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ask-based English speaking lessons, using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speaking competence. Additionally, students` speaking skills considerably improved in terms of fluency and creativity.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had improved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and had positive thinking towards speaking English through the task-based English speaking cla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ask-based instruction should be directed to improve students` accuracy. This instructional model might be useful in teaching writing skill as well as developing learners` creativ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영어교과전담제 운영 실태 연구

        이도연 ( Lee¸ Do Yeon ),임희정 ( Ihm¸ Heejeo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어교과전담제 운영 실태, 초등학교 영어교과전담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직 초등학교 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응답 결과를 빈도 분석, 카이스퀘어 검정, 변량 분석의 통계로 분석하였다, 또한, 영어교과전담 교사의 전문성과 자질, 초등학교 영어교과전담제의 문제점, 초등학교 영어교과전담제 개선방안 등을 면밀하게 조사하기 위해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대부분의 학교에서 영어교과전담제를 운영하고 있었으며, 영어교과전담 교사 배정의 기준으로 영어전담 경력이나 영어지도 전문성을 고려하기보다 외부적 요인을 고려하여 영어전담을 배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역과 학교 규모에 따라 운영 실태가 다르고 일관적이지 않게 운영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영어교과전담제에 대한 교사 인식을 조사한 결과 영어교과전담 교사를 선호하는 이유로, 담임 업무 경감, 교재연구 시간의 단축 등의 이유를 꼽았다. 또한, 영어교과전담 교사를 선호하지 않은 이유로 자신의 영어 전문성 부족을 이유로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영어교과전담 교사 배정 문제점으로 교과 전문성을 고려하지 않은 영어교과전담 교사 배정, 교재교구 및 전용시설 부족, 일정한 배정 원칙 없이 관리자가 임의로 영어교과전담 교사를 배치함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영어교과전담제 개선을 위해 교과전담교사 배치기준의 재정립, 교과전담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지원, 영어교과전담 업무에 집중 할 수 있는 수업 지원 등이 필요하다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 영어교과전담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나아가 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밝혀진 영어 교과전담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영어교과전담 교사 배정원칙을 마련하여 초등영어 교육 현장의 발전에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English teacher system for elementary schools has been managed and to suggest improvements to develop the system.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110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respons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s of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variance analysis. In-depth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to the teach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schools have operated the English teacher system, and there was a problem in assigning English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external factors rather than considering English-only experience or English teaching expertise as a criterion for assigning teachers in charge of English subjects. It could be inferred from the results that the operating conditions were different and inconsistent depending on the region and school size. As a result of examining teachers' perceptions of the English teacher system, the reasons for preferring a dedicated teacher were the reduction of the homeroom work and the shortened study time for textbooks. The result also pointed out that the lack of English proficiency was the reason teachers did not prefer to be dedicated to the subject. Lastly, as a problem with the assignment of teachers, there was a high rate of assignment of teachers in charge of English subjects that did not consider subject specialization,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dedicated facilities, and that administrators randomly assigned teachers in charge of English subjects without a fixed assignment principle.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re-establishment of the assignment criteria for subject teachers, support for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subject teachers, and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