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장애학생의 신체기능과 적응유연성의 관계

        임혜경 ( Hye Gyeoung Lim ),박재국 ( Jae Kook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건강장애학생의 신체기능 수준, 적응유연성, 신체기능과 적응유연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적합한 지도지침 구안이나 지원방안 모색 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단순무선표집법으로 선정된 전국 31개 병원학교, 4개 화상강의시스템, 재가요양 중이면서 정기외래 진료를 받으며 순회교육을 받는 학생, 원적학교에 복귀한 건강장애학생 256명을 대상으로 ICF-CY(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Child & Youth Version)에서 제시하는 신체기능 분류체계와 적응유연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한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도출된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장애학생의 신체기능 수준은 언어·계산기능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경도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경변인별로는 학교급, 교육배치, 질병유형, 질병 이환기간의 변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둘째, 건강장애학생의 적응유연성은 전반적으로 중간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배경변인별로는 성별, 질병 발병시기, 질병 이환기간, 교육배치, 원적학교 등교유형의 변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신체기능 하위영역 간 상호 관련성은 인지기능과 감각·경험기능에서 높게 나타났고, 적응유연성 하위요인 간 상호 관련성은 가족지지와 희망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기능 하위영역과 적응유연성 하위요인 간의 상호 관련성은 심리·정서기능과 가족지지, 주의집중기능과 자아조절력, 인지기능과 자아조절력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해서 건강장애학생의 신체기능 수준에 따른 학교생활 참여와 심리적응 강화를 위한 상담프로그램과 적응유연성 강화모델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body function and resilience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and providing information needed to find ways to support them. The subjects were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N=256) who were selected by using a 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Some of them were selected from 31 nationwide hospital schools, 4 on-line learning systems, and others were outpatients of the hospital or were discharged from hospital. Body function scale was based on ICF-CY. Resilience scal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fter statistically analyzing collected data, the study confirmed some major results followed below. First, overall body function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had mild problems except language and calculation functions. Especially, the body function seemed to be affected by school grade, type of school placement, type of disease, and disease duration. Second, the overall resilience scale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was lower than average. Especially, the resilience scale seemed to be affected by gender, time of onset, disease duration, type of school placement, and type of school attendance. Third, there was clos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s and language & calculation functions. Also, there was clos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nd hope. Futhermore,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between psycho-motor & emotional functions and family support, focus attention functions and self-control, and cognitive functions and self-control.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programs and reinforcement models so that the study could help students to properly adjust to school life according to student``s body function characteristics.

      • KCI등재

        중도 지적장애인의 다면적 평가를 위한 포괄형 ICF Core Set 개발

        임혜경(Lim, Hye-Gyeoung),이연재(Lee, Yeonja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 지적장애인의 건강과 생활전반에 걸친 다면적 평가를 실시하여 다학문적 차원의 팀 접근 시 활용할 수 있는 포괄형 ICF Core Set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중도 지적장애인의 교육과 복지와 관련 있는 전문가로 총 20명이다. 연구 도구는 이연재와 임혜경(2019)의 연구에서 도출된 ICF의 신체기능, 신체구조, 활동과 참여, 환경요인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된 147항목이다. 델파이 조사는 2018년 10월부터 2019년 1월까지 약 3개월이 소요되었다. 조사 방법은 패널들의 개인 e-메일을 통해 송부하고 회신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우편을 통해 자료를 회신받기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항목별로 평균(M), 표준편차(SD), 사분위간 점수, 합의도와 수렴도, CVR을 산출하여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신체기능’, ‘활동과 참여’, ‘환경요인’의 3개 영역에 해당하는 총16장의 82항목이 최종 선정되었다. 둘째, ‘신체기능’영역에서는 총7장의 57항목에서 총5장의 23항목으로 축약되었으며, ‘신체구조’ 영역의 총2장의 11항목은 삭제되었다. 셋째, ‘활동과 참여’영역에서는 총9장의 51항목에서 총8장의 36항목으로 축약되었다. 넷째, ‘환경요인’영역에서는 총3장의 30항목에서 총3장의 23항목으로 축약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중도 지적장애인의 다면적 평가를 위하여 총76항목으로 구성된 포괄형 ICF Core Set를 개발하였다. 이는 ICF 분류체계의 1,424항목을 149항목으로 축약한데 이어 다시 82항목으로 축약함으로써 중도 지적장애인의 건강과 생활기능의 다면적 평가에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데 한층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mprehensive ICF Core Set that can be used for team access at a multidisciplinary level by conducting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the overall health and life of individual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Participants were 20 experts related to the education and welfare of individual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study used 147 extracted items, consisting of four areas(body function and structure,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environmental factors, contextual factors) of ICF by Lee and Lim (2019). Delphi survey took about three months from October 2018 to January 2019. The items of the question were sent and replied via personal e-mail from the pan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appropriateness by calculating mean (M), standard deviation (SD), quartile scores, consensus and convergence, and CVRs by each item. Results: First, 82 items corresponding to three areas of physical function, activity and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calculated. Second, in the area of physical function, 57 items to 23 items were abbreviated, and the items regarding body structure were deleted. Third, in the areas of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51 items were abbreviated to 36 items. Fourth, environmental factors abbreviated from 30 items to 23 items. Discussion and Conclusion: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ICF Core Set consisting of 82 items, was developed for the multidimensional evaluation of individual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further contribute to enhancing the usefulness of the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the health and living functions of individual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학생의 여가활동참여 실태 및 인식

        임혜경 ( Hye Gyeoung Lim ),박재국 ( Jae Kook Park ),김은라 ( Eun Ra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여가활동참여 실태를 알아보고, 여가활동참여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자는 단순무선표집방법으로 선정된 부산, 울산, 경남지역 소재 학교 중 일반학교에 통합되어 있거나 특수학교에 재적 중인 학생,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학생 110명이다. 조사지는 여가활동참여 실태는 한국 문화관광연구원(2007)이 개발한 7개 영역 총 37개 항목의 여가활동참여 유형을 토대로 본 연구 목적에 알맞게 수정·보완하여 6개 영역 총 15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여가활동참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여가인지는 Witt와 Ellis(1987)가 개발하고 원형중(1989)이 번안 및 표준화 작업을 하였으며, 이정법(2012)이 활용하여 신뢰도가 확보된 도구를 본 연구에 알맞게 수정·보완하여 4개 영역 총 1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3년 10월부터 2014년 1월까지 약 3개월이 소요되었으며, 초기 180부를 배포하여 115부를 회수(회수율, 64%)하였고, 110부를 분석하여 얻어진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의 전체 여가활동 평균 점수는 중간보다 낮았으며, 발달장애 학생과 지체장애 학생 모두 관광활동 영역에 가장 자주 참여하고 있고, 스포츠활동 영역과 놀이·오락활동 영역에 비교적 덜 참여하고 있었다. 둘째, 배경변인별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 정도는 학교급에 따라 놀이·오락활동 영역에서 차이가 있고, 일상생활 중에 도움받는 정도에 따라 놀이·오락활동 영역, 취미·교양활동 영역, 관람·감상활동 영역에서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학생의 전체 여가인지 평균 점수는 중간보다 낮았으며, 지체장애 학생이 발달장애 학생에 비해 다소 낮았다. 넷째, 전체 장애학생이 선호하는 여가활동참여 유형으로 자전거, 수영, 체조, 운동하기가 1순위이고, 장애유형별로는 발달장애 학생은 악기연주, 노래, 댄스하기가 1순위인데 반해 지체장애 학생은 자전거, 수영, 체조, 운동하기가 1순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장애학생에게 보다 다양한 여가활동참여 기회를 제공해주기 위한 학교 현장에서의 지도가 요구된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학교-졸업 후 성인기에 접어든 전공과 학생들이 폭넓은 여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행복한 성인생활을 향유할 수 있도록 짜임새 있는 여가활동참여 프로그램 구안이 뒤따라야한다는 시사점이 제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n the leisure activ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recognition on these activ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10 students who were included in regular and special classroom or attended to specialized vocational program in a special school. To surve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n leisure activities, the modified questionnaires composed of 15 questions were used an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questionnaires composed of 16 questions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n leisure activ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low. Both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hysical disabilities joined in trip domain mainly, but rarely joined in sports and play-entertainment domains. Second,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rade and the degree of assistance. Third, the average of recognition on leisure activities was low, in particula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cognized lower tha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d. Four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eferred to join in riding bicycle, swimming and exercising. Based on these findings, supports to improve students` quality of life were offered.

      • KCI등재

        장애성인의 사회참여 수준과 인식

        임혜경 ( Hye Gyeoung Lim ),박재국 ( Jae Kook Park ),김은라 ( Eun Ra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장애성인의 사회참여 수준과 인식을 알아보고, 사회참여 수준과 인식과의 상관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자는 부산, 울산, 경남지역 소재 장애인 고용촉진공단,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센터, 장애인 종합복지관의 협조를 구해 단순무선표집방법으로 선정된 장애성인 186명이었다. 조사 도구는 WHO(2001)의 ICF 항목을 근거로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설문지를 개발한 뒤 전문가의 검토를 받았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성인의 사회참여 전체 수준은 평균보다 낮은 편이었고, 이동 영역이 사회경제생활 및 시민생활에의 참여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장애성인의 사회참여 수준은 ``일상생활 중에 도움 받는 정도``, ``장애등급``, ``월평균 수입``, ``직장유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장애성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수준이었고, ``이동`` 영역에 대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대인관계`` 영역에 대해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장애성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인식은 ``장애등급``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장애성인의 사회참여 수준과 인식과의 상관은 가정생활>시민생활>이동 영역 순으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선행연구에 비추어 논의하고 장애인 교육 및 복지 차원의 정책적,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and recognition on social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o these ends, 186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 that was based on ICF of WHO and adapted by special education exper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ctual condition on social participation was lower than the mean, and the level of movement domain was higher than that of social and economic life and civic lif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disability rating, income level, vocational condition, and sex. Third, the level of recognition on social participation was positive, particularly the level of recognition of movements domain was the highest, but interpersonal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had the lowest level. Fourth,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isability rating. Finally,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ctual condition and recogni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it needs to propose the various educational and welfare supports and political and practical alternatives.

      • KCI등재

        ICF-CY에 근거한 장애학생의 자립생활준비를 위한 활동과 참여 수행수준 분석 -학부모 인식을 중심으로-

        임혜경 ( Hye Gyeoung Lim ),박재국 ( Jae Kook Park ),김주홍 ( Joo Hong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학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장애학생의 자립생활준비를 위한 활동과 참여 수행수준을 알아보고 전환계획 수립과 그에 따른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자는 단순무선표집법으로 선정된 부산, 울산, 경남 지역 소재 초ㆍ중ㆍ고등학교 통합학급, 특수학급,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자녀 학부모 138명이다. 조사 도구는 WHO(2007)의 ICF-CY(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Child & Youth Version) 분류체계의 한 영역인 ‘활동과 참여’ 중에서 5개 하위영역에 해당하는 총 60항목을 추출하여 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13년 11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약 8개월이 소요되었으며. 초기 170부를 배포하여 143부(회수율은 84%)가 회수되었다. 분석에 적합한 자료를 취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주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장애학생의 자립생활준비를 위한 활동과 참여 수행수준은 전반적으로 경도의 어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학습과 지식의 적용능력, 운동과 이동능력, 자기관리능력 영역의 경우 경도 수준의 어려움을 갖고 있었으며, 일상적 과제수행능력, 의사소통능력 영역의 경우에는 중등도 수준의 어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장애학생의 배경변인별로 알아본 자립생활준비를 위한 활동과 참여 수행수준은 일상생활 자립정도, 건강상태, 장애유형, 학교급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립생활준비를 위한 활동과 참여 하위영역 간의 상관성은 운동과 이동능력 수준이 좋을수록 자기관리능력 수행수준이 높고, 의사소통능력이 좋을수록 학습과 지식적용능력, 일상적 과제수행능력 수행수준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장애학생의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교육정책 구안, 전환계획 프로그램 구상 및 학교-졸업후 성인기 생활로의 전이계획 입안 시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ctivity and participation level to prepare independent liv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ICF-CY to propose the direction to establish the policies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138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which is composed of 60 items based on ICF-CY`s activity and participation sub-domain; Learning and applying knowledge, General tasks and demands, Communication, Mobility and Self-ca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difficulty level of activity and participation to prepare independent liv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mild, but the difficulty level of general tasks and demands, communication was moderat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ubjects` level of independent living, health condition, type of disabilities, school level.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relationship among ICF-CY`s activity and participation sub-domain. The more mobility level is better, the more self-care level is better. Also, the more communication level is better, the more Learning and applying knowledge, General tasks and demands is better.

      • KCI등재

        학교생활만족도가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임혜경 ( Lim Hye-gyeoung ),최진혁 ( Choi Jin-hyeok ),이연재 ( Lee Yeon-ja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9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학생 128명을 목적표집법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학교생활만족도와 진로적응성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6년 3월부터 5월까지 약 3개월이 소요되었다. 초기 150부를 발송하여 136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1%), 최종 분석에는 128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생활만족도와 진로적응성 수준은 높은 편이며, 지적만족, 자아실현, 학교환경에 대한 학교생활만족도와 관심, 통제에 대한 진로적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생활만족도는 출신고교 유형에 따라, 진로적응성은 장애등급, 진로교육 및 훈련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등급이 낮고, 진로교육 및 훈련경험이 있으며,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진로적응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교우활동은 진로적응성 하위요인에 부적 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결론: 장애학생의 장애 특성을 고려한 진로교육을 수립하고 교우활동을 비롯한 학교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chool life satisfaction on career adaptability of students in special schools` majoring courses. Method: 128 students in special school`s majoring courses were recruited by purposive sampling method. School Life Satisfaction Scale and Career Adaptability Scale were modified and used based on prior resear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between March and May 2016. The total of 150 questionnaires was sent to students and 136 were received(91%). Researchers identified 128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em using SPSS 23.0. Results: First, the overall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relatively high. Also, the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on intellectual satisfaction, self-actualization and school environment and the level career adaptability on concern and control were especially high. Second, the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differed by the type of high schools they graduated. The level of career adaptation was differed by the level of disability and the experience of career education and training. Third, the level of career adaptability was higher when the student had a lower level of disability, had experienced career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ey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teachers. Fourth, the activity with friends were identified to be an influencing factor as it appears to affect the sub-factors of career adaptation negatively or positively.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we should establish career education considering students`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and explore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