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 유럽회의주의(Euroscepticism)의 근원에 관한 연구 국민주권주의와 초국가주의의 충돌을 중심으로

        임태훈 한국유럽학회 2022 유럽연구 Vol.40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ty is to demonstrate that the substance of the French Euroscepticism is the defense of national sovereignty, of which origin is the clash between national sovereignty and Supranationalism for several centuries. By analyzing that, this study aims also at suggesting a better understanding and solutions of the French Euroscepticism. The French Euroscepticism appeared to overcome negative effects of the premodern Supranationalism of Europe. It was also in order to guarantee the complete independence of sovereign states from supranational powers. In this context, France under Richelieu, Mazarin and Louis XIV fought out desperately the supranational power of the Pope and the Emperor of the Holy Roman Empire in the 17th century. During the 18th-19th centuries, the Social Contract Theory of Rousseau destroyed the legitimacy of the unelected supranational powers. And Napoleon removed definitely the Holy Roman Empire.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France under de Gaulle resisted against the European federalization based on Supranationalism. Considering this and in order to the solve the French Euroscepticism, the European integration of today should be much more democratic and show that it would be compatible with the defense of national interests and the national identity of France.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 유럽회의주의의 본질이 국민주권주의 수호이며, 프랑스 유럽회의주의의 근원이 수세기에 걸친 국민주권주의의 반(反) 초국가주의 투쟁이라는 점을 증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프랑스 유럽회의주의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프랑스의 국민주권주의는 전근대 유럽 초국가주의의 폐해를 극복하고, 초국가세력으로부터 주권국가의 완전한 자주성과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대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7세기 초반부터 프랑스는 리슐리외와 마자랭 그리고 루이 14세의 지도아래 교황과 신성로마제국 황제의 초국가적 권력과 통제에 강력히 저항하였다. 18세기에 등장한 루소의 사회계약론은 선출되지 않은 권력인 초국가주의 세력의 정통성을 부정하였다. 19세기에는 나폴레옹이 신성로마제국을 강제해체하였다.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프랑스는 드골의 지도아래 초국가적 권력을 지향하는 유럽연방주의 추진을 적극적으로 방해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고려할 때, 프랑스 유럽회의주의의 해결을 위해서는 오늘날 유럽통합이 민주성을 더욱 확보하고, 프랑스의 국익추구 및 민족성보전과 장기적으로 공존할 수 있음을 보여주어야 한다.

      • KCI등재

        상호 교란되는 해방 국민과 귀화 국민 : 장혁주의「협박」(1953)에 관하여

        임태훈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8

        이 논문은 장혁주의 「협박」(1953)을 재일조선인연맹에서 재일본조선거류민단에 이르는 재일조선인 운동사의 외전(外傳)으로 재해석함과 동시에, 재일 조선인 사회에서 ‘민족의 반역자’로 지칭됐던 이들의 정치적 복잡성을 분석한다. 이 연구를 통해 새롭게 제시하는 질문은 세 가지다. 장혁주의 자전적 캐릭터인 장광성이 받은 살해 협박장은 한글로 작성되었을까? 장광성을 추적하는 암살자는 왜 자신들의 본부에 보내야 할 전보를 장광성이 읽게 했을까? 민족을 연대의 구심점으로 내세우는 재일조선인 단체와 일본인으로 귀화한 민족 반역자 사이의 상호 교란하는 내면의 역설을 묻는다. 덧붙여 재일조선인 운동사의 전개와 구도를 잘못 읽을 수밖에 없는 「협박」 번역본의 문제점을 지적해 장혁주 연구 입문자들의 혼동을 줄이고자 한다.

      • KCI등재

        매일신보를 통해 본 3․1의 정치와 ‘균(菌)’, ‘음(音)’, ‘문(文)’의 상상력

        임태훈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2

        The study analyzes the mechanism that the collective imagination and the diffusion of discourse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us diseases and disturbance are diverted to the political assets of colonial power, focusing on articles reported in the Maeil Shinbo between 1918 and 1920. Governing power requires an enemy. A task important as much as fighting with an enemy and actually winning is to create ourselves with strong power that can attack anything. Maeil Shinbo was the media of the empire that spread its symbol and discourse. March first Movement and the outbreak of infectious diseases were also a crisis and an opportunity. the collective imagination and the diffusion of discourse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us diseases and disturbance are diverted to the political assets of colonial power. If the disturbance was temporary crisis, the epidemic was recurring regularly so that it was a meaningful network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entire social spectrum of society. Disinfection is definitely a matter of defining the state of “social stability” Thus, beyond sterilization and admiral, the comprehensive measures to take issue with the political purity of ‘the sound’ and ‘the Writing’. As “state of exception” easy to rule and mobilization, there was nothing useful more than infectious disease to justify the operation of the colony. The study sought to trace the concept of “infectious disease,”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an inhuman person replaced to political assets through Maeil Shinbo. The fear of infectious diseases was not just unique to Korean. An infectious disease as the fundamental fear to shrink everyone regardless of nationality, class, gender or age and the fear of the nature was mobilized as a powerful medium that unites members in the country. It is hard to find literary works of the time which have described the immunologic crisis and the dynamics of politics during March first Movement better than Meail Shinbo. Even the few novels could explain just the mood. But compared to the novel, the pages in Maeil Shinbo from 1918 to 1920 clearly show the correlation between infectious diseases and politics. In the midst of infectious disease happened for several months and persistent crisis, Maeil Shinbo was a media that made the imagination of a activated or contracted particular code circuitry. 이 연구는 1918년에서 1920년 사이에 매일신보(每日申報)에 보도된 기사를 중심으로, 전염병과 소요 사태의 관계를 둘러싼 집단적 상상력과 담론 확산력이 식민 권력의 정치적 자산으로 전유하는 메커니즘을 문제 삼는다. 1919년의 3․1 운동은 1918년에서 1920년 사이, 식민지 시기 전체를 통틀어 식민지 방역 시스템이 최대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전개됐다. 이 문제를 동시기 소설이 약간의 암시와 분위기를 풍기는 수준에서 다뤘던 것에 비해, 매일신보는 전염병과 정치의 상관관계를 뚜렷이 드러내 보인다. 총독부는 어떤 상황에서도 식민 권력은 지엄하게 작동된다는 것을 이 신문을 통해 표현해야 했다. 3․1 운동을 장기간 비중 있게 보도한다는 것은 식민 권력의 위기를 총독부가 자인(自認)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통치 권력의 우월성을 가장 높은 빈도로 미디어에 노출하는 작업이었다. 매일신보 지면에 표현된 ‘총독부’는 방역과 소요 진압 모두에서 전승을 거둔 승리자였다. 이를 위해 이 신문은 활성화되거나 위축되는 특정한 코드의 상상력을 회로화한 미디어가 되었다. 그 회로 위에서 구성되는 조선과 식민 권력의 상상적 표상을 균(菌), 음(音), 문(文)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 KCI등재

        규율된 여행 판타지의 60년대적 구성—김찬삼의 <世界一周無錢旅行記>(1962)를 중심으로

        임태훈 대중서사학회 2019 대중서사연구 Vol.25 No.4

        Kim Chan-sam’s <世界一周無錢旅行記> was released in 1962. This was a time when the general public was strongly restricted from traveling abroad. Most of the people lived in ‘domestic’. Low development and political upheaval continued. The readership wanted a fantasy, which came out of a desire to escape from the peninsula. So was to become more popular around the popular characters called ‘Kim Chan-sam’. Kim Chan-sam had to be a pushover to the public. This figure had to be secular and de-politicized. Above all, ideological bias had to be removed. The book’s imaginary geography is the "world as a non-communist state" with a high purity. The Cold War ideology was prevalent throughout South Korean society. Kim Chan-sam knew exactly what he could and could not tell the South Korean reader. He couldn’t tell you the reality of my readers not being able to travel abroad. Not to mention a society locked up ‘domestic’ on the Korean reality. The study analyzes Kim Chan-sam’s storytelling strategy. Looking at the meaning of the travel fantasy,agenre of the 1960s, I would like to ask why travel writing in our time is still bound by its past limitations.

      • KCI등재

        쓰레기장의 다크 에콜로지와 문학의 기록 : 난지도 소재 소설의 재발견

        임태훈 현대문학이론학회 202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2

        쓰레기 처리에 관련된 제도와 기술 일체는 집단적 기억상실증과 정신 조작의 문화 장치다. 종량제 봉투와 분리수거장, 화장실의 배수구와 정화조, 하수종말처리장과 광역 쓰레기매립장이 현대인의 사회적 신체와 정신을 구성한다. 이 연구는 쓰레기의 역사와 문학의 접점을 찾는다. 문학은 필연적으로 장소에 관한 기록이고, 온갖 시공간에 엮인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에 집중하므로, 모든 것이 쓰레기가 되어 흘러가는 세계에 어떤 강도(强度)로든 반복적으로 반응한다. 쓰레기로부터 결코 도망칠 수 없는 장소에서 이 문제는 한층 비판적으로 인식된다. 이연구에선 난지도에 대한 소설인 정연희의 『난지도』(1984), 유재순의 『난지도 사람들』 (1985), 황석영의 『낯익은 세상』(2011)를 중심적으로 다룬다. 크게 두 부분으로 난지도의 역사와 난지도 소재 소설을 분석한다. 난지도가 지나온 100 년의 역사를 파괴적 에너지의 경합 방식, 부서지고 망가진 뒤의 잔여들에서 전개되는 인간과 비인간의 복잡한 얽힘 관계에서 정리한다. 그리고 1978년부터 1993년까지의 난지도에선 쓰레기로 이뤄진 인공 지층 위의 삶을 재해석한다. 그들이 오염된 물을 마시는 방법, 쓰레기 퇴적층의 밀도와 강도를 관리하고, 발밑에서 뿜어나오는 가연성 가스와 화재에 대응하는 방식을 주목하며, 물, 바람, 공기, 흙, 풀, 벌레의 생태를 한데 엮어 사유하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본 연구는 ‘쓰레기장의 다크 에콜로지’라고 부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