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n Sensibility Evaluation for Smartphone Camera Photography Based on Text Mining

        Min Chul Cha(차민철),Cherin Lim(임채린),Jae Moon Sim(심재문),Da Yeong Kim(김다영),Yong Gu Ji(지용구)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representative emotional vocabulary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sensibility of photographs taken by a smartphone camera through text mining. Background: Recently, users have been actively socializing, cultivating, and expressing themselves in digital cities, such as a metaverse, where the reality is merged with virtual spaces. User sensibility in these digital cities is generated by the virtual image rendered through the user’s smartphone camera, and users intend to express themselves through such an image. The sensibilities pursued by users in social media spaces such as Instagram are assumed to be analogous to those pursued in the digital world.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sensibility of images uploaded on SNS platforms, which are in essence, photographs produced by smartphone cameras. However, research regarding the sensibility pursued by users in relation to photographs taken by smartphone cameras is currently insufficient. Based on the fact that smartphone users actively share user experiences online, this study intends to obtain meaningful information in terms of emotion by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s to unstructured text data (comments, posts, etc.) posted by users regarding smartphone camera photography. Method: In order to examine the Voice of the Customer (VoC), a total of 7049 posts and comments uploaded online were collected through web crawling. Text mining was performed on the accumulated data to extract adjectives or adverbs that could be utilized as emotional vocabulary. By evaluating the aptness of each vocabulary, and grouping synonymous vocabulary, the research group selected major emotional words. Through factor analysis, the most representative emotional vocabulary were finally extracted. Results: A total of 321 adjectives and adverbs were extracted through text mining, which was then reduced to 14 words through the evaluation of adequacy proceeded by the researchers. In the final stage, the emotional vocabulary were classified into four representative sensibilities through factor analysis: ‘strong’, ‘soft’, ‘vivid’, and ‘trendy’. Conclusion: By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s and factor analysis, the study derived the main sensibilities that users consider when taking and viewing smartphone camera photographs. Application: The emotional vocabulary extracted from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be useful in evaluating the sensibility of photographs taken by smartphone cameras, and exploring the sensibility of photographs pursued by users.

      • 텍스트 마이닝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 사진의 감성평가 연구

        차민철(Min Chul Cha),임채린(Cherin Lim),심재문(Jae Moon Sim),김다영(Da Yeong Kim),지용구(Yong Gu Ji)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에 대한 감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감성 어휘를 추출하는데 있다. Background: 최근 사용자들이 메타버스와 같이 현실과 가상공간이 융합된 디지털 도시에서 자아를 가꾸고 표현하는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시에서의 사용자 감성은 카메라를 통해 구현된 가상의 이미지에 의해 발생하며, 사용자는 이러한 이미지로 자신을 표현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에서 추구하는 감성이 곧 디지털 세계에서의 감성 중 하나일 것이며, 사용자가 SNS에 업로드하는 이미지, 즉 스마트폰 카메라의 사진을 통해 이러한 감성을 평가하려 한다. 그러나, 스마트폰 카메라와 관련하여 사용자들이 추구하는 촬영 결과물의 감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온라인에서 사용자 경험을 공유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스마트폰 카메라의 사진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게시한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 (댓글, 포스트 등)에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감성적 측면에서 의미있는 정보를 얻고자 한다. Method: Voice of the Customer(VoC)를 탐색하고자 온라인 공간에 게시된 본문과 댓글 총 7049건을 수집하였다.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수행하여 형용사 및 부사 형태의 감성 어휘를 추출하였다. 이후 연구진이 어휘들의 적합성을 평가하였으며, 유사한 의미를 지닌 어휘들을 그룹핑하여 주요 감성 어휘들을 선별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대표 감성 어휘들을 최종적으로 추출하였다. Results: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형용사 및 부사 형태의 감성 어휘가 321개 추출되었으며, 이는 연구진의 적합성 평가를 통해 14개의 감성 어휘로 축소되었다. 요인분석을 통해 해당 감성 어휘들은 최종적으로 ‘강렬한’, ‘부드러운’, ‘생생한’, ‘세련된’ 4개의 대표감성으로 분류되었다. Conclusion: 텍스트 마이닝 및 요인분석을 통해 스마트폰 카메라 사진을 감상할 때 사용자들이 고려하는 주요 감성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Application: 본 연구를 통해 추출된 감성 어휘는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의 감성을 평가하고 사용자들이 추구하는 사진의 감성을 탐색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Driver’s Preference to Driving Styles of Automated Vehicles

        Seong Yong Bae(배성용),Gui Young Kim(김귀영),Cherin Lim(임채린),Seul Chan Lee(이슬찬)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drivers towards driving styles of automated vehicles (AVs). Background: It is expected that AVs will change the future driving journey. In the context of AV, the primary focus changes from driving to user experience in the vehicle. As the automated driving system will take the role of driving tasks, how they control the vehicle is important to build user experience in a driving journey. Method: Subjective preferences to a different type of AV’s driving styles (aggressive and defensive) were investiga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their preference for different driving styles of AVs in nineteen driving situation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eople prefer defensive driving styles of AVs regardless of their own driving styles.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showed conservative attitudes towards AV’s driving. This result may come from the perception of the current level of automated driving systems. It should be investigated further considering various driving situations. Applicati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sign of driving styles of AV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