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전선 : 사학분쟁조정위원회의 위헌성과 그 개편방향

        임재홍 ( Chae Hong Lim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1 민주법학 Vol.0 No.46

        이 글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현행 사립학교법상 사학분쟁조정위원회의 위헌성을 검토하는 작업이고(2), 다른 하나는 사학분쟁의 조정 특히 임시이사의 임면과 임시이사 파견 사립학교의 정상화 즉 정이사 선임의 권한을 누가 행사할 수 있도록 할 것인지의 문제로서 행정형 시스템과 사법형 시스템을 소개하는 부분이다(3). 현행 사립학교법은 학교법인에 대한 통제방법으로 행정형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럼에도 임시이사의 임면과 임시이사 파견 사립학교의 정이사 선임권은 사학분쟁조정위원회라는 별도의 합의제 의결기관에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사학분쟁조정위원회는 공법이나 사회법의 논리를 등한시하고 민사법의 논리를 들어 정이사 선임원칙을 정하고 이에 따라 정이사를 선임함으로써 헌법이 예정하고 있는 학교의 공공성원리에 정면으로 반하는 위헌적인 결론을 내고 있다. 따라서 위헌적인 사분위의 결정을 무효화하고 사립학교법 개정을 위한 재논의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사법형보다는 관할청인 교육과학기술부가 권한을 갖는 행정형 시스템을 기본 축으로 하되 의결기구인 사분위를 폐지하고, 자문기구로서 학교법인이사선임위원회를 신설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개선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revised Private School Act of 2007 introduced the Private School Dispute Resolution Committee(PSDRC). The legal status of the PSDRC appointed by the recommendation of the Parliament, President and the Supreme Court, is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committee, a decision making agency. The task of the PSDRC is the nomination of board trustees from a temporary status to a permanent one at private schools. In Korea, if a board trustees of a private school fails to fill a vacancy in the directorate, and therefore, is deemed incapable of running the school properl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an dispatch Government nominated (Temporary) trustees to form a temporary board trustees and run the school. For the normative normalization it is important that the man who is willing to nurture sound citizens and realizes the ideology of hongikingan (meaning "broadly benefiting all-mankind") should become the new director of the school foundation. But the PSDRC set Criteria which gives former trustees the right to run a school regardless of whether a resolution of disputes between parties has been reached or not. In order to justify its stance, the PSDRC wrongly applied and distorted the Sangji University case(2006Da19504, May 17, 2007). The fact that the PSDRC could apply such standards and normalization principle is attributable to a lack of regulations governing private school board trustees` normalization. So the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 Act to improve the public character of the private school, is necessary. Persons with high ethical standards and credibility, who are capable of running the school within the spirit of educational laws and school missions, should be nominated as permanent trustees. As such, a normalization of private institutions and the standards thereof, and qualifications of trustees should be legislated into the Private School Act as specifically as possible. Now we must re-start education reform to promote the basic rights of students, the independence of the schools and university autonom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박근혜정부의 대학정책에 대한 비평

        임재홍 ( Lim Chae-hong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7 민주법학 Vol.0 No.65

        고(故) 고현철 교수의 죽음으로 표출된 대학의 저항과 이화여대 사태에서 보이는 대학과 국가권력의 더러운 유착은 박근혜 정부 고등교육정책의 양면을 보여준 사건이다. 이런 현상은 국가가 대학을 권력에 종속시키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국가가 대학에 대하여 우월적 지위를 확보한 것은 지난 20여 년 간 시행된 극단적 신자유주의 고등교육정책에 그 원인이 있다. 우리나라가 신자유주의 고등교육정책을 수용함에 따라 대학설립자유화정책, 대학자율화정책, 인위적 경쟁강요정책 등이 시행되었다. 이런 시장화 정책들은 대학의 저항도 있었지만 잘못된 상황 판단으로 실패하고 정착되지 못했다. 오히려 심각한 부작용만을 양산했다. 박근혜 정부는 이런 부작용을 치유하기보다는 심화시키는 정책을 구사했다. 억압적이고 권력적인 정책으로 인해 대학의 자치와 자율은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 2013년 10월 1일에 발표된 ‘고등교육 종합발전 방안’은 사립대학 위주의 고등교육체제를 정당화하고 있다. 국립대학에 대한 정책은 이전 정부보다 더 극단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유 없이 총장후보자를 임용하지도 않아 공백상태를 초래하는가 하면 2순위 후보자를 임명하여 대학 갈등을 야기하였다. 고(故)고현철 교수의 죽음을 불사한 저항은 이런 국가정책에 대한 항거이었다. 사립대학에 대해서는 규제완화가 진행되었다. 대학 전반을 상대로 진행된 대학구조개혁목적의 평가는 대학을 권력에 줄세우는 작태를 보여주었다. 권력에 종속된 대학은 지식과 양심을 팔아넘기고 입시부정도 마다하지 않았다. 정권교체로 들어선 문재인 정부는 이런 부정적인 현상들을 교정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intended to analyze higher education reform policies of Park Geun-hye government. They are commonly characterized by ‘marketization’ and ‘inter-university competition through evaluat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Ministry of Education(MOE) emphasized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olicy through evaluat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ut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olicy concentrates on downsizing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Korean higher education system had been expanded in a way of minimizing public higher educational finance and depending on private universities and student tuition. On this structural condition,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olicy might cause financial loss. So a state finance-dependent structural reform policy was inevitable. But governmental financial aid was embedded in area of explicit political conflict, and politicized. Suspicions that Ewha Womans University has offered preferential treatment to the daughter of President Park Geun-hye's aide, Choi Soon-sil are substantiated. Judges handed down a two year imprisonment sentence to the former Ewha Womans University President Choi Kyung-hee. This scandal was the result of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olicy through evaluation. Now we point out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spend more on public education. And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our Constitution grants academic freedom to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that is, colleges and universities). Since individual academic freedom is a consequence of institutional academic freedom.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사회의 법과 인권, 민주주의: 이명박 정부 5년에 대한 평가 ; 이명박 정부 교육정책에 대한 평가와 과제 -신자유주의 고등교육정책을 중심으로-

        임재홍 ( Chae Hong Lim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2 민주법학 Vol.0 No.50

        국립대학인 서울대학교의 법인화를 내용으로 하는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반값 등록금을 요구하는 촛불시위는 이명박 정부의 고등교육정책과 그에 대한 대중의 저항을 잘 보여주는 부분이다. 국립대학의 법인화정책을 포함한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은 신자유주의 경쟁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명박 후보의 교육공약 중 특징적인 것은 ‘취업후 학자금 상환제’ 정도이다. 그러나 이 역시 학생들의 등록금 부담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많다는 것이 드러나고 있다. 이를 제외하면 이명박 정부의 고등교육정책은 김대중 정부나 노무현 정부와 크게 다를 것이 없다. 즉 국립대자율화조치로서 법인화정책, 사립대자율화정책과 부실 사립대 퇴출정책을 그대로 승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교과부가 추진하는 국립대 법인화정책과 사립대 구조조정정책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이를 통해 법인화정책은 국립대를 사립대학으로 만드는 공교육 포기 정책이고, 사립대 자율화정책은 사립대학에 대해서는 더 많은 자유와 특권을 보장하려는 정책으로 공적 관리의 포기 정책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신자유주의정책에 대한 대중적 저항을 기반으로 공교육을 강화하는 정책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그 출발점은 고등교육비의 국가부담이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국공립대학 위주의 고등교육 설계 방안으로 ‘정부책임형 사립대학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In this Paper, I intended to analyze a series of new higher education reform policies of Lee Myung-bak government. They are commonly characterized by ``marketization`` and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higher education. The ``marketization`` was an extensive introduction of competition mechanism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and ``University autonomy and accountability`` was privatization. Public education system will be threatened if higher education services are included in neo-liberalistic moves. The right to get a good education becomes more and more a question of mone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emphasized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21st century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s. But in my opinion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y did not justify the new higher education reform policies. Becaus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n the national level does not become the goal of public higher education. We want an education system for people, not for profits, which has been shown at a series of student demonstrations such as “tonsure protests” by university students. This also brought criticisms from the opposition, the Democratic Party. In Korea students have to pay tuitions and fees to colleges or universities. Pay increases have caused chronic controversy. Household spending on higher education has been rising inexorably over the past few years, aside from a temporary dip during the financial crisis. Significant progress is necessary in the restructuring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Korean higher education shows several distinctive features when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First of all, the majority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re private. About 87%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re private. About 78% of university students and 96% of professional school students enrolls in private institutions. As private institutions rely heavily on tuition revenue, their fees are considerably high. Even public universities in Korea charge substantial tuition, because governmental support for higher education in Korea is too small. Public financial expenditures on higher education as a percentage of GDP are very low at 0.3%. The net result is that the household sector bears the bulk of the financial burden for higher education. The proportion of governmental subsidies was limited to 22.3%, much lower than the OECD average(68.9%)(Education at a Glance 2011). Partly the rapid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supply has started to exceed the demand. In spite of the outward goal i. e., strengthening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the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Science And Technology has focused on shutdown of private institutions. The government has launched a campaign to restructure universities by weeding out financially-week private schools and merging state-run ones. The government`s move to weed out underperforming schools is tied to its tuition-cut drive. Korea needs to reform the universities with reviewing ways to lower tuition. But the proper way of higher education reform should begin to subsidiz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e government needs to increase financial subsidy rather than weeding out substandard schools to upgrade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Korea`s public education spending per student was lower than the average of other OECD member state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s 2011 edition of Education at a Glance. Under purchasing power parity(PPP), the conversion index used to compare price levels for different countries, Korea`s public education spending per student stood at $9,081 for higher education schools, lower than the OECD average of $13,717. The government did not invest properly in higher education. We point out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spend more on public education.

      • KCI등재

        지방사립대학의 위기와 대학정책

        임재홍(Lim, Chae-hong) 한국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연구 Vol.29 No.2

        이 글은 지방사립대학의 위기상황과 이에 대한 대학정책을 다룬다. 지방사립대학은 이미 위기에 빠졌고, 이제 시급한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방대학은 지방의 고등교육 기반이자 지역경제를 유지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 즉 지역대학의 퇴출이 있게 된다면 지역사회의 활력도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지역의 회생을 위해 지역대학의 안정적 존립의 보장 방안이 필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국가의 정책적 공적 개입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개입의 방안으로 공영형 사립대학 육성과 사립대의 공립화를 통한 무상교육의 실시 방안을 제시한다. 공영형 사립대학 육성정책은 다수의 정책연구를 통해 구체화된 부분이 많고 사학혁신 지원사업이라는 형태로 변형되어 지원공고까지 진전되어 있다. 우리나라 공사립대학 간의 불균형 문제를 바로 잡을 수 있는 정책 수단으로서 의미가 있다. 반면 지방사립대학의 공립화를 통한 무상교육의 실시 등은 이제 논의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서는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다. 물론 이러한 논의 말고도 지방 대학의 육성을 위한 논의는 많다. 특히 대학균형발전을 위한 특별법의 한시적 운영이나 고등교육세 신설 등은 우리나라 고등교육 발전에 의미있는 정책대안이다. 지방대학의 육성이라는 맥락 속에서 다양한 논의를 통해 지방사립대학 정책의 흐름이 만들어지길 기대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risis situation of local private universities and university policy. Local private universities are already in crisis, and urgent policies are needed now. Local universities are the foundation of local higher education and have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local economy. In other words, if the local university is withdrawn, the vitality of the local community will also decrea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stable existence of local universities for local rehabilitation. In this context, the state"s policy and public intervention is necessary. In this article, as a means of such intervention, a plan for the promotion of government-dependent privat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free education through publicization of private universities is presented. The public-private university promotion policy has many parts that have been embodied through a number of policy studies, and has been transformed into a private school innovation support project, and has advanced support announcements. On the other hand, the implementation of free education through the publicization of local private universities needs to be discussed now. Of course, besides these discussions, there are many discussions for fostering local universities. In the context of fostering local universities, I hope that the policy flow of local private universities will be created through various discuss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