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歷史敎科書의 北方民族領土관련 敍述분석

        임상선(Lim Sangsun) 백산학회 2015 白山學報 Vol.- No.101

        중국이생각하고 있는영토문제가역사교과서에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를北方民族의領土관련 敍述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隋唐시기에 渤海는 唐의 영역내의 하나의 地方政權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臺灣이나 홍콩의 역사교과서는 당과 발해를 별개의 나라로 표시한 경우도 있다. 중국 역사교과서에서는 遼東지역이 발해가 아닌 당의 영역이었다고 표시되어 있지만, 8세기 전반 발해가 요동을 차지하게 되었다고보는 견해가 늘어나고 있다. 거란족의 遼는 태조 耶律阿保機가 건국 이후 동쪽의 발해를 멸망시킨 후 남쪽 중원지역 진출을 도모하였다. 遼, 北宋, 西夏의 형세를표시한지도에는각국이‘政權種族界線’으로 구분하고, 북방지역은 黑龍江북쪽의 외흥안령을 경계로 동쪽으로 뻗어 庫頁島북쪽 맞은편까지 뻗어있다. 여진족의 金은 遼를 멸망시키고 동북지구 전체를 점령하였다. 이후 금은 곧 北宋도 멸망시키고, 강남으로 물러난 南宋과 서로 대치하는형세를 이루었다. 양국은 결국 1141년 和議를 통하여 淮水로부터 大散關에 이르는선이 양국의국경이되었다. 금의 영역은남송의북쪽으로부터서쪽은 西夏와 접하고, 서북쪽은 斡難河의몽골종족(蒙古部) 거주지와접하고, 북방지역동쪽은 遼代와같이 외흥안령을 경계로 동쪽으로 고혈도 북쪽 맞은편에 이르렀다. 元代는 몽골족을 비롯한 邊疆民族들이 中原과 江南으로 이주하며 漢族과 잡거하며 民族融合을 이루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원조의 강역은 ‘政權部族界’ ‘行省界’로 경계를 표시하는데, 원조의 직할 영역이라 주장하는 西夏, 몽골, 雲南, 그리고 遼東을 포함한 북방지역은 ‘遼陽行省’이 있었다고 표기하고 있다. 한반도의 高麗와는 ‘정권부족계선’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것은 고려가 몽골의 하나의 ‘政權’으로 오해될 소지가 있으므로, ‘國界’로 수정되어야 한다. 중국역사교과서에서는 新疆, 西藏, 臺灣과 함께동북지역을 잠재적 領土問題가 있는 것으로기술하고 있다. Bohai(渤海) during the period of Sui(隋) and Tang(唐) is depicted as a local government in Tang’s territory. Some history textbooks of Taiwan and Hongkong, however, describe Tang and Bohai as different countries. Chinese textbook of history marks the region of Liaodung with Tang’s domain, but the points of view that Bohai had occupied Liaodong(遼東) since the first half of 8 century is now increasing. Liao(遼) aimed to advance to the south towards central districts(中原; Zhōngyuán). Liao is illustrated on the map, separated according to governments-races border line from Beisong, Xixia, and so on. Jin(金) had boundary line between Nansong from Huai shui(淮水; Huái shuǐ) to Da san guan(大散關; Dà sàn guān). And this border means Jin’s territory expanded to the south far more. Yuan(元) dynasty directly dominated northern region including Xixia, Mongol, Yunnan(雲南; Yùn nán), and Liaodong, and there were administrations called province or xingsheng(行省; Xíng shěng). In the region of northeast, it is designated that there was Liaoyang province(遼陽行省; Liáoyáng xíng shěng). Chineses textbooks of history describe that a territorial problem is latent within northeast area as well as Xinjiang(新疆; Xīnjiāng), Tibet(西藏; Xīzàng), and Taiwan(臺灣; Táiwān).

      • 관개지구 농약 유출율 추정

        진소현 ( Sohyun Jin ),윤광식 ( Kwangsik Yoon ),최우정 ( Woojung Choi ),심재한 ( Jaehan Shim ),최우영 ( Wooyoung Choi ),임상선 ( Sangsun Lim ),김상돈 ( Sangdon Kim ),최동호 ( Dongho Choi ),박지연 ( Jiyeon Park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영농활동 중 농약과 같은 인축과 환경생물에 독성을 갖는 물질이 수계환경에 노출빈도가 높은 논에 살포됨으로서 농약의 유출을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농약의 유출을 제어하고자 국외에서는 수계환경중 농약 노출농도를 예측하는 모형을 활용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라이시미터와 같은 제한적인 실험을 통해 농약의 위해성을 평가하고 있어 농약의 유출을 예측하고 평가하기 위한 모형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RICEWQ(Pesticide Runoff Model for Rice Crops) 모형을 이용하여 국내 관개지구 논 포장에서 주요 농약 5종(butachlor, chlorpyrifos-me, diazinon, isoprothiolane, oxadiazon)의 유출율을 모의발생하여 산정하였다. 유출율 산정을 위해 함평군 엄다면 소재 학야지구에 위치한 유역면적이 13.69 ha인 논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으며 수문조건 보정을 위해 필요한 강수량, 관개량, 유출량, 증발산량, 침투량을 실험지구에서 실측하였다. 관측치와 수문조건이 근접하도록 보정한 뒤 농약과 관련된 매개변수를 입력하여 구동하였고 이에 필요한 농약관련 매개변수는 현장에서 검출되는 농약의 모니터링이 어렵기 때문에 항온실험 결과를 이용하였다. 논에서 농약 이동을 모의하기위해 개발된 RICEWQ 모형을 통해 추정된 배수농도와 유량을 곱하여 농약 부하량을 산정한 뒤 유출율을 산정하였다.

      • 고추밭 토양 중 잔류농약 추정을 위한 GLEAMS 모형 적용

        진소현 ( Sohyun Jin ),윤광식 ( Kwangsik Yoon ),최우정 ( Woojung Choi ),심재한 ( Jaehan Shim ),최우영 ( Wooyoung Choi ),임상선 ( Sangsun Lim ),김상돈 ( Sangdon Kim ),최동호 ( Dongho Choi ),박지연 ( Jiyeon Park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농촌에서 생산량 증가를 위한 농약의 시용량이 급증하면서 토양에 처리된 잔류농약이 강우나 토양유실 등을 통하여 수질이나 동·식물체로 이행되기 때문에 농경지 토양의 잔류농약평가는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토양 중 잔류농약을 평가하는데 있어 GLEAMS와 같은 모형은 이미 세계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국내의 적용 사례는 찾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중 잔류농약을 추정하기 위해 고추밭에서 살포된 농약 성분을 분석하고 GLEAMS 모형을 이용하여 잔류농약을 산정하고 비교분석하여 각 농약에 적합한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고추밭 토양의 잔류농약을 실측하기 위해서 전남대학교 실험온실에서 농약 시용량 관행구와 관행의 2배구로 나누어 3반복하여 실험하였으며, 농약은 Alachlor, Cypermethrin, Fenvalerate, Endosulfan 총 4종류를 살포하였다. GLEAMS 모형에 고추밭 실험조건을 적용하여 모의발생 한 뒤 실측값과 비교하여 KOC(유기탄소흡착계수)와 같은 매개변수를 보정하였다. 각 농약별 토양중 반감기는 endosulfan(50days) >fenvalerate(35days) > cypermethrin(30days) > alachlor(15days)의 순서였고, GLEAMS 모의 발생 결과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시용량 관행구에 비해서 2배구에서 잔류농약이 많이 검출되었다. GLEAMS 모형에서도 cypermethrin을 제외하고 시용량 차이에 따른 잔류농약 효과를 잘 나타내었고 국내 토양중 잔류농약을 평가하는데 GLEAMS 모형의 적용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 SWAT 모델 논유역 적용방안

        최동호 ( Dongho Choi ),윤광식 ( Kwangsik Yoon ),정재운 ( Jaewoon Jung ),이경숙 ( Kyungsook Lee ),최우정 ( Woojung Choi ),임상선 ( Sangsun Lim ),임병진 ( Byungjin Lim ),최강원 ( Gangwon Choi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SWAT 모형은 장기 수문순환 과정을 모의하여 토양, 토지, 농업관리 등 유역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방향을 제시하고, 유역의 장기유출 및 수질 모의에 많이 이용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 현재 시행중인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기준유량 및 유역내 오염물질 거동 해석에 많은 활용이 예상된다. 논유역을 대상으로 SWAT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서 전라남도 함평군 엄다면 화양리의 논 지구를 대상으로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영농 기간동안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SWAT 모형을 구동하기 위해서 수치고도모형(DEM), 토지피복도, 토양도, 하천도를 구축하였다. 논 유역을 대상으로 SWAT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서 이앙시기, 시비시기, 관개량 등을 조사하여 입력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유출곡선지수, 유효토층, 토양침식 및 SS 모의발생을 위해 ULSE_K, 평균경사길이(SLSUBBSN), 평균경사(Slope), 경운인자 등을 조절하여 적용한 결과 2005~2010년까지 실측 유출량과 모의발생 유출량은 서로 유사하였다. 하지만 강우와 관개수에 토양이 포화되어 탈질로 대부분의 질소가 손실되며 지표수 유출손실은 작은 것으로 모의 발생되었다. 따라서 토층 깊이를 제한하여 관측치를 재현하였다. 따라서 대규모 논 유역에 SWAT모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토양 입력자료를 조정하여야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논 유출수 COD, SS, T-N, T-P 확률분포

        최동호 ( Dongho Choi ),윤광식 ( Kwangsik Yoon ),정재운 ( Jaewoon Jung ),이경숙 ( Kyungsook Lee ),최우정 ( Woojung Choi ),임상선 ( Sangsun Lim ),임병진 ( Byungjin Lim ),최강원 ( Gangwon Choi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우리나라는 수질개선하기위해서 1차 오염총량관리기간동안 BOD를 관리대상 물질로 선정하여 시행되어 왔으며, 2차 오염관리대상물질로 T-P를 선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박재홍 등(2006)은 1차 오염총량관리 기간동안 모든 수계가 동일한 관리대상물질을 선정하고 적용하는 것에 있어 유역별 오염원 및 지리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수질관리에 있어서 적절한 차별화된 대상물질의 선정도 고려되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하천 및 호소의 수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관리대상 수질항목의 분포형태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자료의 분포형태는 확률지를 사용하는 방법과 적합도 검정을 하는 방법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수질항목의 확률분포는 해석해 또는 수치해로 구성된 결정론적 모델과 연계하여 모의 결과의 불확실성 및 신뢰성 등 지표수 수질관리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논 유출수의 COD, SS, T-N, T-P의 확률 분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전라남도 함평군 엄다면 화양리 논 지구에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영농 기간동안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수질항목별 분포형태는 Kolmogorov-Smirnov(K-S) 적합도 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COD와 SS는 Normal, Log-Normal, Gamma, Weibull 분포모형에서 적합성을 보였으며, T-N의 경우 Log-Normal, Gamma, Weibull 분포모형에서 적합도를 보였으며, T-P의 경우 Log-Normal 분포에서만 적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논에서의 SS유출 관련 인자 상관성 분석

        이경숙 ( Kyoungsook Lee ),윤광식 ( Kwangsik Yoon ),정재운 ( Jaewoon Jung ),최동호 ( Dongho Choi ),최우정 ( Woojung Choi ),임상선 ( Sangsun Lim ),최강원 ( Gangwon Choi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논의 경우 벼 재배기간 중 주로 담수상태에 있고 벼가 자라면서 Canopy를 형성하여 다른 지목과는 오염물질의 유출 특성이 다르다. 다른 오염물질에 비해 순수 논에서의 SS 유출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SS 유출과 관련성이 높은 인자들 사이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SS유출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산강 수계중 하나인 전라남도 함평군에 위치한 학야지구 논 유역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장기간 모니터링한 자료를 바탕으로, SS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인 강우량, 강우강도, 강우+관개량, 관개량, 배수량과 농도 또는 부하량 사이의 상관성을 강우사상별과 영농기간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영농기간 동안의 총강우량과 SS 부하량 사이는 선형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관개량과 부하량 사이는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어 부하량은 강수량보다는 관개량과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