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ifferential anoxic expression of sugar-regulated genes reveals diverse interactions between sugar and anaerobic signaling systems in rice : 벼에서의 당 조절 유전자 발현 분석을 통한 당 및 무산소 신호정보전달 과정 간의 상호작용 연구

        임미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ual roles of sugar as a metabolic fuel and a regulatory molecule was unveiled by examining the changes in sugar signaling upon oxygen deprivation, which causes the drastic alteration in the cellular energy status. In our study, the expression of anaerobically induced genes is commonly responsive to sugar, either under the control of hexokinase or non-hexokinase mediated signaling cascades. Only sugar regulation via the hexokinase pathway was susceptible for O2 deficiency or energy deficit conditions evoked by uncoupler. Examination of sugar regulation of those genes under anaerobic conditions revealed the presence of multiple paths underlying anaerobic induction of gene expression in rice, subgrouped into three distinct types. The first of these, which was found in type-1 genes, involved neither sugar regulation nor additional anaerobic induction under anoxia, indicating that anoxic induction is a simple result from the release of sugar repression by O2-deficient conditions. In contrast, type-2 genes also showed no sugar regulation, albeit with enhanced expression under anoxia. Lastly, expression of type-3 genes is highly enhanced with sugar regulation sustained under anoxia. Intriguingly, the inhibition of the mitochondrial ATP synthesis can reproduce expression pattern of a specific set of anaerobically induced genes, implying that rice cells may sense O2 deprivation, partly via perception of the perturbed cellular energy status. Our study of interaction between sugar signaling and anaerobic conditions has revealed that sugar signaling and the cellular energy status are likel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influence anaerobic induction of gene expression in rice. 당은 대사과정에서 에너지원으로써의 작용뿐만 아니라 신호전달 물질로써 작용하는 이원적 성경을 지니며, 이 두 기능은 서로 상호작용하여 세포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의 신호 전달로써의 기능은 무산소 환경에서 세포내 에너지 수준에 의해 극명하게 변화된다. 이 연구를 통해 무산소 환경에서 유도되어지는 호흡 대사 관련 유전자들의 당 조절 현상이 hexokinase-dependent pathway를 따르는지, hexokinase-independent pathway를 따르는지를 분석하였다. 무산소 환경이나 에너지 결핍 현상 시, hexokinase에 매개되어지는 당 조절현상은 공역억제제(uncoupler)에 의해서도 재현되어진다. 유산소시 당에 의한 조절 현상을 보이던 유전자들은 무산소 환경으로 전환 시 모두 같은 패턴으로 발현하는 것이 아니라 극명히 다른 발현 양상을 보였으며, 이 발현 양상을 가지고 3가지 다른 패턴으로 나눌 수 있었다. 패턴 1 유전자의 경우, 유산소 환경에서는 당에 의한 조절 현상을 보이며, 무산소 환경에는 당에 의해 억제되던 유전자도 높이 발현되어 당 조절 현상이 사라지는데, 이것은 산소 결핍으로 인해 당 조절이 간섭을 받아 나타나는 현상이다. 패턴 2 유전자의 경우, 무산소 환경에서 산소 결핍으로 인해 독립적으로 유전자들이 높이 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당에 의한 조절현상은 사라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마지막으로, 패턴 3의 유전자들은 무산소 환경에서 당에 의한 조절 현상이 높게 보여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흥미로운 것은, ATP합성 억제제을 처리 했을 때, 무산소 환경에서 유도되어지던 유전자들의 패턴 발현이 재현되는데, 이것은 무산소를 인지하는 센서가 세포내 에너지 상태에 동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무산소 환경에서 유도되는 다양한 에너지 대사 관련 유전자들에 대한 당 발현 조절을 분석하여 세포내 에너지 수준과 당 신호전달과정의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 행동계약과 쉐도잉이 성인 중국어 입문자 발음 및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임미나 백석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행동계약과 쉐도잉이 성인 중국어 입문자 발음 및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응용행동분석전공 임 미 나 지도교수: 이 성 봉 1992년 한중 수교 이래 비약적으로 빈번해진 교류로 인해 한국에서는 중국어를 배우는 수요가 많아졌다. 많은 사람들이 중국어 듣기, 말하기, 쓰기 중에서 실질적으로 말하기 부문 중 특히, 발음 부분을 가장 어렵게 생각하며, 이 또한 실제로 많은 곳에서 필요로 하는 중요한 능력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행동계약과 쉐도잉이 성인 중국어 입문자의 발음 및 말하기 능력 및 유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 학습 경험이 없는 성인 3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28일 부터 2020년 6월 9일까지 약 2주에 걸쳐 중재를 진행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단일대상 연구설계 방법 중의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방법을 사용하여 대상자 3명의 중국어 발음과 말하기를 평가지를 통해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평가지 점수는 두 명의 중국 원어민 교사가 채점표에 근거하여 낸 점수를 취합한 평균 점수를 최종점수로 정하였다. 평가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행동계약과 쉐도잉 방법을 실시한 중재 방법은 중국어 발음 및 말하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모든 대상자의 중재 후 중국어 발음 및 말하기 부문에서 평균 점수는 대상자1은 26점, 대상자2는 32점, 대상자3은 29점 상승하였는데, 이는 기초선 단계의 점수 보다 향상된 결과다. 그리고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참여자 각각의 중재효과를 효과를 알 수 있는 PND를 활용하였고 모든 참여자는 100%로 높은 효과성을 보였다. 둘째, 행동계약과 쉐도잉 방법은 성인 중국어 입문자의 발음 및 말하기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며 대상자들의 유지 테스트 평균 점수는 각 40.5점, 48.8점, 48점으로 높은 유지률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실험이 종료된 후 대상자의 피드백에 따르면, 대상자는 학습한 단어와 구절을 적절한 상황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중국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생긴점에 있어서 향후 중국어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를 표했다. 이로부터 행동계약과 쉐도잉 방법이 성인 중국어 입문자 발음 및 말하기 실력 향상 및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진행 된 중재로서 본 결론을 일반화 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장기적으로 더 많은 참여자를 대상으로 행동계약의 효과를 살표볼 필요가 있다. 주제어 행동계약, 쉐도잉, 언어학습, 중국어, 중국어 발음 및 말하기

      • 사이버갤러리의 웹사이트 디자인에 관한 硏究

        임미나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1855

        디지털 정보화사회를 가능하게 한 인터넷의 발달은 과거에 이룩한 것들을 단기간에 이룩하여 과거에 공상과학 영화나 만화 등에서 볼 수 있었던 미래, 특히 가상공간을 통한 미술관 전시관람을 직접 우리 눈앞에 현실로 다가오게 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과연 지금과 같은 형태의 작업장, 전시장, 부대시설을 갖춘 대단위 미술관 환경이 미래에도 필요하냐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미술관에 가지 않고, 집에서 많은 예술작품을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된다면 굳이 불편한 교통에 의지해 미술관으로 향하지 않을 것이다. 현재는 대단위 규모의 전시장이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특성화된 작업 방식으로 다양하고 소규모화 된 많은 사이버 갤러리(가상 전시장)가 등장하여 인터넷상의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이 실제로 구현되고 전 세계의 많은 미술관들이 가상공간에서 이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미술 정보의 교류와 교환 그리고 미술품의 전시 및 판매를 실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공공 미술관과 화랑들도 점차적으로 인터넷상에서 사이버 갤러리를 운영하고 있는 추세이고, 작가가 개인적으로 온라인 상에서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는 사이트를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인터넷은 아직도 급속히 성장하는 단계이고 현재 구축된 사이버 갤러리도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발전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지명도가 높은 국내외 사이버 갤러리의 웹사이트 디자인 경향을 5가지의 유형으로 분석․정리하였는데 루돌프 아른하임(Rudolf Arnheim)의 게슈탈트 시각이론에서 시각적․인지적 유도요인에 의한 시각적 흐름의 방향성에 따라 인덱스형과 이미지 전달형, 타이포그래피형, 매거진형, 동화상 애니메이션형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대표적 컨텐츠구성요소인 로고, 일러스트, 텍스트, 인터페이스의 공간점유 빈도분석을 통해 사이버갤러리 웹사이트는 시각적인 요소와 그 기능적 요소, 양질의 컨텐츠가 하나로 유기적 결합을 이루게 되었을 때, 사용자가 느끼는 효용성 역시 극대화된다는 것을 보았다. 앞으로 웹사이트의 디자인적 요소들은 인간의 심리와 형태심리(Gestalt Theory)이론을 기반으로 시각적 배치(Lay out), 색채(Color), 글자(Typography), 동영상(Movie), 소리(Sound) 등 구체적인 컨텐츠 요소부분을 효율성 있게 디자인하지 않으면 사이트의 경쟁력이 상실되는 시기가 도래할 것이다. 인터넷이라는 매체(Media)특성에 맞게 발전된 웹사이트 디자인만이 지속적인 생명력을 유지하고, 사용자와의 상호커뮤니케이션 작용으로 사용자의 특성 분석과 경향(Trend)성 파악이 웹디자인에서의 컨텐츠요소 강화로 연결되어진 사이버갤러리 사이트만이 사용자에게 사이버미술관이라는 가공된 사이버공간(Cyber space)에서도 실제 미술관과 같은 감상적, 체험적 가치를 발견하게 해줄 것이다. 현재 많은 미술가들이 전 세계적으로 ‘사이버갤러리’라는 가상공간에서의 작업을 진행시키고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예술적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작가는 자신의 창작활동을 전 세계 네티즌(Netizen)을 상대로 전시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작업 및 정보를 효과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고, 정보간 흐름이 자유로와 디지털 정보사회에서의 ‘사이버갤러리’라는 예술문화 매체를 통해 네티즌(Netizen)들의 공감대․표현을 통한 소통과 학문적 가치를 가지며, 일부 소수계층 및 작가들만의 미술관이 아닌 당대의 문화를 생산, 소통, 교환하는 장소로서 사회적 확산과 대중화를 가져올 수 있는 적극적 활용을 통해 발전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 Screening and evaluation of Lactobacillus spp. tightening the intestinal barrier

        임미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The intestinal barri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nteractions between host and microbiome for nutrient absorption and immune regulation while also acting as the physical barrier preventing the transport of a variety of harmful substances from the gut to the bloodstream. Lactobacillus spp. has been researched a lot as probiotics for an alternative treatment in inflammatory gut diseases, while further sustainable evidence of their beneficial effects is required. The intestinal barrier consists of tight junction proteins such as ZO-1 and Occludin and acts as a shield against harmful bacteria while providing a suitable habitat for beneficial bacteria. Decreased barrier functionality has been shown to be a casual effect in inflammatory gut diseases. While there has been a multitude of research related to probiotics as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these diseases, further sustainable evidence of their beneficial effects is required. This study aimed to 1) screen probiotic candidates of Lactobacillus spp. isolated from Korean feces using a transepithelial/transendo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 assay, 2) evaluate their ability on tight junction proteins ZO-1 and Occludin, 3) find if supernatant or heat-killed bacteria sustained the beneficial effects as live probiotics. For their ability to induce enhancement in intestinal barrier functionality an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mechanisms underlying the beneficial effects of the probiotic candidates. A TEER assay was conducted with 21 strains of Lactobacillus spp. to screen probiotic candidates and species of L. rhamnosus were shown to increase relative TEER change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We selected 3 strains of Lactobacillus spp. (KBL363, KBL365 and KBL385) which demonstrated the most increasing effects in TEER change. Repeated TEER assa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ustainable beneficial effects on the intestinal barrier and the assay results showed that probiotic candidates sustained beneficial effects for 24 h, with the most significant tightening effects seen in the first 12 h period. In accordance to TEER results, 3 selected probiotic strains significantly increased tight junction proteins ZO-1 and Occludin. We furth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acteria culture supernatant and heat-killed bacteria on intestinal barrier functionality using the 3 selected probiotic strains. However, unlike other studies describing beneficial effects of culture supernatant, there was no significant up regulation in TEER change observed in response to treatment with culture supernatant. In contrast to supernatant treatment, heat-killed probiotic candidates increased intestinal barrier functions in TEER assay and also enhanced tight junction proteins significantly, indicating that outer membrane vesicles may play a role in the tightening effects, although clear mechanisms are not yet understood. In conclusiongeneral, this study determined 3 strains of Lactobacillus spp. with probiotic potential to increase intestinal barrier functionality and also provided a mechanical suggestion underlying which bacterial components are responsible for tightening effects in intestinal barrier.

      • 현행 중학교 미술교육을 통한 한국화 교육의 실태연구

        임미나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In Korean art education, teaching methods and art curriculum have been changed and developed depending on the western style-oriented flow. Students have naturally learned this flow of art education. Art education helps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quire emotional education in adolescence, improve skills to appreciate and express the beauty and purify their own creative ideas and emotions by providing visual and formative experience. At this point of time, Korean painting education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beauty of our tradition in a proper way. Art education should establish identity about Korean art culture by considering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n people and help students create creative and new art culture by fostering pride in our culture. The necessity of traditional art domains began to be stressed after the 4th curriculum.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each content domai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rom the 2011 art curriculum specify that 'Traditional art materials and cultural spaces must be actively used to improve interest and an understanding about traditional art.' and this shows that traditional education is still emphasized.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class of Korean paintings of traditional art. Currently, there is an absence of Korean painting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due to a lot of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facilities and teaching tools necessary for Korean painting education, the lack of class sessions of Korean painting education and the lack of textbooks and reference materials. For this reason, students feel a psychological distance from Korean paintings and lack perception and interest. For a proper Korean painting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find the causes for the non-smooth Korean painting education and alternatives and modify teaching plans by improving the learning environments and promoting effort of teachers. To solve this problem, firstly, this study adopted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extbooks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09 revised art curriculum, the history of textbooks and the definition, kinds and role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Then, the concept, background of Korean paintings and necessity of Korean painting education were considered and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11 kind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esent middle school art education, several plans were developed to make students experience Korean paintings easily and arouse their interest.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of textbooks for Korean painting education and school classes, improvement plans were devised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conditions in schools should be improved by providing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necessary for Korean painting education and installing sufficient art rooms suitable for school circumstances and related facilities including lockers to store learning materials. Second, for improving professionalism of art teachers, non-majored teachers need to try to improve Korean painting teaching capabilities and their qualities by participating in practical skill training. Third,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diverse experience and develop their cultural insight by making active use of materials of art textbooks, expression techniques and production processes of works and works of students. Moreover, they need to put effort into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and finding various teaching methods to arouse interest and encourage students to think and express creatively. Fourth,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lots of opportunities including exhibition viewing and field trip about Korean paintings and teachers need to use traditional materials and modern materials together, or apply them to daily life to improve awareness about Korean paintings. Fifth, majors in Korean paintings should be evenly employed as middle school students, since there are not a lot of teachers, who major in Korean paintings, compared to those majoring in other fields. In the present globalization age, we are making cultural exchanges with other countries, naturally. In this situation, we might be led away by the flow of globalization, if we fail to establish our own cultural identity. Teachers have to help students find values of our tradition by fostering pride in our tradition and develop proper art teaching plans to improve insight of self-identity. Moreover, teachers should boost a will to learn and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classes pleasantly by applying Korean paintings to daily life and arousing their interest. Effort of teachers is needed for education to create new culture, based on our traditional culture, rather than copying western culture. 우리나라의 미술교육은 현재 수업방식과 미술과 교육과정이 서구 지향적인 흐름에 의해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였다. 학생들은 이러한 흐름의 미술교육을 자연스럽게 습득해왔다. 미술교육은 청소년기에 정서적 교육이 필요한 중학교 학생들에게 시각적·조형적 체험을 유도하여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표현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게 도와주고 자신만의 창의적인 사고와 정서를 순화해 나아갈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시점에 학생들이 한국화 교육을 통해 우리 민족의 전통의 미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방향의 미술교육이 전개되어야 한다. 한국인이 지니고 있는 미의식을 고찰하여 한국의 미술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고, 나아가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길러줌으로써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새로운 미술문화를 창조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어야 한다. 전통 미술 영역의 필요성은 4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강조되기 시작했다. 2011 미술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의 내용 영역별 지도 목표에 의하면 ‘전통 미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전통미술 자료와 문화 공간을 적극 활용한다.’로 명시된 것과 같이 여전히 전통교육에 대해 강조가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전통미술 중에 한국화에 대한 수업을 강조해보고자 한다. 현재 학교 교육 현장에서 한국화 수업에 필요한 제반 시설 및 교구의 준비상태 부족과 한국화 수업 시수 부족, 교과서 활용 및 참고작품 부족 등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한국화에 대한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 결과 학생들은 한국화에 대해 심리적 거리를 가지고 있으며 인식 및 관심, 흥미 또한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한국화 수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려면 학습 환경의 개선 및 교사의 노력 요구 등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는 원인과 대안을 찾아서 지도방안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먼저 이론적으로 2009 개정 미술 교육과정의 특징과 교과서의 역사,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정의 및 종류와 역할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교과서의 중요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한국화의 개념과 배경 및 필요성에 대해 알아본 후 현재 중학교 미술 교과서 11종 분석을 통한 문헌연구를 하였고, 현행 중학교 미술교육의 현황을 조사하여 나온 분석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한국화를 쉽게 접할 수 있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한국화 교육의 교과서 분석 및 학교 수업 실태 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종합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화 지도에 필요한 교구 및 용구를 마련하고, 학교 실정에 맞은 넉넉한 미술실 공간 확보, 준비물 보관할 수 있는 사물함 등의 제반시설 마련하여 학교 내의 환경여건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미술교사의 전문성을 확대시키기 위해, 한국화 비전공 교사는 방학을 이용해 실기 연수기회를 통하여 한국화 지도 능력을 향상시켜 미술교사의 자질 향상에 힘쓰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미술교과서의 재료의 소개, 표현기법 및 작품 제작과정, 학생작품 등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인해 학생들의 다양한 체험을 유도하고 문화적인 안목을 갖게 함과 동시에, 교사는 학습 자료 개발에 노력을 기울여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학생들의 창의적인 사고와 표현을 가능하게 체계적인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한국화 관련 전시회 관람 및 견학 등 한국화를 접할 기회를 마련해주고, 전통재료와 함께 현대적인 재료를 다양하게 활용하거나 실생활과 접목시켜 인지도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게 수업해야 한다. 다섯째, 한국화 전공 교사가 다른 전공자에 비해 많이 없는 실정이므로, 중등교사 임용 시 전공자 비율을 골고루 분포하여 임용되게 하여야 한다. 현재 세계화 시대에 우리는 다른 나라들과 자유롭게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고유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한다면 세계화 흐름 속에 이끌려 갈 수도 있다. 교사는 학생에게 우리 것에 대한 자긍심을 길러주어 가치를 발견하게 하고, 자기정체성에 대한 통찰력을 길러 주는 바람직한 미술교육 수업을 구상해야 할 것이다. 한국화를 우리의 실생활과 접목시켜 학생들의 흥미나 관심을 끌어 학습의욕을 고취 시켜 즐겁게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어야 할 것이다. 단순히 서구 문화를 모방해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 전통 문화에 기반한 새로운 문화 창출을 위한 교육을 위해 교사들의 노력이 요구된다.

      •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긍정심리 미술치료 사례연구

        임미나 대구사이버대학교 휴먼케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긍정심리 미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동경에 거주하는 발달장애아동의 어머니로, 2019년 9월부터 2019년 11월에 걸쳐 주 2회 50분씩 총 18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자아존중감 변화는 자아존중감 척도와 KHTP를 통해서 살펴보았고 양육스트레스는 양육스트레스 척도와 PITR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회기별 관찰지를 이용하여 주제 내용에 따라 회기 및 단계별로 질적 분석하였고,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 미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 미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 미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회기 및 단계별로 살펴본 결과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자아존중감에서는 자아존중감 전체 점수와 하위요인인 자기존중,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영역의 점수가 상승되었고, 가족 간의 상호작용이 없이 경직된 모습에서 함께 즐기는 모습으로 표현하여 Maslow의 발달적 모델 3단계에서 4단계로 성장하였다. 양육스트레스에서는 양육스트레스 전체 점수와 하위요인인 부모의 고통,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점수가 감소되었고, PITR의 검사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 점수가 –13점에서 –2점으로 11점 상승되었다. 이는 긍정심리 미술치료를 통하여 내담자의 배려심이 많은 강점을 적용한 결과 낮아진 자아존중감을 회복하고, 긍정적으로 살려고 노력하는 강점을 더욱 지지하고 격려하여 양육스트레스에 긍정적 도움을 준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긍정심리 미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사례연구로서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으며, 상담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 및 경험적 사례 연구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스마트폰 푸시알림 이용에 관한 연구

        임미나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With the rapid dissemination of smart phone, the scene of cheaking smartphone notification constantly is very common phenomena of modern informatio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usage of smartphone push- notification as typical push media. First, cheak the general usage feature of smartphone push-notification, Second, investigate the usage feature based on each acceptance factors, Lastly, classified the user according to their amount of using push-notification, and find out usage pattern of each user groups. The data of smartphone push-notification is gathered by images and diary using smartphone screen capture func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52 participants(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to 30s for 2 days. In result, as the typical feature of push notification, users were permitted social notification such as messenger and SNS, whereas users were block out non-social notification such as productivity, game/multimedia. The most frequency notifications were from communication like text message, and messaenger, and the most rare notifications were from productivity and system applications. Smartphone users were consistently exposed to push notification except for sleep hours. When push notification is coming, users promptly check notification message and then access the application. Also, users have quite great opinion of push notification’s value. As for characteristics of usage based on acceptance factors, respond rate of notification and estimate value were decided on message involvement and requirement for answering. Attention level of user and social interaction are also important contextual factors to make difference for the time of checking notification. Moreover, users set their notification interface depending on value of notification and context situation. Participants divided into two groups(heavy user and light user) based on using rate of smartphones push notification. Two user groups were distinguished from notification permission, acceptance and usage pattern.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d empirical data of smartphone push-notification, which is likely to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future further studies and relevant industries regarding usage of push-notification.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과 더불어 스마트폰에서 수신되는 푸시 알림을 끊임없이 확인하는 모습은 현대 정보 사회의 일상적인 현상이 되었다. 이 연구는 스마트폰 푸시알림을 대표적인 침투 미디어 사례로 보고, 이를 수용하는 방식을 실증적 데이터를 통해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스마트폰 푸시알림 이용의 일반적 특징을 알아보고, 둘째, 스마트폰 푸시알림 수용의 요인별 특징을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푸시알림 이용량에 따라 이용자를 헤비 유저와 라이트 유저로 구분하여 이들의 푸시알림 이용행태를 살펴보았다. 20~30대 남녀 52명의 이틀간의 스마트폰 푸시알림 기록이 분석에 사용 되었으며, 푸시알림 기록은 스마트폰 스크린 캡쳐 기능을 통해 알림 이미지를 기록하고, 다이어리를 작성토록 하여 수집되었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푸시알림의 이용의 일반적 특징으로,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주로 메신저, SNS와 같은 사회적인 속성의 어플리케이션 알림을 많이 허용하고, 생산성, 게임/멀티미디어와 같은 비사회적인 속성의 어플리케이션 알림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자, 메신저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신되는 알림이 가장 많았고, 생상성,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신되는 알림이 가장 적었으며, 수면시간을 제외하고 시간대에 관계없이 푸시알림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푸시알림 수용에 있어 일반적으로 알림을 수신 즉시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알림을 확인하며, 알림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푸시알림 수용의 요인별 특징으로,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알림 메시지의 응답 필요성과 자신과의 관련성 여부에 따라 알림에 반응하고, 가치를 평가하였다. 또한 장소와 상황에 따른 주의수준의 차이와 사회적 상호작용 여부에 따라 알림을 확인하는 시간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푸시알림을 보내는 어플리케이션 알림의 가치에 따라 인터페이스의 전달강도를 다르게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푸시알림 이용량에 따라 이용자를 헤비 유저와 라이트 유저로 분류한 결과, 이용량에 따라 수신하고 있는 알림의 종류와 알림 수용에 차이가 있었으며, 알림 사용양식도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스마트폰 푸시알림 이용을 실증적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 향후 후속 연구와 관련 산업계에 알림 이용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