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편액과 시문으로 본 요월정원림(邀月亭園林)의 입지 및 조영 해석

        이현우 ( Hyun Woo Lee ),김상욱 ( Sang Wook Kim ),임근홍 ( Qin Hong Re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편액과 시문이 과거 누정원림의 고유한 입지 및 조영 특성 추론의 중요한 준거(準據)가 된다는 전제 하에, 요월정원림(邀月亭園林)을 대상으로 과거 시점의 입지 및 조영 해석을 고구(考究)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요월정원림이 갖는 의미와 문화재적 위상과 가치의 진정성 제고 및 보존의 당위성을 논의할 목적으로 시도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월정원림은 정원주 김경우(金景遇)를 비롯한 당대 거유들이 교유한 시율풍류의 현장이었다. 『조선환여승람(朝鮮煥輿勝覽)·호남읍지(湖南邑誌)·장성읍지(長城邑誌)』등 고문헌을 통해 사화(士禍)를 피해 머문 은신처로서의 성격과 함께 지역정체성을 형성한 교두보로서의 장소성이 확인되었다. 또한「요월정원운(邀月亭原韻)」을 통해 누정원림 작정(作庭) 의도 및 조영 동기를 확인한 바, 요월정원림은 세속과 탈속 그리고 현실과 이상이 뒤섞여 길항(拮抗)한 공간으로 해석된다. 둘째, 당호 요월(邀月)은 누정에서 조망했을 때의 승경적 요인 및 자연현상과 관련된 명칭으로, 마주한 ‘월봉산에 뜨는 달을 맞이함’을 함의하는 어휘로, 이는 자연의 섭리이자 풍류로서 탈속의 이미지와 맞닿아 있다. 즉 요월정은 세속의 희비를 벗어나 자연의 섭리를 따르려한 조영 의도를 반영한 당호로 해석된다. 셋째, 요월정원림의 입지는『영광속수여지승람(靈光續修輿地勝覽)』을 통해 조영자가 퇴관 후 휴식을 위해 마련한 처소였으며, 월봉산을 마주하여 황룡강(黃龍江)이 굽이쳐 흐르던 승경지였음을 고문헌과 다수의 시문을 통해 확인하였다. 특히, 수호인 인터뷰에 따르면 요월정원림에서 야경의 시지각 빈도(頻度)는 수호인 거처인 고직사에서 요월정을 향해황룡강 방향인 동쪽을 숙시각(熟視角)으로 조망했을 때가 가장 높다고 한다. 또한 시지각 강도(强度)가 가장 높고 아름다운 풍경은 요월정 좌측 배후면에서 달이 부상하여 요월정 전면(前面)의 배롱나무동산을 가로질러 요월정과 마주한 월봉산 사이에 남중한 때로 증언한 바 있다. 현재 요월정원림의 좌향은 SE 141.2°로서 거의 남동향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요월정 좌향 설정은 지형조건뿐 아니라 달의 궤적을 유상(遊賞)하기에 최적화된 방향과 시계(視界)를 확보하기 위한 기도(企圖)가 담겼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전면의 황룡강 수면 위로 남중한 달빛이 투영됨으로써, 하늘의 달과 황룡강 강물에 투영된 달이 동시에 감지되게끔 고려된 것으로 추론된다. 넷째, 현재 요월정원림은 요월정과 광산김씨문숙공파종회각(光山金氏文肅公派宗會閣) 및 고직사(庫直舍)로 구성된 ‘내원권역’과 진입부를 아우른 배롱나무동산 및 소나무 배후림이 포함된 ‘외원 권역’으로 구분된다. 나아가 ‘용소 및 수생식물원 권역’ 및 최근 조성된 ‘황룡정과 공원 권역’으로 외연(外緣)이 확산되면서 교란되고 변용되었다. 다섯째, 조영 당시 요월정원림은 누정에서 조망한 풍경을 안아 들여 누정을 중심으로 지근거리의 일정한 자연을 점유한 방식인 ‘경계 없는 산수원림’이었으나, 현재 복합경관은 과거 원형경관과는 괴리된 ‘이질화·분절화·파편화된’ 경관으로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요월정원림이 문화재지정보호구역임을 감안할 때, 편액과 기문에 묘사된 완전한 원형경관으로의 복원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원림권역에서의 경관적 악영향과 시각적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수립이 요망된다. The study attempts to interpret original location and landscape composition of Yowol-pavilion Garden under the premise that tablet and poetry are important criteria for inference of unique location and landscape composition of a pavilion garden. The study raises the meaning, status, and value of Yowol Pavilion Garden as a cultural asse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wol-pavilion Garden was a place where famous Confucius scholars in Joseon Dynasty in 16th Century, including Kim, Kyung-Woo, the owner of the garden, used to share the taste for the arts and poetries with their colleagues. Along with a main characteristic of Yowol Pavilion Garden as a hideout for the Confucius scholars who stayed away from a political turmoil, the new place characteristic of the garden, a bridgehead for the formation of regional identity, was discovered in the record of 『Joseon-Hwanyeo-Seungram·Honam-Eupji·JangSeong-Eupji』, As described in 「The first creative poetry of Yowol-pavilion」, the intention for the creation of Yowol-pavilion Garden and the motive for its landscape composition is interpreted as a space of rivalry where the world, reality and ideals are mixed up. Second, related to outstanding scenic factors and natural phenomena when taking a view from the pavilion, the name of the house ‘Yowol’, which means ‘Greeting the moon rising on the Mt. Wolbong’ is the provision of nature and taste for the arts,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mage of leaving the worldly. In other words, the name was identified to be the one that reflected the intention for landscape composition to follow the provision of nature separating from joy and sorrow of the mundane world. Third, as for the location, it was confirmed through『YeongGwang-Soksu-Yeoji-Seungram』that Yowol-pavilion Garden was a place where the person who made the pavilion prepared for relaxation after stepping down from a government post, and literature and various poetry show that it was also a place of outstanding scenic where Yellow-dragon River meandered facing Mt. Wolbong. Especially, according to an interview with a keeper, the visual perception frequency of the nightscape of Yowol-pavilion Garden is the highest when viewing by considering the east, the direction of Yellow-dragon River, as Suksigak[normal angle``s view], towards Yowel-pavilion from the keeper``s house. In addition, he said that the most beautiful landscape with high perception strength is when the moon came up from the left side of Yowol-pavilion, cuts across the Lagerstroemia india heal in front of Yowol-pavilion, and crosses the meridian between Mt. Wolbong peaks facing Yowol-pavilion. Currently, the exposure of Yowol-pavilion Garden is SE 141.2°, which is almost facing southeast. It is assumed that the exposure of Yowol-pavilion Garden was determined considering the optimized direction for appreciating the trace of the moon and the intention of securing the visibility as well as topographic conditions. Furthermore, it is presumed that the exposure of Yowol-pavilion Garden was determined so that the moon is reflected on the water of Yellow-dragon River and the moon and its reflection form a symmetry. Fourth, currently, Yowol-pavilion Garden is divided into ‘inner garden sphere’ composed of Yowol-pavilion, meeting place of the clan and administration building, and ‘outer garden sphere’ which is inclusive of entrance space, Crape Myrtle Community Garden and Pine Tree Forest in the back. Further, Yowol-pavilion Garden has been deteriorated as the edge was expanded to ‘Small lake[Yong-so] and Gardens of aquatic plants sphere’ and recently-created ‘Yellow-dragon Pavilion and park sphere’. Fifth, at the time it was first made, Yowol-pavilion Garden was borderless gardens consisting of mountains and water taking a method of occupying a specific space of nearby nature centering around pavilion by embracing landscape viewed from the pavilion, but interpreted current complex landscapes are identified to be entirely different from landscapes of the original due to ‘Different Changes’, ’Fragmentation’ and ‘Apart piece’ in many parts. Lastly, considering that Yowol-pavilion Garden belongs to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Zone, though not the restoration to the landscapes of the original described in tablet and literature record, at least taking a measure from the aspect of land use for minimizing adverse effect on landscape and visual damage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