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인 관광소비의 계급별 특징에 대한 시론(試論)

        인태정(Tae-Jeong, In) 비판사회학회 2017 경제와 사회 Vol.- No.116

        본 연구는 관광소비에서 계급분류에 기초한 계급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질적 인터뷰와 사례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관광소비에서, 관광 및 여행에 대한 개념 규정, 관광 및 여행의 가치와 의미 등의 주관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광소비자들의 주관적 의미를 파악해야만 관광소비자들의 관광 의도와 동기가 구체적인 관광행위로 어떻게 연결되는지, 그리고 다양한 관광행위들이 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관광 및 여행에 대한 주관적 의미 파악을 매개로, 객관적인 계급적인 생활처지와 계급별 관광행위의 특징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관광에 대한 주관적 의미에 대한 항목은 관광 및 여행에 대한 규정, 관광 및 여행해서 좋은 점과 느낀 점, 선호하는 여행지와 가장 인상 깊었던 여행지와 여행경험, 삶에서 여행의 가치와 비중(얼마나 중요한지, 왜 중요한지), 자녀들에게 여행의 가치와 비중(얼마나 중요한지, 왜 중요한지), 한국인의 여행행태의 부정적인 모습/앞으로 바람직한 여행 형태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 결과 첫째, 상층계급에서 중소자본가계급보다는 전문관리직계급, 중간계급에서 자영업보다는 사무기술직, 교사 등의 문화자본이 더 높은 집단이 지식추구형이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하층계급들은 대체로 I.휴식형과 II.사회적 관계형이 많이 나타났다. 둘째,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이 높은 집단들은 해외여행욕구도 강하고 특히 문화자본이 높은 전문관리직들은 자연, 풍광, 휴양 여행보다는 역사, 문화, 테마관광을 더 선호하는 편이다. 한편 하층에 속하는 기능직/작업직, 판매/서비스직 종사자들은 해외여행 경험이 전혀 없었고 국내 경험도 대체로 자연, 풍광, 휴양 여행을 선호하는 편이었다. 셋째, 상층계급으로서 중소자본가층보다 전문 관리직들이, 중간계급으로서 자영업자들보다는 사무기술직 및 교사들의 경우가 문화자본으로서 여행의 가치와 비중을 높게 두고 적극적인 지원 및 전승을 하고자 하였다. 하층계급의 경우는 자녀들의 여행경험이 필요하다고는 느끼지만 지원할 여력은 없고 다만 스스로의 힘으로 여행경험을 많이 쌓기를 바랐다. 넷째,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이 많은 집단일수록 자연, 풍광여행보다는 역사와 문화와 인간, 테마를 이해하고 음미하는 여행을 즐기고자 하며, 집단여행보다는 소수의 사람들과 자유여행을 즐기면서 현지인들과 의사소통하고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면서 상대국들과 함께 호흡하고자 하는 여행을 추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lassic character of korean tourism consumption. The study of the classic character of Korean tourism consumption examined the differences of personal concept, meaning, and value of tourism or travel, in accordance with the class differenc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focused on Pusan region. The personal and subjective meaning analysis items of tourism are as follows: 1. favorite or impressive travel destination. 2. what is tourism or travel 3. good point of tourism and feeling through tourism 4. the most impressive travel destination, 5.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ourism in his/her life, 6.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ourism in his/her children life, 7. negatives and ideal travel types of korean tourism behavior.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first, professions are more V. the type of knowledge pursuit than capitalists in the upper class, and office workers and teachers are more V. knowledge pursuit type than independent businessmen in the middle class. Sales and service works in lower classes are many I. the type of relaxation pursuit and II. the type of social relation pursuit. Second, people who have many economic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have much desire traveling abroad and Especially, professions who have many cultural capital prefer history, culture, theme tourism to nature, scene, relaxation tourism. Third, professions in the upper class, office workers and teachers in the middle class who have many cultural capital place value and importance on tourism as cultural capital and they would like to support and transmission for tourism of their children. Fourth, people who have more economic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prefer history, culture, theme tourism to nature, scene, relaxation tourism and prefer free travel to package tour.

      • KCI등재후보

        한국 근대 자본주의 전후의 시ㆍ공간 관념의 변화

        인태정(In, Tae Jeo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12 문화와 사회 Vol.13 No.-

        시간과 공간은 무한히 텅 빈 공간도 아니며 사회적 구조나 관계와 무관한 절대적이고 물리적인 것도 아니다. 시간과 공간은 사회적 생산과 재생산, 혹은 노동과 여가를 둘러싼 다중적인 사회관계들이 상호 교차되고 중첩되는 사회적 네트워크이기도 하며 사회적 실천의 산물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른 시ㆍ공간의 변화를 통해 시간과 공간이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형성의 산물임을 고찰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먼저 근대 이전의 사회에서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의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역사적으로 살펴보았는데 근데 이전의 사회에서 시간과 공간은 자연과의 합일과 공동체와의 합일 속에서 이루어졌다. 근대사회 이후에는 시ㆍ공간은 합리적으로 조직화되어가는 과정을 겪게 되었다. 즉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분리와 아울러 시간에 있어서 공적 시간과 사적 시간, 노동시간과 여가시간이 분리되어 조직되었고 공간에 있어서도 생산과 소비, 노동과 여가의 공간들이 분리되어 조직되었다. 이러한 시ㆍ공간 구조의 변화과정이 가지는 특징은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인간 활동의 구조이자 무대로서 시간과 공간은 끊임없는 정복과 확대의 과정이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둘째, 시?공간의 변화과정은 시ㆍ공간의 객체화에 따른 끊임없는 분리의 과정이자 소외의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셋째, 시?공간의 개별화과정으로서 근대 이전의 사회에서 가족 및 마을 공동체가 공유하던 시간과 공간이 점차 개인적으로 점유되는 과정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change of time and space in korean modern society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ime and space are not things among other things, nor products among other products. And Time and space are not absolute and physical, They are relative and social. In other words they subsume thing produced, and encompasses their interrelationships in their coexistence and simultaneity. Time and space before modern society had got united nature and human community. Time and space in modern society were seperated from nature and human community. Also Time and space in modern society were organized rationally. Time was divided and organized working time and resting time, the work-days and holidays. Space also divided and organized production space and reproduction space, production space and consumption space. As a result, Time and space have had three features. Firstly, it is the extension of time and space. The extension of time brings about 24-hour operation society. And The extension of space overcome regional boundary and national boundary. Secondly, it is objective process of time and space. The objective process of time and space brings about time compulsion and placelessness and in the end it brings about alienation of subject. Thirdly, it is individualization of time and space. Time and space were divided public time and space and private time and space, and people were apt to attach to private time and space.

      • KCI등재

        한국 문화관광 연구의 현황과 사회학적 시론(試論)

        인태정(In Tae-Jeong) 비판사회학회 2009 경제와 사회 Vol.- No.82

        관광 및 문화관광이 새로운 경제적 기반의 구축전략으로서 전 세계 정부 및 지방정부들의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세계적 추세와 사회적 관심에 부응하면서 한국에서도 1990년대 후반부터 문화관광이 학문적 측면에서도 주요 관심사가 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사회학계에서는 문화관광뿐만 아니라 관광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으며 주로 관광경영학에서 주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관광경영학에서는 경제적 효과, 개인의 심리적 동기나 행동성향, 또는 문화관광과 유관한 요소들과의 협소한 관련성만을 연구하는 한계를 노정하였다. 따라서 기존 관광경영학의 문화관광에 대한 연구 경향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보다 폭넓은 사회적 맥락 속에서 문화관광을 시론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한국에서 문화관광은 1990년대 들어 더욱 가속화된 세계화의 조류에 대응하기 위해서 정부가 새로운 국가 전략적 산업으로 인식하면서 육성되기 시작했다. 또한 1995년 실질적인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각 지자체들이 지방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산업으로서 문화관광 상품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한국 문화관광의 주요 주체인 정부 및 지자체가 문화관광 개발의 경제적 측면에 더 주안점을 두면서 한국의 문화관광은 외적이고 양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한편 문화관광의 양적인 성장과 더불어 문화소비 및 문화관광의 소비도 함께 증가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서비스 위주의 경제구조로의 변동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사회 전반적으로 교양적 지식의 습득 필요성과 문화소비의 증가가 이루었지만 문화관광의 소비사례를 들면 주로 교육수준이 높고 중간정도의 직업적 위계와 소득 수준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향유되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critically the existing papers of cultural tourism and to make an approach to cultural tourism sociologically. Cultural tourism is a genre of special interest tourism based on the search for and intellectual, emotional, or psychological. Several cultural forms such as museums, galleries, festival, architecture, historic ruins, artistic performances, heritage sites, and popular or folk arts routinely draw tourists. This paper discusses the 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and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status quo of cultural tourism in Korean social context.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ultural tourism in Korea has been made in the middle-late 1990s. The production of cultural tourism in Korea has been led by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who were interested in economic profits. The consumption of Cultural tourism in Korea has been enjoyed the middle classes.

      • KCI등재

        국내 이주 외국인에 대한 부산ㆍ울산ㆍ경남지역 대학생 의식조사

        인태정(In Tae-Jeong),김희재(Kim Hee-jae)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9 亞細亞硏究 Vol.52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toward foreign immigrants in Busan, Ulsan, Changwon, Masan. This study is to explain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features(gender, school year, major), the social status and value of their fathers, their values, their contact experiences of foreign culture and the attitude toward the increasing number of foreign immigrants, the students' acceptability of the culture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the attitude of foreigners in Korea.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year, values, gender factor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the increasing number of foreign immigrants. Female senior students with progressive values tend to be affirmative. Second, gender, values, speciality factors significantly effect affect students' acceptability of the culture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Female students who have progressive values and major in social science are more open. Third, values, major factor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itude of foreigners in Korea. Students who have progressive values and major in social science are more open. Based on these results we find implications that we need the contents and policies for systematic education for multi-cultural values.

      • KCI등재후보

        재미 한인의 미국과 한국사회 만족도 비교연구

        인태정(In, Tae-Jeong),오중환(Oh, Joong-Hwan) 한국문화사회학회 2012 문화와 사회 Vol.12 No.-

        본 연구는 한인들이 비교적 많이 밀집해 있는 미국의 동북부, 특히 뉴욕, 뉴저지, 보스턴 지역을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재미 한인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로 한국인 혹은 아시아인의 고유하고도 동질적인 특성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필자는 재미 한인집단이 동일하거나 동질적인 집단이 아니며 오히려 개인의 사회경제적,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 의해 다양하게 분화되어 있음을 주시하였다. 그래서 본 논문은 개인의 다양한 배경- 이주 시기 및 체재 기간, 수입, 직업, 학력-에 따라 미국과 한국의 사회적 조건에 대한 만족도의 차별적 분화상을 분석하고 그럼으로써 한인 이주민 집단 내의 이질성과 다양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과 한국사회에 대한 만족도 평균 비교에서 미국사회의 만족도 평균은 3.54이고, 한국은 2.92로서 미국사회의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미국은 교육 조건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한국은 문화적 적응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에서의 치열한 입시경쟁문제에 직면하기보다는 미국에서 교육을 받는 것이 자신뿐만 아니라 자녀들의 미래에 더 많은 기회와 성공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는 것 같다. 둘째, 이주 시기 및 체재 기간, 수입, 직업, 학력별로 미국과 한국사회 만족도의 차이를 보기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미국사회에서 체재 기간이 오래될수록, 수입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미국사회의 만족도가 높았다. 한편 미국사회에서 체재 기간이 오래될수록, 수입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한국사회의 만족도가 낮았으며 이는 미국사회의 만족도와 비교적 상반된 결과였다. 이는 미국사회에서 체재 기간이 오래될수록, 수입이 높을수록, 미국사회에 적응도가 높아짐으로써 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요컨대, 미국과 한국사회에 대한 만족도가 재미 한인의 개인적 배경, 혹은 사회경제적 배경, 그리고 두 국가 간의 경제적, 사회적 차이에 따라 다양한 양상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satisfaction degree of American society and Korean society among Korean Americans in New York, New Jersey, and Boston areas. Moreover, we further argue in this paper that Korean immigrants of different backgrounds in the United States are in different stages of incorporation in the American society.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nd the extent to which different social-economic backgrounds among Korean American immigrants(length of residence, 1- and 1.5- generation immigrants, earnings, occupation, education) associate with the satisfaction degree of American society and Korean society.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degree of social conditions of Korean Americans is more high that of American society than that of Korean society. Especially the satisfaction degree of educational condition of America is the most high, while the satisfaction degree of cultural adaptation of korea is the most high. Second, the satisfaction degree of American society of Korean Americans who dwell for a long time, are old generation, have high earning, have low schooling are apt to be high, while the satisfaction degree of Korean society of Korean Americans who dwell for a long time, are new generation, have high earning, have low schooling are apt to be low.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과 관광에 관한 시론적(試論的) 연구

        인태정(In Tae-Jeong) 비판사회학회 2010 경제와 사회 Vol.- No.88

        이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시대적 변화가 관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관광에서 나타나는 포스트모던적인 현상이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행에 관한 기존 논의들을 살펴보고, 포스트모더니즘의 배경과 특성에 관해 논의했다. 그리고 자본주의의 구조와 발전의 연속선상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모더니즘과 연속적 계기 혹은 강화된 단계로서 파악하고 관광 영역에서 나타나는 포스트모던적인 현상과 특성들을 분석했다. 관광의 경제적 변화로는 일상생활로의 자본주의의 침투 현상, 포스트 포디즘적인 생산방식으로의 변화, 관광산업의 세계화, 공간적 차별화를 위한 새로운 관광공간의 창출 등에 대해 고찰했다. 관광의 문화적 변화로는 시ㆍ공간 감각의 변화, 경계의 붕괴현상, 일상 생활의 가속화, 향수풍조, 역사의식의 소멸 현상 등을 고찰했다. 그리고 마지막 결론에서는 모더니즘과는 다른 포스트모더니즘적인 관광이 내포하고 있는 사회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논구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ostmodernism on Tourism through the Postmodernism theory(discussion about the general relations betwee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nd social background of Postmodernism. The changes of economic area of tourism are the production method of Post-fordism, the globalization of tourism industry, the new creation of tourism space for differentiation and heterogeneity and the rapid capitalist penetration into everyday life. The changes of cultural area of tourism are the change of sense in the time and space, collapse of barriers, accentuating volatility and ephemerality and the prevalence of nostalgia, disappearance of historical conscious. In the end, this study argue about the social meaning of postmodern touris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