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삼국~한성백제기 작물의 저장, 소비, 폐기의 일양상

        이희경(Huikyung Lee),이형원(Hyungwon Lee) 한국상고사학회 2016 한국상고사학보 Vol.92 No.-

        원삼국~한성백제기의 용인 고림동유적에서는 다수의 주거지 및 수혈 유구에서 탄화작물이 출토되어, 취락 내 작물의 소비, 저장, 폐기 양상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가능하였다. 탄화작물의 종류 및 비중을 분석한 결과 쌀, 보리, 밀, 콩, 팥, 조, 피, 기장이 확인되었고, 각 가옥에서 여러 종류의 작물들이 고루 이용되었음 이 파악되었다. 가옥 내부의 저장은 토기를 이용하였음이 확인되었는데 특히 대형 주거에서 대옹을 이용한 저장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생각되었고, 가옥 외부의 저장은 깊이가 얕은 수혈을 이용하여 쌀과 잡곡 등을 탈각한 후 보관하기도 하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주거지와 수혈 내부토에서 출토된 탄화작물의 출토 확률을 비교해 본 결과 쌀과 두류는 두 종류의 유구 간 큰 차이가 나타나, 폐기 과정에서 작물의 특성 및 가 치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유적에 따라 작물의 구성이 다른 것은 취락의 위상에 따라 거주민의 계층 차이가 존재하여 각 작물의 이용 비중이 달랐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Carbonized crop remains discovered from a large number of pit dwellings and underground pits at Gorim-dong site date to the Proto-Three Kingdoms and Hanseong Baekje periods. Thus it is possible to discuss the crop consumption, storage, and disposal patterns of Gorim-dong settlement site as follows. Firstly, rice, barley, wheat, soybean, adzuki bean, foxtail millet, broomcorn millet and barnyard millet were consumed similarly at each house¬hold. Secondly, households used jars for indoor storage, especially large storage jars in a large dwellings. Outdoor pits were used to store rice and millet in the final stage of pro¬cessing. Thirdly, considering that rice and pulse crops show different ubiquity rates at dwell¬ings and storage pits, it is assumed that the conservation rates at discarded places were af¬fected by physiological peculiarity of crops and their social value. Finally, differences in crop assemblages of the Gorim-dong site and the Janghyun-ri site were examined and it is at¬tributed to different contexts of the sites.

      • KCI등재

        백제 한성기 플라스크형 수혈의 확산과 저장 방식의 변화

        이희경 ( Lee Huikyung ) 백제학회 2023 백제학보 Vol.- No.44

        본 연구의 목적은 백제 한성기에 이르러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플라스크형 수혈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백제 한성기 저장 양상의 변화를 파악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형태와 깊이, 공간적 분포, 수량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원삼국시대의 양상과 비교한 결과 크게 세 가지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첫 번째로 플라스크형 수혈의 깊이나 수량 증가로 보아 옥외의 잉여 저장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두 번째로 상부 시설이 필요하지 않아 가시성이 낮다는 점과 밀폐하여 동물, 곤충, 화재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저장 안정성을 높이는 방향으로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막 세 번째로 플라스크형 수혈이 백제의 직접 지배 영역으로 논의되는 지역에 집중되면서 관방 시설인 산성 및 주변 취락에서 발견된다는 점, 그리고 플라스크형 수혈군이 집중 조성된 오산천, 탄천 유역의 취락 배치상 백제 국가와의 관련성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기존에 논의된 것처럼 플라스크형 수혈 대부분이 국가의 경제적 전략과 연관하여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만 모든 플라스크형 수혈이 그러한 것은 아니라서 주거지와 혼재되어 발견되는 일부는 각 취락에서의 장기적 저장을 목적으로 조성하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되었다. 이처럼 플라스크형 수혈은 저장 양상에서의 세 가지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고고학적 증거와 문헌 기록을 토대로 한성기의 환경적, 정치적, 사회적 상황을 살펴보았을 때, 생계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위기 전략이 필요했거나 축성, 전쟁, 전문적 생산 체계의 형성 등 여러 가지 국가적 사업을 실행함에 있어서 잉여 저장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이라 생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 depth,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d quantity of flask-shaped pi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Hanseong Baekje period’ storage. First,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as an increase in outdoor surplus storage based on the increase in depth and quantity of flask-shaped pits. Secondly, the flask-shaped pit were transformed into a form that is sealed without any upper structure, which makes visibility low and prevents damage by insects, animals, and fire.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change occurred to enhance storage stability. As the last point, it is estimated that most of the flask-shaped storage facilities were built in relation to the economic strategy of the Baekje state, as they were concentrated in the regions that were discussed as direct control areas of Baekje, and were discovered around the military facilities and in particular in the settlement where flask-shaped storage facilities were intensively built, which showed a relationship with the Baekje state. However, not all flaskshaped pit were built for that purpose, and some are believed to have been constructed for long-term storage in each settlement. The changes in storage patterns reflected in the diffusion of flask-shaped pit are thought to have been motivated by the need for long-term storage in various situations. Given the environmental,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of Hanseong Baekje period, the changes in the storage patterns of flaskshaped pit reflected the need for new crisis strategies to enhance the livelihood stability of the population, and the necessity of surplus storage for various national projects, such as urbanization, wars, and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production systems.

      • KCI등재

        고대 농업 사회의 위기 관리 전략: 원삼국시대 중부지방을 대상으로

        이희경(Huikyung Lee) 한국상고사학회 2022 한국상고사학보 Vol.117 No.117

        원삼국시대에 이르면 집약적 농업 사회의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면서 새로운 종류의 위기관리 전략이 등장하고 지역적 조건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고에서는 위기 예방, 대비, 통합과 관련된 관리 전략들을 파악하기 위해, 경기와 강원 영서지역의 원삼국시대 유적에서출토된 다양한 종류의 고고학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작물유존체와 사육종 동물유존체의출토 종류 및 수량을 분석하여 다양화나 환경 민감성이 낮은 종의 이용과 같은 위기 예방 전략에대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두 번째로는 야생 동식물유존체와 수렵 채집 관련 도구의 출토 양상을토대로 식료 다양화에 기반한 위기 예방 전략을 파악하고, 세 번째로는 저장 양상의 분석을 통해위기 대비 전략과 함께 예방 및 통합 전략을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원삼국시대 중부지방에서는 전반적으로 가능한 다양한 식료를 이용하고 환경 민감성이 낮은 잡곡을 주로 재배하여 위기를 예방하였으며, 주거지 내부와 수혈을 이용한 저장물의 제한적 공유 전략으로 위기를 대비하고 통합하였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작물 다양도나 수렵 채집 비중, 환경 민감성이 다른 기장과 피의 재배 방식 등 위기 예방 전략의 세부적 측면에서는 지역 또는유적 간 차이가 관찰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차이는 환경적 조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원삼국시대 중부지방에서 나타나는 이와 같은 다양한 위기 관리 전략들은 세계 여러 지역에서보편적으로 나타나거나 지역적 조건에 적합한 것으로, 고수익을 얻기 위해 위험을 무릅쓰는 것보다 위기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생업을 유지하는 것이 중시되었던 시대적 특징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nsive agricultural society emerged, new types of risk management strategies were expected to emerge and differ according to regional conditions. In this paper, various types of archaeological data were analyzed to identify risk management strategies related to risk prevention, self-assumption, and pooling. First, the types and quantities of crop and livestock remains were analyzed to identify risk prevention strategies such as diversification and the use of environmentally sensitive species, and second, wild animal and plant remains and hunting-related tools were analyzed to identify risk prevention strategies based on food diversification. Lastly, the third attempt was to reveal risk self-assumption and pooling strategies through analysis of storage patter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archaeological data, it was found that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various foods were used as possible, and millet with low environmental sensitivity were mainly cultivated to prevent risk, and risk was assumed and shared with limited storage pooling strategies. Differences between regions or sites were observed in detail in risk prevention strategies such as crop diversity, the proportion of hunter-gathering, and the proportion of broomcorn millet and Barnyard millet with different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it was estimated that these differences were affect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risk management strategy, which appear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as thought to show that maintaining a stable subsistence was important rather than taking risks to obtain high profits.

      • KCI등재

        백제 국가 형성에 따른 중부지방의 농업 양상의 변화

        이희경(Lee, Huikyung) 한국고고학회 2017 한국고고학보 Vol.103 No.-

        본고에서는 경기와 강원 영서지역을 대상으로 원삼국시대와 한성 백제시대 간 작물조성을 비교하여 국 가 형성에 따른 농업 양상의 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원삼국시대에는 잡곡과 두류는 널리 이용되지만 환경 제약적인 쌀과 맥류는 제한적으로 출토되어 환경 적응적인 농업 양상이 나타나고 있 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한성 백제시대에 이르면 쌀의 비중이 증가하고 맥류의 재배 지역이 한성 백제 의 영향이 큰 영서지역의 유적까지 확대되어, 백제 국가 형성이라는 정치적 변화에 의해 작물 출토 양 상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쌀과 맥류의 재배 확대는 농업 생산성 증대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해되었으며, 고고학 증거 및 문헌 기록을 검토한 결과 이는 중앙 및 지방 엘리트의 의도와 연관되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 두 작물의 재배는 또한 식생활의 변화를 야기했던 것으로 판단되었는데, 여러 가지 물질문화의 변화와 함께 백제 국가의 새로운 정체성 형성에도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This paper compares the types and relative importance of crop remains from sites of the Proto-Three Kingdoms and Hanseong Baekje periods in central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illet, soy bean and adzuki bean were cultivated regardless of period and region. This is likely due to fact that these crops are easy to cultivate in diverse environments. Rice, barley and wheat were not found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sites of the Gangwon region. They were found, however, in the Hanseong period sites of the Gangwon region, which was strongly influenced by Baekje. It was therefore suggested that agricultural change took place as a result of political change, represented by Baekje state formation. The increased cultivation of rice and barley was seen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agricultural productivity, which was induced by the central and local elites. The cultivation of these two crops may have also brought about a change in diet, and this in turn may have influenced the formation of a new identity for the Baekje state.

      • KCI등재

        백제 국가형성기 농업 전략의 특징과 채택 맥락

        이희경(Huikyung Lee) 한국고고학회 2022 한국고고학보 Vol.- No.123

        원삼국-백제 한성기의 중부지방 유적에서 출토되는 작물유존체의 종류와 수량, 철제 농기구의 수량 분석 결과 작물 재배 방식과 농기구의 이용 양상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파악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백제 국가형성기의 농업 전략과 그 특징을 검토하여 지역적 차이를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 경기지역에서는 경기 남부를 중심으로 수전 농경의 확대에 따른 전문화의 가능성이, 백제 도성 주변의 유적들에서 주조괭이의 이용도가 급증하는 혁신으로 볼 수 있는 변화가 나타나, 높은 비용이나 노동력의 투입이 필요하여 위험도가 높을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생산 과정이 질적으로 개선되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들이 채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영서지역에서는 대체로 철제 농기구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면서 쌀, 보리, 피가 추가되는 노동집약적인 다양화 전략이 강화되는 양상이 나타나, 초기에 높은 비용이나집중적 노동력의 투입은 필요하지 않고 위험도도 낮지만 효율성 또한 낮은 전략들이 채택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차이는 농업 전략이 채택된 지역적 맥락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두 지역의 전통적인 농업 방식, 환경적 조건, 경제적 기반과 같은 요인들이 농업 전략의 채택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crops remains and the number of iron agriculture implements in the central region dating to Baekje's state formation period, which indicate that there were changes over time in the cultivation method of crops and in the use of agriculture imple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identifi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strategies. The Gyeonggi region displayed signs of specialization following the expansion of paddy field farming in its southern areas, and the iron hoes excavated around Baekje’s capital city pointed towards innovation. Namely, the Gyeonggi region adopted high-risk strategies that require high initial cost and labor but ultimately improves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process. Meanwhile, as the use of iron agricultural implements was limited in the Yeongseo region, the labor-intensive strategy of diversification by also farming rice, barley, and barnyard millet came to be adopted. This strategy does not require any initial costs or labor but is lacking in efficiency. In other words, each region selected distinct agricultural strategies, and their differences were likely based on factors such as regional farming tradition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economic b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