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경북 지역 성인의 담낭용종 유병률과 위험인자: 20세 이상 건강 검진 수진자들을 대상으로 한 단일기관 연구

        김성열 ( Seong Yeol Kim ),이홍석 ( Hong Sug Lee ),이영석 ( Yeong Seok Lee ),정강욱 ( Kang Wook Chung ),장병국 ( Byoung Kuk Jang ),정우진 ( Woo Jin Chung ),박경식 ( Kyung Sik Park ),조광범 ( Kwang Bum Cho ),황재석 ( Jae Seok Hwa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8 No.5

        목적: 지역, 인종, 생활양식 등에 따라 담낭용종 유병률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는 이에 관한 보고가 많지 않으며 대구·경북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보고는 아직 없다. 저자들은 대구·경북 지역에서의 담낭용종 유병률과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3년 5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건강증진센터에서 건강검진 결과 담낭 관찰이 가능하였던 성인 28,9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대구·경북 지역 인구 분포를 고려하여 연령과 성별을 보정한 8,008명을 대상으로 유병률을 구하였으며, 위험인자 분석을 위해 전체를 대상으로 용종군과 대조군 간에 성별, 연령, BMI, 혈압, 공복 혈당, 간기능 검사 수치, 여러 지질 지수, HBsAg, anti-HCV 양성 빈도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보정 인구 8,008명(남 3,896명, 여 4,112명) 중 담낭용종은 175명에서 관찰되어 유병률은 2.2%였다. 남자가 2.7%, 여자가 1.7%로 남자에서 유병률이 높았다(p<0.001). 단변량 분석에서 TG (p=0.042) 값이 용종군에서 높았으며, 남성(p<0.001), 과체 중 및 비만(p=0.034), HBsAg 양성(p<0.001) 등이 용종군에서 흔하게 나타났다. 다변량 분석에서 남성(OR 1.434, p<0.001), 비만(OR 1.237, p=0.024), HBsAg 양성(OR 1.888, p<0.001)등이 담낭용종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인자들이었다. 결론: 대구·경북 지역의 담낭용종 유병률은 2.2%로 드물지 않으며 남성, 비만, HBsAg 양성 등이 담낭용종의 독립위험인자이다. Background/Aims: Although there are various reports on the prevalence of gallbladder (GB) polyp according to the race or area, there is no report o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and related risk factors of GB polyp in health screening population of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Methods: Of 28,911 adult health screening examinees from January 1997 to May 2003, age and gender-matched 8,008 (3,896 men, 4,112 women) were randomly select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Independent risk factors were analyzed by comparing various variables between the GB polyp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Results: The prevalence of GB polyp was 2.2% (175/8,008). Those were 2.7% (104/3,896) among men and 1.7% (71/4,112) among women. Independent risk factors related with GB polyp were male gender (OR 1.434, p<0.001), obesity (OR 1.237, p=0.024), and hepatitis B carrier (OR 1.888, p<0.001) Conclusions: Prevalence of GB polyp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is 2.2%. Male, obesity, and hepatitis B carrier may be the risk factors related with GB polyp in this region. (Korean J Gastroenterol 2006;48:344-35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