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안확의 `조선` 연구와 문명의 발견

        이행훈 ( Lee Haeng-ho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2

        1920년대 조선사편수회를 비롯해 조직적으로 진행된 일제의 조선사 연구는 조선의 식민화를 영구화하려는 획책이었다. 3ㆍ1운동 이후 일제가 내건 문화정치 3대 방안 가운데 하나인 `민족성 개조`도 조선의 역사성을 외래성과 식민성, 당파성과 미개성으로 낙인찍은 식민주의의 소산이었다. 이에 저항하는 조선인의 연구는 조선의 고유성과 독자성을 증명하는 전통의 창조로 나아갔다. 1920년대 들어 활발해진 고대사 연구는 식민 현실을 외면하고 관념화된 과거의 역사 기억으로 도피하는 게 아니라 한민족의 역사를 새롭게 구성하는 일이었다. 이때 단군은 민족 공동의 시원으로서 문화적 동일화를 이끌며, 발명된 민족의 정체성은 상처 입은 주체를 치유하는 것이었다. 신화를 역사의 일부로 이끌어 오는 일련의 시도는 안확에서도 발견된다. 조선의 민족성을 서구 문명국가와 비교해도 우수한 장점을 지닌 것으로 표명하였고, 조선 문화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보편 문명사로 정립하는 방대한 기획은 『조선문명사』로 나타났다. 조선 민족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규명하는 문화 연구와 조선 민족의 저력을 드러낸 통사 기술은 과거 역사 속에 명멸했던 다양한 주체들을 동일한 역사를 공유하는 단일한 민족으로 상상하게 했다. 안확의 조선 연구는 일제의 식민사관에 대한 저항이자 민족적 자각을 통한 웅비를 염원하는 것이었다. 그는 민족주의적 관점을 견지하면서도 자유와 자치, 자율과 이성 위에 선 개인을 문명과 문화를 만드는 주체로 설정함으로써 국가이데올로기로 고착된 일본의 문화사와 길을 달리 했다. The systematic research on the Joseon history under Japanese imperialism in the 1920s, including that of the Joseo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was one of the stratagems that Japan employed to perpetuate the colonization of Joseon. The `renovation of national traits`, one of the three cultural measures taken by Japanese imperialism after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was an attempt to degrade Joseon`s nationality as extraneous, dependent, factional, and uncivilized. Against this, Koreans tried to create their own tradition that could prove Joseon`s uniqueness and independence. The purpose of their study on ancient history, which became animated in the 1920s, was not to escape from the reality of Joseon into the idealized past, but to construct the history of Korean people anew. In this context, Dangun could refer to cultural identity as the communal origin of the nation, and this invented identity could lead to the healing of the injured subject. An Hwak`s attempt was part of this efforts to call out myth as history. He suggests that Joseon`s national traits are superior even to the Western civilization in several ways, and his vast plan to set up Joseon`s cultural uniqueness and identity as history of universal civilization bore fruit in the History of Joseon Civilization. With cultural research for figuring out Joseon`s national peculiarity and identity and historiography for revealing Joseon`s national potential, he makes it possible for people to imagine various agents in the Joseon`s past as belonging to a single nation with an identical history. Through his study on Joseon, he fought back the Japanese colonial view of history and tried to exalt national consciousness. Asserting independent and rational individuals as agency of civilization and culture though firm in the national perspective, he eventually went a way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Japanese history of culture.

      • KCI등재

        일반논문 : 신구(新舊) 관념의 교차와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

        이행훈 ( Haeng Hoon L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1 한국 철학논집 Vol.0 No.32

        본고는 서양 근대 문명 수용 초기(1890~1910)에 발생한 신구 관념의 대립과 충돌을 중심으로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을 역사의미론적으로 탐색함으로써 한국의 근대를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 신구 관념을 놓고 벌어진 주체 간의 투쟁은 전통개신론자들과 문명개화론자들의 주장에서 첨예하게 드러났다. 서양의 충격에서 비롯된 신구 관념의 대립과 충돌은 우주 자연으로부터 사회·정치체제, 학술·문화 등 모든 부문에서 인식의 전환을 요구하였지만, 전통 지식 체계를 이해하는 시각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신구 관념에 따른 전통 지식 체계의 구축과 변용과정에서 문명개화론자들에게 ``舊``는 단순히 과거의 ``지나간``, ``오래된`` 것이 아니라 파괴하고 제거하지 않으면 새로운 문명 건설을 방해하는 장애물이었다. 그러나 전통개신론자들에게 ``舊``는 ``溫故知新``의 이념 속에서 다시 ``新``으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함하고 있는 ``改新``의 대상이었다. 박은식의 「儒敎求新論」이나 한용운의 『朝鮮佛敎維新論』은 전통 지식 체계를 ``新學``으로 재편하려한 대표적인 시도였다. 보편성과 객관성, 합리성을 추구하는 과학적 방법을 수용함으로써 전통 지식 체계는 근대적인 학문으로 변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新學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聖學으로서의 위상은 탈각되었고, 신앙과 종교적 전통 또한 약화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과 ``구학의 신학화`` 과정에서 신구 관념의 교차가 발생하였다. 여기서 특히 신구 관념의 교차를 가능하게 한 ``實(學)`` 개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세기 전후 발간된 다종의 근대 매체는 신구 관념의 다층적 전개 양상을 여실히 보여주는데, 전통 지식 체계가 新學으로 변용될 수 있었던 계기로서 ``실학``이라는 개념적 준거틀이 작동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 시기 실학이 지칭하는 대상은 대체로 서양의 학문인 ``新學``을 표상하고 심지어 등치되기도 했지만, 전통개신론자들은 문명개화론자들이 점유하였던 ``실학`` 개념과 그 의미를 재해석함으로써 전통 지식 체계를 신학으로 바꿀 수 있었다. 이들은 과학 기술에 압도되어 점차로 거세되어가던 전통적 가치를 ``신학`` 수용의 토대로 인식하고, ``實學``을 개념을 준거로 하여 ``新學``을 再專有(re-appropriation)하였다. 일제의 강점이 구체화 되어 전통 지식 체계의 주체적 변용 시도는 일정한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지만 ``구학의 신학화``는 ``東道西器`` 논리가 지닌 모순과 문명개화론의 탈주체성을 넘어서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덕 원리와 경쟁 원리가 충돌하고 ``진화``와 ``진보``가 대세인 현실에 대응하려했던 ``東道西器`` 논리는 이미 분리될 수 없는 道와 器를 분리 가능한 것으로 상정해야만 성립되는 모순을 안고 있었고, 문명개화론은 서양을 내면화하여 자기 비하와 멸시로 주체의 균열을 야기하고 전통 지식 체계로부터 단절됐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This essay reflects on the modernity of Korea by examin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from a historico-semantic perspective with its focus on the opposition and collision of the old and the new conception occurred in the early period(1890~1910) of the acceptance of the Western modern civilization. With scientific success, trick of reason, Christianity and evolutionary view of history, the Western modernity regarded itself as a peak of civilization and forced the non-Western societies into the world system in which they came to be considered as ``barbarism(野蠻)`` or ``half-enlightened(半開).`` The East Asian civilization, which had its own history for several centuries, became degraded as kind of delusion and old-fashioned customs from which it ought to free itself. The Western civilization presented itself as exemplary future which East Asian people should achieve, while East Asian past traditions came to be conceived as just unnecessary vestiges which it was better to wipe out. It can be said that East Asian modernizatio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propagation and acceptance of the modern products of the Western civilization rather than through the preservation of its past experience and pursuit of the new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apply directly to East Asian societies Koselleck`s hypothesis; while mapping out his Basic Concept of History, he assumed that, in the so-called ``age of saddle,`` semantic struggle over concepts becomes active between the past experience and the horizon of expectation on the future, and concepts undergoes ``temporalization``, ``democratization``, ``ideologization``, ``politicization.`` The struggle over the old and new conceptions in Korea was most noticeable in the opposition of the Neo-Confucian scholars of Hwangseongsinmun and the theorists of civilization of Doknipsinmun. The opposition and struggle demanded the change of understanding in every field, but there was difference of opinion over the conception of the past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For the theorists of civilization, ``the old(舊)`` was not just ``past`` and ``old-fashioned`` things, but rather an obstacle to the building of new civilization. On the other hand, it contained the possibility of regeneration(新) for the Neo-Confucian scholars; that is, they suggested finding a guide into tomorrow by taking lessons from the past.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lost their holy status of learning(聖學) in the process of its change into a ``new learning(新學),`` and religion and religious tradition also weakened.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could change itself into modern learning by accepting scientific methodology which pursues objectivity and rationality. This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and ``the formation of the new learning from the old learning`` was accompanied by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old and new conception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ole played by the concept of Sil(hak)(實學) or Practical Learning in the intersection of the old and new conceptions. Various modern media published before and after the 20th century show clearly the multi-layered development of the old and new conceptions, and it is noticeable that ``Sil(hak)`` as conceptual frame of reference contributed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into the new learning. Although Silhak often designated, or was even considered equivalent to, the Western learning, Neo-Confucian scholars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Silhak`` which the theorists of civilization had monopolized until then, and opened the way to change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into the new learning. They re-appropriated the concept of Silhak, and enabled it to be invested with values, which were losing their own status due to the overwhelming scientific technology. With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by force, the attempt to transform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independently was obliged to reach its own limit, but its theory of ``making new learning from old one`` can be considered to get over both the contradiction of Dondoseogi(東道西器: principle of preserving Eastern philosophy while accepting Western technology) and the de-subjectivity of the theory of civilization. While developing its own logic, the theory of Dongdoseogi was compelled to bring in the contradiction of considering the indivisible(道and 器) as divisible, though it tried to cope with the reality where the principle of morality and that of competition were opposed each other and the ideologies of ``evolution`` and ``progress`` prevailed. On the other hand, the theory of civilization was not free from the criticism that it brought about a crack in subjectivity due to its internalization of the West, cutting itself off from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 KCI등재후보

        동향과 전망 : 한국 개념사 연구의 향방과 시좌 -학술지 『개념과 소통』의 모색을 중심으로

        이행훈 ( Haeng Hoon Lee ) 한림과학원 2014 개념과 소통 Vol.0 No.13

        한국 개념사 연구는 개념사의 이론적 공리를 적용하면서 발견되는 적용 불가 능한 문제들의 해법을 모색하는 동시에 우리의 근대 경험 속에 응축된 개념 을 연구하며, 여기에서 추출한 가설들을 다시 개념사 이론에 비추어 검증함 으로써 연구 방법론 모델을 구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선행 연구는 대체로 근대적 개념의 수용과 그 영향에 초점을 두었다. 여기에 서 간과된 동아시아의 문화적 특성과 전통적 관념에 주목하여 축소되고 왜곡 된 ‘경험공간’과 ‘전통 요소’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한국의 근대는 비동시적 인 것들의 동시대적 존재가 커지는 한편, 전통적인 가치와 관념들에 대한 가 지치기를 통해 비동시적인 것들의 동시대적 수렴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개념의 기원으로 재귀하다 보면 서양을 보편화하고 스스로를 주변화는 인식 틀에 고착하기 쉽고, 개념의 역동적 수행성 규명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중국 과 일본을 경유한 개념 수용 과정의 특성과 개념의 통시적 의미 변화를 추적 하는 가운데 공시적 활용에 주목해야 한다. 공시적 활용은 통시적 접근에서 분절되기 쉬운 텍스트 내외부의 개념 사용 주체를 부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근대를 특징짓는 다양한 사회적 체계들의 발생은 개념 운동을 특정 개념 하 나만의 연구보다 그와 상호작용하는 연관 개념과 함께 분석할 것을 요구한다. 상위·하위·병렬 개념들 속에서 개념의 논의되는 담론의 층위를 고찰하 고, 대립·보완 개념들과 함께 그 의미의 연결망을 구축하면 개념의 역사의미 론이 보다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 중화권에서 진행되고 있는 관념사 연구는 어휘통계학적 연구 방법뿐만 아니 라 중국 근대사회 변동의 근저에 지속되고 있는 정신적 가치와 서양에서 흡 수한 근대적 가치를 근대의 새로운 전통으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시사적이다. 그러나 우리가 진정으로 주목해야 할 지점은 ‘디지털 인문학’이라는 수사 이 면에 감추어진 역사 해석과 관련된 그들의 실천적 지향이다. This study of the conceptual history of Korea examines the concepts into which our experience of the modern has been condensed, and seeks solutions to some problems which are not easily reconciled with the theoretical axioms of conceptual history. Moreover, a recursive research methodology is utilized, in which the hypotheses thus obtained are reviewed, once again, through the theories of conceptual history. Conceptual history research as practiced so far has focused mainly on the acceptance of modern concepts and the effects resulting therefrom. There has been a general failure to take account of Asian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al conceptions, which makes it necessary to integrate the ‘space of experience’ and ‘traditional elements’ which have been previously been neglected or distorted. Korean modernity shows how the contemporary was expanded to incorporate the non-contemporary through the ramification of traditional values and concepts. In looking back to trace the origin of concepts, it is easy for Koreans to universalize the West and become fixated on a perceptual viewpoint which marginalizes local identity, thus making it difficult to investigate the dynamic performance of concepts. For this reason, while we are tracking down the specific character of our conceptual accommodations by way of China and Japan, and the corresponding diachronic semantic changes in the concepts, it would be better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synchronic aspects. The synchronic approach can shed useful light upon conceptual usage inside and outside texts, which avoids the fragmentation typical of the diachronic approa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way in which a variety of social systems have arisen in modern times we need to analyze an array of interrelated concepts reacting with each other, rather than focusing on single isolated concepts. By examining layers of discourse with higher, lower, and parallel concepts being discussed in an interconnected fashion, the historical semantics of concepts will develop more clarity, allowing the construction of a network of meaning which incorporates both contradictory and complementary concepts. Conceptual history as pursued in China can provide some interesting indications: it embraces lexicostatistics, and also identifies a new vision of a modern China in which spiritual values endure despite the modern social transformation of China and the modern values imported from the West. We should not, however, ignore the practical aims which underlie the Chinese rhetoric of ‘digital humanities’.

      • KCI등재

        특집 : 근대 전환기 유교 담론과 도학 개념의 역사적 의미론

        이행훈 ( Haeng Hoon Lee ) 한림과학원 2012 개념과 소통 Vol.0 No.10

        조선의 학술ㆍ문화와 사회·정치의 근간이었던 유교는 근대로의 급격한 전환과정에서 본래의 지위를 탈각한 채 기독교뿐만 아니라 새롭게 생겨나는 신종교의 틈바구니에서 경쟁해야 했다. 이 시기 유교적 지식인들은 문명의 개화와 진보를 역사적 책임으로 자임하면서 동도서기와 신구학논쟁을 진행하였으나, 한편에서는 국망의 원인으로 유교를 지목하여 폐기와 전면적 개혁의 요청에 휩싸였다. 1905년을 기점으로 일제의 식민지 책략이 본격화되자, 논의의 초점은 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한 유교의 역할로 확대되었다. 동아시아 문명의 계승자로 자부하던 소중화 의식은 고유성과 독창성을 발명하려는 ‘민족’의 정념 속에서 퇴색할 수밖에 없었고, 당대 지식인들은 ‘유교’의 민족성과 친일 문제를 둘러싼 논쟁을 가속화하였다. 『대동학회월보』와 『대한매일신보』를 위시한 매체들은 일종의 근대적 공론장으로서 기능하면서 이 시기 유교를 둘러싼 다양한 주체의 논쟁을 실어 날랐다. 유교는 서구에서 유입된 새로운 개념은 아니었지만, 미래가치를 담아내기 위해서 고투했다. 이처럼 전통 개념의 역사의미론은 오히려 기성의 개념이 어떠한 방식으로 의미의 균열과 변용을 겪게 되고 마침내 우리의 일상 언어감각에서 사라지게 되는가를 문제 삼는다. ‘기본 개념’이 전근대 사회를 근대로 추동했다면 ‘전통 개념’은 근대적 변환의 속도와 방향을 문제 삼으면서 사회변동의 하나의 요소로 기능했다는 것이다. 이는 동아시아 근대화 과정에서 발생한 기존 개념들의 운동 종식과 소멸의 작동방식에 시선을 돌려 역사의 빈공간과 시간으로 사라져 버린 개념들을 재성찰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Confucianism had functioned as the scientific,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foundation of Joseon for a long time, but during the drastic transition period leading to modern times, its dominance was threatened by competition from new religions, including Christianity. Confucian intellectuals of the time, considering themselves responsible for the enlightenment of society and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were immersed in a dispute between dongdoseogi(the principle of preserving Eastern philosophy while accepting Western technology) and singuhak(old and new learning). However, once Confucianism came to be considered the underlying cause of national ruination, they were compelled to face up to demands for its abolition or comprehensive reformation. With the Japanese pursuing colonialism in earnest, the principal focus of debate became the role of Confucianism in the movement for national independence. Support for ‘little’ Sinocentrism(小中華主義) was eclipsed by rising nationalistic sentiments, and the national role of Confucianism was challenged by pro-Japanese activities. Newspapers like Daedonghakhoewolbo(大東學會月報) and Korea Daily News(大韓每日申報) functioned as the public sphere in a modern way, carrying articles about various arguments concerning ‘Confucianism’, which, though not a new concept from the West, was striving to capture values for the future. The historical semantics of traditional concepts essentially calls into question the way in which existing concepts undergo semantic rupture and transformation and finally disappear from everyday language. While ``basic concepts`` promote the premodern into the modern, ``traditional concepts`` function as an element for social transformation, taking issue with the pace and direction of the transition to modernity. In this way, historical semantics can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the movement of existing concepts stops and they cease to exist, and can thus contribute to a reappraisal of concepts which have disappeared into the empty space and time of history.

      • KCI등재

        1900년대 전후 도덕 개념의 의미장 -수신,윤리교과서를 중심으로-

        이행훈 ( Haeng Hoon Lee ) 한림과학원 2013 개념과 소통 Vol.0 No.12

        1900년대 편찬된 수신·윤리교과서에 나타나는 도덕, 윤리 담론은 덕성의 함양을 중시하던 유학의 연쇄와 변용을 보여 준다. 교과서에 나타난 수신, 도덕, 윤리 등의 의미장 변화는 갑오개혁 이후 속도를 더한 ‘비틀린 경험공간’과‘기대지평의 동일화 전략’을 반영하고 있다. 개념은 공간적 이동을 하면서 경험공간의 위상 변화를 일으키고, 개념에 투사된 수신자의 기대는 새로운 지평으로 확장되었다. 수신·윤리교과서는 기대지평의 동일화 전략을 담은 국가적 차원의 주요 기제였다. 1900년대 도덕교육은 선천적인 본성의 발현을 중시했던 유교 자장에서 벗어나 사회와 국가의 공익과 연결되었다. 인격을 중시한 교육에서 지식을 중시하는 교육체계의 개편이 도덕교육의 근간을 흔들었다. 특히 에식스의 동아시아 수용은 도덕 개념을 둘러싼 의미장의 변화를 가속화했다. ethics의 번역어인 윤리(학)은 전통적인 수신을 실천의 영역에 가두는 데 그치지 않고 근대학문의 과학주의를 준거로 하여 수신을 학문의 영역에서 배제해 갔다. 근대 지식체계와 학문에서 밀려난 수신은 동양 고전의 향수를 자극하는 기호 또는 교양으로 부침하였고 점차 일상의 영역에서 사라졌다. 수신 개념은 그 개념을 중심 가치로 했던 근대유교의 쇠퇴와 동궤를 그리며 역사 속에 침잠해 들어갔다. 대한제국기 발간된 수신·윤리교과서는 전근대와 근대윤리가 착종하는 가운데 개인보다는 사회와 국가 관련 항목들에 더 많은 비중을 두었다. 비록 수신이라는 용어가 교과서의 표제를 장식했지만 도덕과 윤리의 의미장이 변화하면서 유교적 수신은 더 이상 연속되지 못했으며, 한자어 윤리를 에식스의 의미로 새롭게 전유하면서 인민을 국가에 귀착시키고 국민 도덕으로 의미장은 이동해 갔다. Confucianism emphasizes the cultivation of virtue, but the discourses found in early 20th century textbooks, show both continuity and transformation in the semantic field concerning self-cultivation, morality or ethics. The changes presented in school textbooks around this time had been accelerated since the Gabo Reform, reflecting the “twisted space of experience” and “identifying strategies of the horizon of expectation”. In an analogous fashion to moving through space, assimilating new concepts brings about a shift in the space of experience, modulating and expanding expectations about what might be possible. Textbooks on self-cultivation or ethics are one of the key mechanisms through which a state can standardize the horizon of expectation. Moral training, once it escaped from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with its focus on the revelation of one`s innate human nature, came to be connected with the public interest and identified with the needs of society and state. The foundations of moral training were shaken as the emphasis of the educational system was shifted from moral character to knowledge. In particular, the accommodation of imported concepts about ethics into East Asia markedly affected the semantic field concerning moral ideas. Thus, ‘Yuli (倫理)’, a translated term for ethics, restricted traditional selfcultivation to the area of practice, and also began to exclude self-cultivation from the educational process to conform with the rationalist approach of modern learning. As it was pushed out from the modern system of knowledge, the implications of the idea of self-cultivation dwindled until it signified nothing more than a nostalgic cultural yearning for the classics, and it disappeared gradually from everyday life. The concept of selfcultivation faded away into history, along with Confucianism for which it represented the essential virtue:both were swept away by the advent of modernity. In the school textbooks on self-cultivation or ethics published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premodern and modern ethics were intermingled, but more weight was given to concepts which were relevant to society and the nation-state, and the moral conception implied by ‘Yuli (倫理)’ transformed the semantic field of ethics, and with it, national morality.

      • KCI등재

        안확의 "조선" 인식과 "조선철학"

        이행훈 ( Haeng Hoon L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0

        1910년대에 들어서면서 본격화한 일제의 ``조선`` 연구가 식민 정책의 일환 이었다면 그에 대항하는 조선 연구는 국권 회복과 자주 독립의 염원을 담 고 있었다. 이는 당대 ``조선``이라는 개념이 발화주체에 따라 그 안에 내포된 의미와 지향이 상이했음을 의미한다. 대한제국의 소멸과 함께 근대 국가 건 설은 좌절됐지만 민족의 이념 지형 안에서 ``조선``은 새롭게 발견되었다. ``조선``은 과거의 경험을 응축하면서 미래에 대한 기대를 담아내는 역사적 기본 개념이 되어갔다. ``조선학``은 학술의 장에 국한된 지식인들 사이의 담론이었으나, ``조선``은 그 내·외부의 보다 다양한 사회 주체들의 발화를 포괄한 다. 더욱이 개념과 담론의 상호 연관을 고려한다면 ``조선학``은 ``조선``의 역사 적 의미론 속에서 독해되어야 마땅하다. 1920년대 문화운동의 흥기 속에서 안확은『조선문명사』를 통해 고대 신화의 시대로부터 당대까지를 ``조선``이 라는 기표 아래에 묶어낸다. 역사 실증주의의 미명 아래 자행된 일제의 역사 왜곡에 맞서 조선의 역사를 서양 민주주의 정체에 비견해도 뒤지지 않는 문명으로 이상화한다. 안확은 ``조선`` 연구를 문화 전반으로 확장하는 가 운데 조선의 미술과 문학을 넘어 조선철학의 탄생을 예고했다. 「조선철학 사상개관」은 ``조선철학``을 하나의 독립적 학문영역으로 사고한 최초의 기술로써, 조선의 학술과 사상의 특수성을 인류의 보편적 문명사의 관점에서 파악하려했던 작업의 일환이었다. 안확은 철학을 조선의 3대 발달 가운데 하 나로 제시하고, 조선 철학사의 특색을 서양과 비교하여 특정함으로써 조선 철학의 고유성과 독자성을 주장했다. ``종(倧)``을 조선철학의 시원이자 근세에까지 이르는 사상적 근저로 파악하면서 불교와 유교의 수용도 조선철학 의 발전으로 인식했다. 전통 지식체계의 근대적 전환과정에서 탄생한 ``조선 철학``은 전통 지를 근대적 학문 분류 체계에 적용하여 재해석하고 재구축 하는 지적 실험이었다. The full-scaled study of Joseon conducted by Japan in the 1910s was part of its colonial policy, while the native Joseon studies against it contained political aspiration to recover the national rights and independence. Accordingly, the conceptual meaning of ``Joseon`` varied according to its subject of speech. The establishment of modern nation-state failed along with the extinction of Korean Empire, but ``Joseon`` was newly discovered within national ideology. It became a historical concept in which the experience of the past and the expectation toward the future could be united. The so-called ``Joseon Studies`` was only limited to intellectuals in the academic circle, but ``Joseon`` embraced the articulations from more various social agents. Furthermore, it is only natural that ``Joseon Studies`` should be interpreted within the historical semantics of ``Joseon``, considering the connection between concept and discourse. In his The History of Joseon Civilization, An Hwak encompassed the history from the times of ancient mythology to the contemporary times under the banner of ``Joseon``. Opposing Japanese distortion of history carried out in the name of historical positivism, he idealized Joseon history as comparable to that of the Western democracy. He extended the study of ``Joseon`` into culture at large, foreshadowing a kind of Joseon philosophy. In his An Overview of Joseon Philosophical Ideas, the first description of ``Joseon philosophy`` as an independent field, he proposed philosophy as one of three sources of pride in Joseon and asserted its uniqueness and originality compared to the West. It was an attempt to grasp the peculiarity of Joseon ideas from a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universal human civilization. He considered ``Jong``(倧) as an ideological foundation held from the ancient to the modern times, and the acceptanc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as beneficial to ``Joseon philosophy``. The birth of ``Joseon philosophy``,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was an intellectual experiment to apply traditional knowledge to the modern disciplinary classification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