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순자-할린스 사건에 관한 연구

        이찬행 ( Chanhaeng Lee ) 한국미국사학회 2014 미국사연구 Vol.39 No.-

        1991년 라타샤 할린스라는 이름의 흑인 십 대 소녀가 사우스 센트럴 로스앤젤레스에서 한인 리커 판매상 두순자로부터 총기로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한흑관계에 파국을 가져오기에 충분할 만큼 가연성이 높았다. 본 논문은 한인 언론과 로스앤젤레스 시 정부 및 카운티 정부 기록들을 검토함으로써 순진한 십 대 흑인 소녀가 고객을 존중하지 않는 한인 상인에 의해 숨졌다는 비난에 한인들이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한인들이 총기 사건이 야기한 비난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미국의 인종 관계와 젠더를 둘러싼 담론들의 공간에서 어떻게 항행했었는지를 이해하게 도와준다. 특히 본 논문은 한인들의 공적 영역을 살펴봄으로써 한인들의 담론적 실천이 지니는 다층적 측면을 재구성했다. 한인들의 공적 영역에서 그들은 문화적 차이, 경찰 조작설, 언론의 선정주의 등의 언어를 통해 두순자-할린스 사건을 탈인종화함으로써 자신들을 무례하고 무자비한 상인들로 표상하려는 시도에 도전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한인들은 흑인들에 관한 도덕적·생물학적 편견들에 기초하는 짐 크로우식 혹은 그 이전의 인종 담론들을 동원함으로써 흑인 십 대 소녀를 재인종화했을 뿐만 아니라 그녀의 젠더를 뒤집기도 했다. In 1991, a black teenage girl named Latasha Harlins was shot to death by Korean shopkeeper Soon Ja Du in her liquor market in South Central Los Angeles. The murder of the teenage girl was inflammable enough to provoke a catastrophic crisis between blacks and Koreans. Based on archival research of the Los Angeles city and county government records as well as Korean-language media, this study examines the discursive practices by which Korean Americans attempted to repudiate the charge that an innocent young black girl was killed by a disrespectful Korean merchant. It will help us understand how Korean Americans navigated the discursive terrain of American race and gender relations to defend themselves from the charge. In particular, this study tried to reconstruct the multivalence of Korean Americans’ discursive practices by incorporating an examination of the Korean American public sphere. In the public sphere, this study found that Korean Americans challenged their representation as disrespectful and ruthless ghetto merchants by deracializing Du’s shooting of Harlins through languages of cultural difference, police manipulation, and media sensationalism.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reracialized the teenager and inverted her gender by employing discourses from the Jim Crow era and before which were rooted in a range of moral and biological stereotypes of blacks.

      • KCI등재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에 대한 미주 한인들의 멜로드라마적 상상 만들기

        이찬행 ( Chanhaeng Lee ) 한국미국사학회 2013 미국사연구 Vol.37 No.-

        본 논문은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에 대한 주류 사회 담론, 즉 폭동을 한흑갈등의 결과물로 파악하면서 한인 커뮤니티를 폭동의 피해자라기보다는 원인 제공자로 지목하는 폭동 담론에 맞서 한인 커뮤니티가 대항 담론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검토한다. 특히, 본 논문은 멜로드라마적 상상이 한인들에게 세계를 선과 악의 대립으로 파악하고 선의 궁극적인 승리를 이야기하는 담론 구조를 제공했다고 주장한다. 멜로드라마적 상상의 언어들은 한인들로 하여금 스스로를 힘이 없으나 순수한 존재로 간주하게끔 이끌었다. 멜로드라마 언어들은 폭동으로 한인들이 겪는 고통을 의미 있는 것으로 만들었으며 한인들의 주체 위치를 흑인과 백인 사이에 불행하게 끼어 있는 무고한 피해자로 구성하였다. 멜로드라마적 상상은 나아가 한인들을 백인 지배 사회가 흑인과 백인 사이에서 벌어지는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희생시킨 무고한 희생양으로 구성하기도 했다. 이상과 같은 한인들의 담론적 실천을 검토하면서 본 논문은 한인들이 멜로드라마적 상상의 미학적 형식을 전유하면서 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을 흑인과 백인의 문제로 재규정하고 이 과정에서 폭동에 책임이 있다는 비난에 맞섬으로써 스스로를 저항하는 정치적 주체로 형성해가는 과정에 주목한다.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discursive practices by which Korean Americans created a counternarrative in response to post-riot discourse that framed the Los Angeles riots of 1992 as a result of Black-Korean conflicts, accusing the Korean community of being responsible for, rather than the victims of, the riots. In particular, I argue that a melodramatic imagination provided Korean Americans with a discursive structure for narrativizing the world as an arena in which good will eventually win over evil after enduring hardship. Languages of melodramatic imagination enabled Korean Americans to identify themselves as the powerless yet virtuous, experiencing extreme suffering. Not only did melodramatic languages place their suffering in a meaningful framework, they also discursively constituted their subject positions as innocent victims caught by mishap in the middle of a clash between Blacks and Whites. Furthermore, they constituted Korean Americans as innocent scapegoats thrown to the rioters by a “White system” in order to avert the real threat of crisis between Blacks and Whites. In examining Korean Americans’ discursive practices, I seek to shed light on the processes by which Korean Americans appropriated the aesthetic form of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to counterframe the Los Angeles riots of 1992 into Black-White issues, and to constitute themselves as political subjects confronting the accusation that Korean Americans were responsible for the riots-the authors of their own misfortune.

      • KCI등재

        ‘레이건 민주당원’의 형성 : 1970년대 이후 미국 백인 노동계급의 보수화에 관한 아래로부터의 역사

        이찬행(Lee, Chanhaeng)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1 동국사학 Vol.71 No.-

        미국 현대사는 이중적인 시기이다. 한편으로 민권운동을 중심으로 한 진보적인 아젠다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동시에 보수적인 흐름이 점점 에너지를 응축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후자의 역사에 주목한다. 특히, 본 논문은 1960년대까지 리버럴한 정치 세력으로 간주되던 백인 노동계급의 보수화를 아래로부터의 시각으로 분석하기 위해 미국 사회에서 커다란 쟁점이 되었던 두 가지 사안, 즉 맥거버니즘과 세금 반란을 검토한다. 1972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였던 조지 맥거번은 당의 전통적인 복지 정책, 즉 백인 노동자들에게 수많은 혜택을 주었던 정책을 고수하는 인물이었다. 하지만 맥거번은 “신정치”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흑인, 여성, 동성애자 등을 위한 다양한 “정체성 정치”와 연대했는데, 이는 백인 노동계급이 민주당을 이탈하면서 보수주의 언어를 수용할 수 있는 여지를 넓히고 말았다. 백인 노동계급의 분노는 세금과도 직결되었다. 1978년 캘리포니아에서 통과된 주민발의안 13 지지자들은 자신들의 제안은 인종과 무관하며 단순히 재산세 인하를 목표로 한다고 주장하였지만, 발의안은 궁극적으로 흑인들을 위한 정책에 자신들이 낸 세금을 쓸 수 없다는 심리의 표현이었다. 이러한 세금 반란은 경제적 개인주의 언어를 통해 공공정책 시행을 위한 정부의 확장에 분명한 반대를 표시함으로써 1980 년대 보수주의의 가장 기본적인 정치 내러티브를 제공했다.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from below,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servatization of the white American working class by analyzing their experiences and consciousness of the McGovern debacle of 1972 and California’s Proposition 13 in 1978 that started a nationwide tax revolt . George McGovern, a Democratic presidential candidate, fueled a flight of white working class Americans from the Democratic Party because his “New Politics” represented an alliance with “identity politics” and new social movements for the black, women, and homosexual communities. White workers were also increasingly outraged by heavy property taxes. In particular, those who successfully reached middle class status in suburban neighborhoods internalized the discourse of conservatism by opposing their taxes being spent on blacks and minorities who, they thought, were poor because they were lazy and lacked work ethic. In opposition to the expansion of government through the languages of economic individualism, the tax revolt provided the most fundamental political narrative for the conservative movement in the 1980s.

      • KCI등재

        미국 우파와 음모론 정치

        이찬행 ( Chanhaeng Lee ) 한국서양사연구회 2021 서양사연구 Vol.- No.65

        This essay aims to understand America’s far-right conspiracy theories since the Cold War. Almost every conspiracy theory is an expression of agency because it tries to give a sense of order and meaning to seemingly random events.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ld War conspiracies and the post-Cold War conspiracy theories. While the John Birch Society, founded by Robert Welch in 1958, articulated paranoia, hatred, and hostility against communism, the Cold War conspiracist group was marginalized by mainstream conservative politicians. Conspiracy stories in the post- Cold War period were not confined to the anti-communist sentiment but exhibited various topics such as extraterrestrials and the United Nations. Furthermore, as is evident in the QAnon conspiracies about the coronavirus pandemic, conservative Republican politicians tried to collude with the crackpot conspirators rather than distancing themselves from the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histchlee@chungbuk.ac.kr)

      • KCI등재

        “나성에 가면”: 로스앤젤레스 한인과 자영업

        이찬행 ( Chanhaeng Lee )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16 미국학 Vol.39 No.2

        By using Korean immigrant community in Los Angeles as a case study, this article examines why urban middle-class Koreans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since 1965 as well as why and how they became small business owners. When the middle-class Korean immigrants found themselves disadvantaged in the American labor market, they tried to survive by starting small businesses. It suggests how those immigrants understood, responded to, and negotiated with their new environment. However, most research on Korean Americans has tended to place disproportionate emphasis on internal resources such as Korean ethnic banks and “keys” to explain the reason for their dominance in the area of small business. While many of the Korean immigrants utilized these internal resource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y were also assisted by external resources from the U.S. government and financial institutions.

      • KCI등재

        한흑갈등, 베이크웰, 그리고로스앤젤레스 로컬 정부

        이찬행 ( Lee Chanhaeng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6

        본 논문은 1980년대 후반 로스앤젤레스의 한흑갈등 그리고 이에 대한로스앤젤레스 로컬 정부의 대응을 검토한다. 뉴욕과 달리 로스앤젤레스에서 한인 상인들을 대상으로 발생한 보이콧은 일회성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1960년대 후반 이래 로스앤젤레스 흑인 커뮤니티가 정치적 이해관계를 조직화하는 능력을 많이 상실했기 때문이다. 좌파 및 진보적 단체들이 사라지면서 진공 상태로 변하고만 로스앤젤레스 흑인 커뮤니티에는 오히려 1980년대 후반에 대니 베이크웰과 같은 선동가들과 흑인 내셔널리즘을 추구하는 단체들이 등장하였고 그 결과 한흑갈등은 더욱 악화되었다. 하지만 로스앤젤레스 로컬 정부들은 이처럼 악화되고 있던 한흑갈등을 다룰 의지도, 재원도, 전략도 제대로 갖추고 있지 못했다. This essay examines the black-Korean conflicts in Los Angeles in the late 1980s and local governments` responses to the ethnic tension. In Los Angeles, unlike New York City which also experienced conflicts between Korean Americans and African Americans, African Americans` boycotts against Korean stores usually did not last long. This was because there had been since the late 1960s very few community organizations to sustain long-term boycotts. The demise of left and progressive political imagination in the late 1960s left a political vacuum in Los Angeles but this vacuum was filled by racial agitators like Danny Bakewell and black nationalist organizations. The black-Korean conflicts were more exacerbated by these agitators and nationalist organizations. However, this essay argues that local governments in Los Angeles were neither willing to resolve the conflicts nor prepared to mobilize resources

      • KCI등재

        “An Invisible Design”: Asian Americans and the Making of Whitenes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Chanhaeng Lee(이찬행) 도시사학회 2014 도시연구 Vol.11 No.-

        20세기 초반 미국의 이민 및 귀화 정책들은 미국을 인종적으로 동질적인 공간으로 그리고 미국인을 백인으로 상상하게끔 하는 이데올로기로 기능했다. 미국(인)에 대한 이러한 상상은 아시안 아메리칸을 바람직하지 않은 “타자”로 구성하는 오리엔탈리즘적인 담론을 필요로 했다. 본 논문은 이민 및 귀화 정책들에 담겨있는 인종의 언어를 분석함으로써 백인성(whiteness)의 성격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진공 상태에서 고안된 것이 아니라 비대칭적인 지정학을 반영했던 이민 및 귀화 정책들은 미국의 “순결함(purity)”에 대해 의심하면서 미국의 “정상성(normalcy)”을 유지하기 위한 편집증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측면은 백인성의 정신분열적인 차원을 잘 보여준다. 본 논문은 또한 두 가지 연방대법원 판례 (Takao Ozawa v. United States in 1922 and United States v. Bhagat Singh Thind in 1923) 를 분석함으로써 백인성이라는 개념은 안정적이지 않으며 그것의 의미를 결정하는 외적인 지시체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백인성의 의미는 아시안 아메리칸과의 차이 체계에 의해 구조화되었기 때문에 담론적인 실재일 뿐이다. 본 논문은 비록 아시안 아메리칸은 바람직하지 않은 “타자”였지만 백인성의 형성을 위한 조건의 일부였다는 점에서 “구성적 외부”로 기능했다고 주장한다.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U.S. immigration and naturalization policies functioned as an ideology that imagined America as a racially homogeneous space and Americans as white. And such a project of imagining the nation required an orientalist discourse that constituted Asian Americans as the undesirable “Other” in America. This essay undertakes an analysis of such a language of race embedded in the immigration and naturalization policies in such a way as to demonstrate the historical nature of whiteness. These policies, often devised not in a vacuum but in the unsymmetrical geopolitics, made paranoid efforts to keep America’s “normalcy,” while always suspecting its own “purity.” It thus reveals the schizophrenic dimension of whiteness. By examining the Supreme Court cases (Takao Ozawa v. United States in 1922 and United States v. Bhagat Singh Thind in 1923), this essay also argues that the meaning of whiteness was unstable and there was no external referent to determine its meaning. This essay maintains that whiteness was a discursive reality because its meaning was structured by the systems of difference from Asian Americans. Although Asian Americans were the undesirable “Other”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is essay suggests that they were a “constitutive outside” that was required as part of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making of whiteness.

      • KCI등재

        두 도시 이야기 : 퍼거슨과 미니애폴리스

        이찬행 ( Lee Chanhaeng ) 영미문학연구회 2020 안과 밖 Vol.0 No.49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why a number of blacks have been killed by police in the United States. The author maintains that police brutality should be understood not as the result of individual deviation but as the outcome of hierarchical racial structure by examining the 2014 death of Michael Brown in Ferguson, Missouri and the 2020 horrific choking death of George Floyd in Minneapolis. After the 1970s, Ferguson, a once-vanilla suburb in which white Americans were the majority population group, was turned into a chocolate suburb where the majority of residents were blacks. Nevertheless, the white Americans still retained almost all of the city’s power. The shooting and killing of an unarmed teenager named Brown was the inevitable tragedy caused by the racial conflicts between the chocolate suburb and vanilla power. In 2020, Floyd, a 46-year-old black, was murdered by a white police officer in Minneapolis. The city of lakes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progressive cities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city failed to put a ban on the use of excessive force by police officers. Floyd was victimized by Minneapolis police officers who became a group of beasts out of control.

      • KCI등재

        Korean Americans’ Responses to John’s Liquor Store Boycott in Los Angeles, 1991

        Lee, Chanhaeng(이찬행) 호서사학회 2017 역사와 담론 Vol.0 No.83

        본 논문은 사우스 센트럴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한인 상점에서 1991년 흑인 고객 리 아더 미첼이 한인 주인 박태삼에 의해 사살된 후 발생한 보이콧에 로스앤젤레스 한인들이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검토하는 글이다. 한인들은 미첼을 총도 무서워하지 않는 괴물로 표상하면서 박태삼에게는 아내를 보호하려는 용감한 남편이라는 이미지를 덧씌웠다. 보이콧에 대한 공적인 규탄을 위해 한인들은 또한 로스앤젤레스 최초의 흑인 시장 톰 브래들리와 흑인 민권운동 지도자들에게 압력을 가하고자 했다. 나아가 한인들은 박태삼을 돕기 위해 1세 한인 이민자와 1.5세 및 2세 한인 이민자들이 서로 협력하여 한인인종 관계비상기금이라는 조직을 결성하였다. 본 논문은 로컬의 정치인들과 민권운동 지도자들을 동원하려는 한인들의 전략은 성공하지 못했으나 이러한 과정은 한인들이 미국에서 비정치적인 관망자들이 아니라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적극적으로 지키고자 했던 능동적인 행위자들이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This essay examines how Korean Americans in Los Angeles responded to John’s Liquor Store boycott in which blacks protested the death of a black customer, Lee Arthur Mitchell, by a Korean immigrant merchant, Tae Sam Park, in his South Central Los Angeles store. While dehumanizing Mitchell as a monster unafraid of gunfire, Korean Americans represented Park as a courageous husband protecting his wife. Seeking public denunciations of the boycott, Korean Americans made an effort to bring pressure upon Tom Bradley, the first black mayor of Los Angeles, as well as black civil rights leaders. They also formed the Korean American Race Relations Emergency Fund (K.A.R.E.) in which first generation and 1.5/second generation community leaders banded together to support the Korean immigrant merchant. Although the Korean American leaders’ strategy of mobilizing local politicians and civil rights leaders was not successful, this essay argues that it shows Korean Americans were not apolitical spectators, but instead active agents who desperately tried to protect their intere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