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作物 섭취량 변화를 통해 본 農耕의 전개 과정 : 한반도 유적 출토 人骨에 대한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이준정(Lee, JuneJeong) 한국상고사학회 2011 한국상고사학보 Vol.73 No.-

        고고학 유적에서 출토된 작물유존체, 경작 관련 유구 및 유물, 그리고 역사기록을 토대로, 한반도에서 작물재배가 처음 시작된 신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농경이 어떤 과정으로 전개되었는지에 대한 대략적인 이해가 가능하다. 그러나 시대별로 각 작물이 실제 생계경제에 있어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였는지를 이러한 자료만으로 파악하기는 힘들다. 본고에서는 신석기시대 전기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8개 유적(거제 대포 패총, 부산 동삼동 패총, 태안 고남리 패총, 사천 늑도 유적, 김해 예안리 고분군, 경산 임당 고분군, 창녕 송현동 15호분, 서천 옥남리 분묘군)에서 출토된 인골 136개체에 대한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시대별로 각 개인이 영위한 식생활의 구체적인 면모를 복원하고 각 작물의 섭취량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몇몇 주요 작물을 종별로 분간할 수 없는 방법론상의 한계와, 현재까지 축적된 분석례가 시대적, 지역적으로 편중된 문제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부산 동삼동 패총 등 신석기시대 몇몇 유적에서 출토된 작물유존체의 양을 근거로 잡곡 농경의 비중이 상당한 정도에 달했던 것으로 보는 견해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삼국시대 이후 양상을 토대로 통시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청동기시대 도작 농경의 비중, 특히 실제 생산량 및 섭취량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도 벼가 주식으로 활용될 정도로 도작 농경이 활성화되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역사기록에서 벼의 주 소비층으로 언급된 상위 계층의 경우에도, 실질적인 섭취량은 그다지 많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 조선시대 중~후기 이후 상위 계층에 이르러서야 벼의 안정적인 섭취가 가능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reviews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 values measured from bone collagen of 136 individuals from 8 archaeological sites dated from the early Chulmun period to the middle to late Chosun dynasty, in order to detect how millet and rice agriculture was intensified through time. The consumption of millet is hardly detected from stable isotopic values of Chulmun people(Daepo, Tongsam–dong, Konam–ri sites), even though large amounts of millet remains were recovered from the same sites. The actual importance of rice in the Mumun diet is still unclear, since we have only one isotopic data from coastal shell midden site(Konam–ri) which located at the marginal area for the Mumun agriculture. Rice was not a staple crop even for the high status individual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carbon isotope results from Nuk–do, Yean–ri, Imdang, and Songheon–dong sites indicate a largely C₃ based diet, with certain amount of C₄ crops(i.e. foxtail millet and common millet). C₃ crops in Korean agricultural system include several species, such as rice, six–rowed barely, naked bread wheat, soybean, and azuki bean. It is almost impossible to differentiate between C₃ crop species using only isotopic values. Since high status male consumed less C₃ crops than low status individuals and/or female from some sites, it is suggested that the major C₃ crop consumed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could be beans, not rice. Rice as staple food is finally discerned from the isotopic values of high status individuals from the middle to late Chosun dynasty site(Oknam–ri site).

      • KCI등재

        한반도 유적 출토 飼育種 개의 활용 양상에 대한 고찰

        June Jeong Lee(李俊貞) 한국상고사학회 2013 한국상고사학보 Vol.81 No.-

        The current paper addresses the issue of what the major role of domestic dogs, Canis lupus familiaris, was during the prehistoric and proto-historic times in the Korean peninsula by examining faunal remains from archaeological sites. The earliest domestic dog i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identified from the early Neolithic sites such as the Bibong-ri, Yeondae-do, Daeyeonpyeong-do, and Dongsam-dong sites. People have been burying dead dogs deliberately since the Neolithic period. Such practices reflect the remarkable social compatibility between humans and dogs. At the Nukdo site, dated to the Early Iron to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s, dogs were buried individually in the so-called dog cemetery area as well as in close proximity to deceased people in the human cemetery area. Only male adult dogs were buried in the human cemetery, whereas both sexes and all ages including some puppies were buried in the dog cemetery area. I suggest that some male adult dogs conducting unique roles were treated specially as they were buried near people; other dogs were buried in dog burials, and some dogs were slaughtered and consumed. The domestic dogs were ritually disposed in human graves and in various ritual contexts such as in the fill of an abandoned well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At the Gangmun-dong site, the whole body of a 5 to 6 months-old puppy wrapped by a mesh bag was disposed in the pit where various kinds of ritual items were disposed together. Evidences of dog consumption have been found from several shell midden sites dated back to the Neolithic to the Three Kingdoms periods. I argue that domestic dogs were understood and treated in a variety of ways during Korean prehistory. 한반도의 선사 및 고대 사회에 있어 사육종 개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였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고고학 유적에서 출토된 개 유존체 자료를 집성한 결과, 신석기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는 61개 유적의 사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가운데 출토 정황이 명확한 30여 개 유적에 대하여 유존체가 발견된 층위 및 유구의 성격, 유존체의 위치ㆍ방향ㆍ자세, 부위별 출토 양상, 해부학적 위치 일탈 여부 및 관절 접합 여부, 해체흔 및 조리흔유무, 전체 동물유존체의 종별ㆍ부위별 출토빈도 및 성격, 유물ㆍ여타 동물유존체ㆍ인골 등과의 공반관계 등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각 유적에서 사육종 개가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고 매장되었는지 밝히고 이를 토대로 당시 사회에서 사육종 개를 활용한 양상을 고찰하였다. 사육종 개 유존체의 출토 정황은 1) 자연사한 개체를 의도적으로 매장한 경우, 2) 장송 의례의 일환으로 순장 또는 공헌된 경우, 3) 장송 의례 외의 다양한 의례적 맥락에서 희생된 경우, 그리고 4) 식용 후 폐기된 경우의 네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전 세계적으로 빈번히 발견되나 한국고고학계에서는 그간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의도적 매장 사례로 대연평도 까치산 패총, 광양 오사리 돈탁 패총, 사천 늑도 유적 등을 지목하였는데, 특히 늑도 C지구의 경우 기존에 순장 및 공헌으로 간주하던 예 가운데 상당수가 출토 정황 상 사후 의도적으로 매장한 사례로 분류된다. 사육종 개를 의례 시 희생물로 삼은 것은 신석기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발견되는데, 특히 강문동 저습지의 의례 유구에서 망태기에 쌓인 채 발견된 유체(幼體) 1개체의 예가 대표적이다. 삼국시대 이후로는 건축물을 축조하기에 앞서 초석 아래 매장하거나, 우물 의례 시 희생되는 등 다양한 의례적 맥락에서 활용된다. 또한 삼국시대에는 장송 의례의 여러 과정에서 순장 또는 공헌되는 예도 종종 나타나는데, 장송의례 시 주된 희생동물이었던 말이나 소에 비하면 극히 일부에 한정된다. 한편 사육종개를 식용하였던 증거는 신석기시대 이래 지속적으로 나타나지만, 출토량이 극히 적은 것으로 보아 보편적인 식용 대상은 아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한반도 선사 및 고대 사회에 있어 사육종 개는 다양한 실용적, 사회적, 제의적, 상징적인 맥락에서 활용되었으며, 시대에 따른 활용 양상의 차이가 어느 정도 간취되는 것으로 보아 향후 자료의 축적을 토대로 시대적 활용 양상의 특징 및 변화상을 고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HTML5 iframe 기반 상호작용형 융합 콘텐츠 저작을 위한 XML 데이터 모형 및 해석기 개발

        이준정(Jun Jeong Lee),홍준석(June Seok Hong),김우주(Wooj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2

        N-Screen 환경에서 HTML5 표준 기반 콘텐츠 개발은 필연적이다. 그러나 높은 개발 비용과 개발 인프라 부족 등의 이유로 HTML5 조작형 콘텐츠 개발은 소극적이다. 이에 동영상, 오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동적 조작 구현이 가능한 HTML5와 융합하여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효율적인 콘텐츠 개발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 모형은 통합 제어용 플레이어를 포함한 HTML5 레이아웃 내에 멀티미디어와 iframe(inline frame) 영역을 구분 배치하도록 설계하였다. 상호작용형 HTML5 문서들은 화면 단위로 나누어 작성하여 iframe을 통하여 제공된다. HTML5의 〈video〉, 〈audio〉 태그를 기반으로 구성된 통합 제어 플레이어는 멀티미디어의 재생 시점과 단위 페이지들이 iframe에 노출되는 시점을 동기화하거나 상호 연동시킨다. 구조적으로 분리된 HTML5 콘텐츠 모형은 개발 난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플래시를 대체하여 HTML5 상호작용 콘텐츠 개발 저변 확대와 관련 시장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In the N-Screen environment, HTML5 standard-based content development is inevitable. However, it is still passive the development of HTML5 manipulation type contents due to high development cost and insufficient infrastructure. Therefor we propose an efficient contents development model by convergence multimedia contents (such as video and audio) with HTML5 documents that can implement dynamic manipulation for user interaction. The proposed model is designed to divide the multimedia and iframe areas in the HTML5 layout page included the player for integrated contents control. Interactive HTML5 documents are divided into screen units and provided through iframe. The integrated control player composed based on the HTML5 〈video〉 and 〈audio〉 tags synchronizes or interlocks the multimedia playback time and the time when unit pages are exposed to the iframe. The structurally divided HTML5 content model can lower the development difficulty. In addition, by replacing Flash,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base of HTML5 interactive contents development and revitalizing related markets.

      • KCI등재

        베트남 호아빈 문화 편년 시론

        이선복(Seonbok Yi),이준정(June-Jeong Lee),김성남(Seongnam Kim) 한국상고사학회 2005 한국상고사학보 Vol.49 No.-

        베트남 북부 호아빈 성 일대에 산재한 호아빈 문화 유적에 대한 AMS 연대측정 결과는 호아빈 문화가 18,000 B.P. 이전에 확립되었음을 말해준다. 항쪼 유적 발굴에서는 모두 13개의 호아빈 문화층이 19,000 B.P.에서 9,000 B.P. 사이에 걸쳐 형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연대측정치, 퇴적층 구성상의 특징, 동물 자료 및 석기군의 특징에서 나타나는 변화의 양상은 호아빈 문화의 담당자들이 플라이스토세 말의 변화하는 환경 조건에 대응하는 적응 전략을 구사해 나갔음을 보여준다. 호아빈 문화 편년 체계와 적응 모델 수립을 위한 최초의 시도로서, 항쪼 유적의 자료는 호아빈 문화에 대해 적어도 3~4개의 분기로 구성된 편년 체계를 설정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AMS dating of the Hoabihnian sites in the Hoa Bihn Province in northern Vietnam suggests that the Hoabihnian Culture was already established by 18,000 B.P.. Excavation at the site of Hong Cho revealed 13 Hoabihnian levels cobering a period between ca. 19,000 B.P.. AMS dates and changes in lithological composition of deposits, as well as characteristics in fauna and lithic assemblage, suggest changing adaptive strategies adopted by the Hoabihnian under fluctuating climatic conditions. As the first attempt to establish the chronology and the adaptive model of the Hoabihnian, we suggest with the Hang Cho data to subdivide the Hoabihnian into several phases.

      • KCI등재
      • KCI등재

        수렵ㆍ채집 경제에서 농경으로의 轉移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李俊貞 嶺南考古學會 2001 嶺南考古學 Vol.- No.28

        한국 고고학에서 농경의 기원을 연구하는 데 있어 이론적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해 보고자 하는 목적 하에 본고에서는 수렵 · 채집 경제로부터 농경으로의 전이 과정과 그 원인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한반도 농경의 기원에 대한 기존의 학설들이 기초하고 있는 이론적 전제를 파악하여 그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농경으로의 전이 과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농경 우위설, 자원 부족설, 사회적 요인설, 이데올로기 변화설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환경의 변화, 인구의 증가, 사회 복합성 증가의 세 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갖고 농경으로의 전이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한국에서 이루어진 기존의 논의들은 크게 이주설과 인구압설로 요약되는데, 양자 모두 농경 발생의 원인과 그 과정을 구체적으로 고찰하는데 한계가 있어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를 위해서는 농경민의 이주, 농경민과 수렵 · 채집인들 간의 상호작용, 수렵 · 채집인들에 의한 재배종과 농경 기술의 도입 등의 여러 가능성에 대해 다각적으로 검토해 보아야 하며, 지역에 따라 이러한 양상이 다양하게 이루어졌을 경우도 염두에 두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한반도에서 농경으로의 전이가 일어난 원인에 대해서는 현재로는 구체적인 논의가 불가능하나, 기후의 변화, 인구의 증가, 그리고 사회복합성 증가의 세 가지 요소에 모두 가능성을 열어 두고 연구를 진행해 가야 할 것이다. In the current literature, the processes and causes of the transition to agriculture have been discussed using four major theoretical approaches. Each group emphasizes a different factor as the major cause for the transition: (1) the inherent advantages of agriculture, (2) the population-resource imbalance, (3) social demands, or (4) ideological changes. Among them, the second and the third approaches have been prevalent in the discussion of the agricultural transition around the world in recent years. The population pressure model that emphasizes the role of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and environment as a major causal factor has been one of the most prevalent models for explaining the transition to agriculture. Recently, however, it has been suggested that population increase or climatic/environmental changes could not be a primary cause for the transition to agriculture. Rather, changes in climate, environment, or population density may have created important shifts in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stress, and the use of domesticated plants could be one of these new risk-reduction strategies. The social approach has become more prevalent in discussions of agricultural transition in recent years. It emphasizes that the role of social demand among hunter-gatherers to produce food surplus was a driving force in the emergence of an agricultural economy. Major models of the Korean agricultural transition are assessed based on the review and evaluation of major theoretical approaches for the transition to agriculture. This review concludes that the traditional models have failed to reveal the underlying causes and to illustrate its complex processes. An alternative model is required that addresses three significant changes noticed at the time of the agricultural transition in Korea: (1) climatic/environmental changes, (2) population growth, and (3) the emergence of social ine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