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산림인증의 도입이 국내 목재시장에 미치는 영향

        서영완 ( Yeong Wan Seo ),이주람 ( Ju Ram Lee ),최정기 ( Jung Kee Choi ),차두송 ( Du Song Cha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접경지역인 강원도 인제군과 양구군 DMZ 일원의 민북지역 산림을 대상으로 산림자원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인제군과 양구군 민북지역의 산림관리계획을 위한 DB를 구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산림조사를 위하여 임시표본점 138개를 설치하였으며, 임상, 경급, 수종분포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상의 경우 활엽수림이 126개(91.3 %)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효림과 침엽수림은 각각 8개(5.8%)와 4개(2.9%)로 나타났다. 흉고직경의 경우 소경목(흉고직경 6~18 cm)과 중경목(흉고직경 18~30 cm)이 각각 83.5 %, 15.1%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경목(흉고직경 30 cm 이상)은 1.5 %로 나타났다. 한편, 임상별 평균임목재적을 살펴보면, 침엽수가 109.7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혼효림은 96.4 ㎥/㏊, 활엽수는 92.7 ㎥/㏊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임상별 직경분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중경목과 대경목의 비율이 침엽수림>혼효림>활엽수림으로 나타난 것과 일치하고 있다. 표본점의 입목 수를 바탕으로 출현수종을 산출한 결과 총 41개의 수종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상위 10개 수종은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소나무, 신나무, 아까시나무, 박달나무, 가래나무, 버드나무, 느릅나무, 물박달나무로서 전체의 69.7%를 차지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data base for forest management plan of DMZ region of Inje-gun and Yanggu-gun, Kangwon province through inventoring the forest resources of the region. A total of 138 temporary plots were installed to inventory and analyze forest type, dbh class and species distribution. The result showed that broad leaved forests ccurred the most at 91,3%, followed by mixed forests (5.8%) and coniferous forests (2.9%). mall dbh class trees (6 cm≤dbh≤18 cm) consisted of 83.5% of the total, middle dbh class(18cm≤dbh≤30 cm) 15.1% and large dbh class(dbh≥30 cm) 1.5%. In terms of growing stock per ha by forest type coniferous forest was the highest of 109.7 ㎥/㏊, followed by mixed forest (96.4 ㎥/ ㏊) and broad leaved forest (92.7 ㎥/㏊). This result consist with the fact that the proportion of middle dbhclass and large dbh class was coniferous>mixed>broad leaved. A total of 41 tree species appeared in the region and the top 10 species were Quercus mongolica, Fraxinus rhychophylla, Pinus densiflora, Acer ginnala, Robinia pseudoacacia, Betula schmidtii, Juglans mandshurica, Salix pseudolasiogyne, Ulmus davidiana, and Betula davurica, which account for 69.7% of the total.

      • 수간석해에 의한 우리나라 낙엽송 개체목의 생장패턴에 관한 연구

        서영완 ( Yeong Wan Seo ),이의섭 ( Eui Sub Lee ),이주람 ( Ju Ram Lee ),이대성 ( Dae Sung Lee ),최정기 ( Jung Kee Choi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북부, 동부, 남부 낙엽송의 생장패턴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각지역마다 15개의 낙엽송 영구고정표준지를 설치하였으며, 각 표준지마다 1개의 표준목을 벌채하여 모두 45그루의 낙엽송을 수간석해하였다. 수간석해 결과 연령은 19~60년생, 흉고직경은 17.0~47.9cm, 수고는 12.2~30.6 m, 수간재적은 0.1587~2.2792 ㎥의 범위를 보였다. 수간재적을 산림청의 재적과 비교해 본 결과 흉고직경 45 cm 이상의 재적에서 본 연구의 재적이 크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흉고직경 생장곡선과 수고생장곡선은 원점에 대하여 오목한 형태를 나타난 반면, 재적곡선은 원점에 대하여 다소 볼록한 형태를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흉고직경의 연년생장과 평균생장은 15년생일 때와 30년생일 때 각각 1.0 ㎝/yr과 0.7 ㎝/yr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고의 연년생장과 평균생장은 15년생과 25년생에서 0.6 m/yr와 0.5 m/yr로 가장 높았다. 한편, 재적의 경우 75년까지도 두 곡선이 만나지 않고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흉고직경과 수고 및 재적의 생장률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20~30년까지 급격히 감소하였다. 재적 성장률은 흉고직경과 수고생장률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The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growth pattern by stem analysis of Larch ( Larix kaempferi) in the Eastern, Northern and Southern Region of Korea. One standard tree from each of 45 sites was stemmed and analyzed for the study. The ages ranged in 19~60 years, dbhs in 17.0~47.9 cm, heights in 12.2~30.6 m, stem volumes in 0.1587~2.2792 ㎥. The stem volumes by our study had higher values over 45 ㎝dbh compared to Korea Forest Service. The dbh and height curves by age had a concave shape while volume curve had a convex shape. The average periodic annual increment (PAI) of dbh was the highest at age 15 (1.0㎝/yr) and the highest value of the mean annual increment (MAI) of dbh was 0.7 ㎝/yr at age 30. The highest values of PAI and MAI of height were 0.6 m/yr (age 15) and 0.5 m/year (age 25) respectively. The average PAI and MAI of volume continued to increase even after age 75. Growth percentages of dbh, height and volume tended to decrease with age and especially felled rapidly down at age 20~30. Volume growth percentage was much higher than diameter and h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