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릎 내측 구획 골관절염에서 초음파 유도하 경 반월상 연골 주사의 임상적 효과

        정의엽(Eui Yub Jung),왕준호(Joon Ho Wang),이의섭(Eui-Sub Lee),이성산(Sung-Sahn Lee),소상연(Sang-Yeon So)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5

        목적: 무릎 내측 구획 골관절염 환자에서 초음파 유도하 무릎 관절강내 경 반월상 연골 주사를 소개하고 그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9년 3월부터 2019년 7월까지 3개월 이상 무릎 통증이 지속되었던 무릎 내측 구획 골관절염 환자 중 초음파 유도하 경 반월상 연골 주사를 시행한 36명의 환자에 대해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초음파 유도하 척추 바늘을 이용하여 무릎관절강내 내측 구획에 corticosteroid와 국소마취제를 주사하였다. 시술 전, 1주, 4주, 8주째 신체진찰을 하였고 numeric pain rating scale (NRS), Lequesne index,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WOMAC) 점수를 측정하였다. 시간에 따른 NRS, Lequesne index, WOMAC 점수를 분석하였으며 상당한 호전이 있었던 환자들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내측 구획 골관절염의 단계에 따른 NRS, Lequesne index, 상당한 호전이 있었던 환자들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시술 전과 비교하여 1주, 4주, 8주째 NRS와 Lequesne index는 감소하였고 8주째까지 통증 감소 효과는 차이 없이 지속되었다. 상당한 호전이 있었던 환자들의 비율은 1주, 4주, 8주째 각각 50.0%, 47.2%, 52.8%였으며 8주째까지 통증 감소 효과는 차이 없이 지속되었다. 시술 전과 비교하여 1주, 4주, 8주째 WOMAC 점수는 감소하였고 8주째까지 차이 없이 감소가 지속되었다. 골관절염 1, 2단계 환자들에서 상당한 호전이 있었던 환자들의 비율이 골관절염 3, 4단계 환자들보다 1주, 4주, 8주째 유의하게 많았다(p<0.05). 결론: 무릎 내측 구획 골관절염 환자에서 초음파 유도하 무릎 관절강내 경 반월상 연골 주사는 평균 8주 이상의 통증 감소 및 기능개선 효과를 보였다. 특히 내측 구획 골관절염 1, 2단계 환자에서는 통증 감소 효과가 더 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ultrasound-guided transmeniscal injection in medial compartment knee osteoarthritis and analyze the clinical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36 patients with medial compartment knee osteoarthritis who were treated with an ultrasound-guided transmeniscal injection from March 2019 to July 2019 were accessed for this retrospective review. Using an ultrasound guided spinal needle, the patients received an intra-articular steroid injection at the medial compartment of the knee. A physical examination was conducted at the initial visit (pre-injection), and at one week, four weeks, and eight weeks after the injection. The numeric pain rating scale (NRS), Lequesne index, and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WOMAC) score were measured at each visit and analyzed over time. The percentage change of the patients who revealed substantial improvement was analyzed. The NRS, Lequesne index, and percentage of patients, who revealed substantial improvement over time classified by osteoarthritis grade, were analyzed. Results: The NRS and Lequesne index decreased at one week, four weeks, and eight weeks after the injection compared to the initial baseline, and the pain-relief effect continued without change until eight weeks. The percentage of patients who showed substantial improvement at one, four, and eight weeks was 50.0%, 47.2%, and 52.8%, respectively. The WOMAC scores decreased at one, four, and eight weeks compared to the initial baseline, and the decrease was continued without any difference until eight weeks. The percentage of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stage 1 or 2 who revealed more than substantial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at one, four, and eight weeks than those with osteoarthritis stages 3 or 4 (p<0.05). Conclusion: In patients with medial compartment knee osteoarthritis, the pain reduction and functional improvement persisted for at least eight weeks after the ultrasound-guided transmeniscal injection at the medial compartment. In particular, patients with medial compartment osteoarthritis stage 1 or 2 showed more effective pain reduction.

      • 강원,경북지역 낙엽송 지위지수 적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이대성 ( Dae Sung Lee ),이의섭 ( Eui Sub Lee ),최종현 ( Jong Hyun Choi ),서영완 ( Yeong Wan Seo ),최정기 ( Jung Kee Choi1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강원 및 경북지역의 낙엽송 지위지수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자료는 강원 및 경북지역의 45개 낙엽송 인공림 표준지 조사로부터 우세목 1본을 선발하여 수간석 해를 통해 분석되었다. 산림청에서 개발된 지위지수표에 의거하여 본 연구대상지의 지위지수를 산정한 결과, 지위지수가 18 이하로 낮은 지역은 8곳(18%)이었으며, 지위지수가 20 이상으로 우수한 지역이 37곳(82%)으로서 대부분 지역에서 지위지수가 우세하였다. 지위지수곡선의 적합도를 평가하기위해 수간석해목의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수고생장에 따른 지위지수의 변화를 도시한 결과, 초기 임령 때 지위지수와 차이가 없는 곳은 단지 8지역(18%)이었으며, 지위지수가 2∼4 m 차이가 발생한 지역이 19곳(42%), 6 m 이상 발생한 지역이 18곳(40%)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ompatibility of site index for Larix kaempferi in Gangwon and Kyeongbuk regions.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stem alalysis of one dominant tree at each of 45 permanent plots installed in the regions. The result of site index estimation following the site index table developed by Korean Forest Service (KFS) showed that 8 plots (18%) were less than site index 18 and 37 plot (82%) greater than site index 20. Height growth changes of stemmed trees until present were illustrated in a graphic form to evaluate the compatibility of site index curve. The result showed that only 8 plots (18%) did not show any change of site index as trees age, 19 plots (42%) fluctuated in 2∼4m and 18 plots (40%) over 6m.

      • 간벌강도에 따른 잣나무 인공림의 17년간 생장변화

        이대성 ( Dae Sung Lee ),이의섭 ( Eui Sub Lee ),서영완 ( Yeong Wan Seo ),최인화 ( In Hwa Choi ),최정기 ( Jung Kee Choi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잣나무 인공림을 대상으로 간벌강도를 다양하게 실시한 후 흉고직경, 수고, 수관폭, 수간재적, 수간바이오매스의 생장변화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1차 간벌은 19년생 때 입목본수의 31~69% 강도로 실시되었으며, 간벌 직후(19년생), 5년 후(24년생), 12년 후(31년생), 17년 후(36년생) 에 4차에 걸쳐 입목조사가 수행되었다. 간벌 직후부터 17년 후까지의 생장량을 파악해본 결과, 평균 흉고직경은 강도간벌구에서 13.4~22.4 cm로 생장하였으며, 대조구에서는 11.2~19.2 cm로 생장하였다. 수고의 경우에는 강도간벌구가 9.5~15.8 m로 생장하였으며, 대조구는 8.4~14.7 m로 생장하였다. 강도간벌구의 수관폭은 4.1~3.6 m로, 대조구에서는 3.3~2.8 m로 수관폭이 다소 줄어들었다. 단목의 평균재적은 강도간벌구에서 0.074~0.314 m3로, 대조구에서는 0.053~0.230 m3로 생장하였고, 수간바이오매스는 강도간벌구에서 27.8~124.9 kg으로, 대조구에서는 20.0~90.4 kg으로 생장하였다. 흉고직경 생장의 경우, 간벌 12년 후부터 생장률이 크게 감소하였다. 표준지간 간벌에 따른 수고생장은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2014년 3월에 표준지별로 강도를 달리하여 2차간벌을 실시하였으며, 향후 주기적인 생장변화 모니터링을 실시할 예정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growth changes of dbh, height, crown width, volume and stem biomass of Korean white pine ( Pinus koraiensis) according to thinning intensity. First thinning was done with 31~69% intensity based on number of trees in 19-year-old plantation, and trees were measured four times: right after thinning (19-year-old), 5 years later (24-year-old), 12 years later (31-year-old) and 17 years later (36-year old). In 17 years after first thinning, mean dbh growth of heavily thinned plots ranged in 13.4-22.4 cm, while the growth of control plots ranged in 11.2~19.2 cm. Height growths of heavily thinned plots were in 9.5~15.8m, while the height of control plots were in 8.4~14.7 m. Crown width of heavily thinned plots grew in 4.1~3.6 m, while the width of control plots decreased in 3.3~2.8 m. Mean stem volumes of individual tree were 0.074~ 0.314 m3 in heavily thinned plots and 0.053~0.230 m3 in control plots. Also, stem biomass of heavily thinned plots and control plots were in 27.8~124.9 kg and in 20.0~90.4 kg. Growth percentage tended to rapidly decrease from 12 years after thinni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height growths of the plots by thinning intensity. Thus, second thinning was applied with different intensities in March, 2014 and periodic monitoring will be conducted to investigate growth changes in the future.

      • 낙엽송의 흉고직경, 수고, 연령을 이용한 Allometric 모델 추정

        이대성 ( Dae Sung Lee ),이의섭 ( Eui Sub Lee ),서영완 ( Yeong Wan Seo ),최정기 ( Jung Kee Choi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북부, 동부, 남부지역 낙엽송의 흉고직경과 수고의 모델을 추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임령, 흉고직경, 수고는 북부, 동부, 남부산림청 관할 내 낙엽송림에서 수집한 매목조사자료이다. 흉고직경-수고 추정모델은 Parabolic, Prodan, Petterson, Korsun, Log, Freese, Kennel, Michailow을 사용하였으며, 모델의 평가를 위해 이용한 검정통계량은 결정계수(R2), 평균제곱근오차(RMSE), 평균편의(MD), 절대평균편의(MAD)이다. 모델을 추정한 결과, 검정 통계량 R2(0.972), RMSE(3.262), MD(0.047), MAD(2.465)를 가지는 Freese식height= e(-0.2908+1.2907+1.2308indbh+0.0233dbh)가 최적 모델로 선정되었다. 또한 임령에 대한 흉고직경과 수고의 모델로는 Chapman-Richards, Gompertz, Logistic, Sloboda, Weibull, Yield table이 사용되었다. 임령-흉고직경 최적모델은 검정통계량 으로 선정되었다. 임령-수고 추정에서는 정통계량R2(0.948), RMSE(4.443), md(-0.012), MAD(3.378)을 가지는 Gompertz식 height=34.6402e(-1.5977e-0.0279age)이 최적모델로 선정되었다. Chapman-Richards, Gompertz, Logistic, Sloboda, Weibull, Yield table이 사용되었다. 임령-흉고직경 최적모델은 검정통계량 R2(0.948), RMSE(6.679), MD(0.000), MAD(3.379)을 가지는 yIELD TABLE 식 dbh=2.1935age0.5985e-1.0277/age으로 선정되었다. 임령-수고 추정에서는 정통계량 R2(0.948), rmse(4.443), MD(0.012), MAD(3.378)을 가지는 Gompertz식 height=34.6402e(1.5977e)-0.0279age) 이 최적모델로 선정되었다.

      • 수간석해에 의한 우리나라 낙엽송 개체목의 생장패턴에 관한 연구

        서영완 ( Yeong Wan Seo ),이의섭 ( Eui Sub Lee ),이주람 ( Ju Ram Lee ),이대성 ( Dae Sung Lee ),최정기 ( Jung Kee Choi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북부, 동부, 남부 낙엽송의 생장패턴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각지역마다 15개의 낙엽송 영구고정표준지를 설치하였으며, 각 표준지마다 1개의 표준목을 벌채하여 모두 45그루의 낙엽송을 수간석해하였다. 수간석해 결과 연령은 19~60년생, 흉고직경은 17.0~47.9cm, 수고는 12.2~30.6 m, 수간재적은 0.1587~2.2792 ㎥의 범위를 보였다. 수간재적을 산림청의 재적과 비교해 본 결과 흉고직경 45 cm 이상의 재적에서 본 연구의 재적이 크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흉고직경 생장곡선과 수고생장곡선은 원점에 대하여 오목한 형태를 나타난 반면, 재적곡선은 원점에 대하여 다소 볼록한 형태를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흉고직경의 연년생장과 평균생장은 15년생일 때와 30년생일 때 각각 1.0 ㎝/yr과 0.7 ㎝/yr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고의 연년생장과 평균생장은 15년생과 25년생에서 0.6 m/yr와 0.5 m/yr로 가장 높았다. 한편, 재적의 경우 75년까지도 두 곡선이 만나지 않고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흉고직경과 수고 및 재적의 생장률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20~30년까지 급격히 감소하였다. 재적 성장률은 흉고직경과 수고생장률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The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growth pattern by stem analysis of Larch ( Larix kaempferi) in the Eastern, Northern and Southern Region of Korea. One standard tree from each of 45 sites was stemmed and analyzed for the study. The ages ranged in 19~60 years, dbhs in 17.0~47.9 cm, heights in 12.2~30.6 m, stem volumes in 0.1587~2.2792 ㎥. The stem volumes by our study had higher values over 45 ㎝dbh compared to Korea Forest Service. The dbh and height curves by age had a concave shape while volume curve had a convex shape. The average periodic annual increment (PAI) of dbh was the highest at age 15 (1.0㎝/yr) and the highest value of the mean annual increment (MAI) of dbh was 0.7 ㎝/yr at age 30. The highest values of PAI and MAI of height were 0.6 m/yr (age 15) and 0.5 m/year (age 25) respectively. The average PAI and MAI of volume continued to increase even after age 75. Growth percentages of dbh, height and volume tended to decrease with age and especially felled rapidly down at age 20~30. Volume growth percentage was much higher than diameter and height.

      • 낙엽송 중량 변화에 관한 연구

        이대성 ( Dae Sung Lee ),이의섭 ( Eui Sub Lee ),서영완 ( Yeong Wan Seo ),최정기 ( Jung Kee Choi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북부, 동부, 남부지역 낙엽송의 중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각 지역마다 15개의 낙엽송 영구고정표준지를 설치하였으며, 표준지마다 1개의 표준목을 벌채하여 모두 45그루의 낙엽송을 수간석해를 실시하였다. 수간석해된 원판의 중량을 정기적으로 측정하였으며, 스말리안법을 통해 원목의 중량을 추정하였다. 중량측정을 위해 이용된 낙엽송은 임령 19~60년생, 흉고직경 17.0~47.9 cm, 수고 12.2~30.6 m 범위의 입목이었으며, 입목에 따라 104~191일에 걸쳐 원판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중량변화 분석결과, 54년생 입목이 1,668 kg에서 1,160 kg으로 중량변화가 가장 심하였으며, 21년생 입목은 126 kg에서 89 kg으로 중량변화량이 가장 작았다. 전체적으로 낙엽송의 중량은 초기에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변화량이 작았다. 낙엽송 중량변화 곡선은 원점에 대하여 오목한 형태로 나타났다. 측정된 중량을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중량과 비교한 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18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weight changes of Larix kaempferi of the Northern, Eastern and Southern Region in Korea. A total of 15 permanent plots were installed in each region, one tree in each plot was fell for stem analysis and all section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age of Larix kaempferi used for the study ranged in 19~60 years, dbh in 17.0~47.9 cm and height in 12.2~30.6 m. Weights of all disks were measured in regular for 104~191 days and stem weights were expected using Smalian formula. The result showed that the green weight change of 54 year old tree was the most decreasing from 1,668 kg to 1,160 kg and that of 21 year-old tree was the least decreasing from 126 kg to 89 kg. The green weight of Larix kaempferi fell rapidly at the beginning and tended to decrease slowly with days. The weight decrease curves had a concave shape. Comparing the green weights of our study with Korean Forest Service (KFS) no difference was founded ( p=0.18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