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선순위 그루핑 기반의 CAN2Ethernet 게이트웨이와 종단 간 지연시간 개선방안 연구

        이훈동(HunDong Lee),이정도(JungDo Lee),손명환(MyeongHwan Son),이권(Kwon Lee),도승선(Seungseon Do),윤종호(ChongHo Yoon) 대한전기학회 2017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논문집 Vol.2017 No.4

        본 논문은 차량용 백본망에서 CAN2Ethernet 게이트웨이와 연결된 CAN 노드들의 종단 간 지연시간에 대해 설명한다. 이종 네트워크 간 데이터 교환 시, 종단 간 최대 및 최저 지연시간을 위한 분석식을 도출했으며, 이는 OMNeT++ 기반의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통해 검증되었다. 그리고 Ethernet 데이터를 CAN 데이터로 변환할 때, 실시간 데이터의 짧은 지연시간을 보장하는 우선순위 그루핑 방식을 제안한다. 이는, OMNet++ 기반의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다른 우선순위 방식들과 비교하였고 우선순위 그루핑 방식의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내륙습지 습지보호지역의 귀화식물 특성

        조광진(Kwang-Jin Cho),임정철(Jeoncheol Lim),이창수(Changsu Lee),정도(Jungdo Yoon),김미정(Mijeong Kim),추연수(Yeounsu Chu) 응용생태공학회 2020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7 No.4

        본 연구는 습지보호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의 현황을 파악하여 습지보호지역의 관리방안과 생태계 변화 경향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내륙습지 습지보호지역 21개소에서 생태계교란생물 10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129분류군의 귀화식물이 출현하였다. 섬진강 침실습지에서 가장 많은 71분류군의 귀화식물이 출현하였고 무제치늪과 숨은물뱅듸오름에서는 귀화식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귀화식물의 원산지는 북아메라카가 42분류군 (32.6%)으로 가장 많았고 1・2년생 초본식물이 68.2% (88분류군)를 차지하였다. 개망초, 토끼풀 등 건생이차초원에서 생육하는 귀화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았으며 연결체를 만들어 번식하는 분지식물이 19.4% (25분류군)를 차지하였다.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습지, 농업지역, 시가화지역 등의 입지적 요인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고도와 산림지역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귀화식물의 출현빈도와 생육특성, 습지보호지역의 입지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monitoring the trend of ecosystem change and establishing management plans for wetland protection areas by understanding the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21 wetland protection areas, 129 taxa, including 10 invasive alien species, were recorded. The naturalized plants appeared mostly as 71 taxa in the Chimsil wetland and were not observed in the Moojechineup and Sumeunmulbaengdui wetlands. Among the naturalized plants, 42 taxa (32.6%) originated from North America. Annual and biennial plants accounted for 68.2% (88 taxa). The frequencies of occurrence of naturalized plants growing in dry secondary grasses such as Erigeron annuus and Trifolium repens were high, and clonal plants that propagated by making stolons and struck roots accounted for 19.4% (25 taxa). The naturalized and urbanization indic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location factors such as wetland, agricultural land, and used area. However,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ltitude and forest. Therefore, a management plan that synthetically considers the occurrence frequency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as well as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wetland protection areas is required.

      • KCI등재

        국내 생태우수습지의 유형별 외래식물상 현황 및 특성

        추연수(Yeounsu Chu),조광진(Kwang-Jin Cho),김미정(Mijeong Kim),이창수(Changsu Lee),정도(Jungdo Yoon),임정철(Jeoncheol Lim) 응용생태공학회 2020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7 No.3

        습지는 교란에 의해 주변 유역으로부터 과잉수, 퇴적물, 영양염, 기타 오염물 등이 축적되는 흡수원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외래종에 의한 생물학적 침입에 취약하다. 본 연구는 내륙습지 유형에 따른 외래식물의 출현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태우수습지 24개소를 대상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외래식물상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 습지에서 발견된 외래식물은 총 130종으로 출현 식물 총 종수의 11%를 차지하였다. 이 중 국화과가 40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출현빈도가 높은 종은 개망초와 달맞이꽃이었다. 습지 유형별로는 하천형과 호수형 습지에서 평균 30종 내외로 평균 10종 미만인 산지형 습지보다 외래식물 종풍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위적인 간섭정도를 나타내는 귀화율, 도시화지수, 일·이년생 비율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군집분석에서는 하천형 습지와 호수형 습지가 혼재되었으며, 산지형 습지만 별도로 분리되었다. 산지형 습지는 외래종수가 현저하게 적은 것은 물론 다른 습지 유형에서 발견되지 않은 주걱개망초, 컴프리, 나도닭의덩굴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특히 미국쑥부쟁이, 돼지풀, 가시박, 단풍잎돼지풀 등 생태계교란생물은 하천형 습지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인위적인 간섭강도가 높은 하천형 및 호수형 습지에서 외래식물 확산 요인을 고려한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Wetlands are vulnerable to biological invasion by alien species, because they function as sinks that accumulate excess water, sediments, nutrients, and other contaminants from the surrounding watersheds by disturbance.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lien plants based on the type of wetlands, we classified 24 ecologically outstanding wetlands and analyzed the status of alien flora. A total of 130 alien plants were found in the wetlands, accounting for 11% of the total plant species. Among them, the Asteraceae species was the most diverse, with 40 species. Erigeron annuus and Oenothera ordorata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The species richness of alien plants in the riverine and lacustrine wetlands (average: 30 specie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mountainous palustrine wetlands (average: 10 species). The same results were found in the naturalization index, urbanization index, and ratio of annuals and biennials, which indicate the degree of artificial interference. In the cluster analysis, the riverine and lacustrine wetlands were combined, and only the mountainous palustrine wetlands were separated. The number of alien plants is remarkably low in the mountainous palustrine wetlands, and it is considered to be the influence of Erigeron strigosus, Symphytum officinale, and Bilderdykia convolvulus, not found in the other types of wetlands. In particular, invasive alien plants such as Aster pilosus, Ambrosia trifida,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were found intensively in the riverine wetland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 methodical management is urgently required considering the dispersal of alien plants in the riverine and lacustrine wetlands with high artificial inter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