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지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기성시가지의 역사 문화공간 DB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이재환(lee, Jea Hwan),장영진(Jang, Young Jin),신민식(Shin, Min Sik) 한국지적학회 2016 한국지적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최근 들어 도시 지역의 인구감소와 물리적 성장 둔화 등 도시 쇠퇴 문제에 대하여 개선 방안의 일환으로 도시의 잠재된 역사 문화를 통한 기성 도시의 재구성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행하였다. 조선시대 이후 발달해온 도시들은 구도심 부분에 많은 문화적 잠재요소를 내포하고 있지만 그 가치에 대한 개발이나 공간의 적용에 대한 논의가 그리 활발하지 않았음으로 이들 도시요소를 발굴하여 도시에재 반영함으로써 도시의 새로운 미래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의 문화 역사적 자료가 활용 될 수 있으며, 특히 그러한 자료의 토지정보 시스템을 활용한 DB구축과정을 통해 도시의 다양한 방향성을 보여 줄 수 있는가에 대한 과정과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지금 까지 도시 역사나 문화에 대한 정보나 자료는 각각 개별적인 DB형태로 관리 되어왔거나, DB화조차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자료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도시문화 역사의 종합적인 데이터구축을 위하여 우선 역사별로 중세와 근세에 도시와 관련된 원 자료를 발굴하고 그 가치에 대하여 논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원 자료들을 현대에 구축된 도시 DB와 다양한 형태로 결합을 시도하여 도시의 종합적인 역사 문화 DB 구축과정을 정리하였다. 특히 사례지역인 대구광역시 중구지역의 GIS 를 통한 역사자료의 DB화 과정을 통하여 실질적인 도시의 문화역사 DB가 어느 정도 활용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접근하였으며 그러한 과정을 통하여 도심 정책 반영에 있어 활용방향을 몇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도시의 문화역사적 데이터의 구축을 GIS 통한 새로운 활용방법 제시와 더불어 앞으로 대도시는 물론 중소도시의 역사적 DB구축과 활용을 통한 도심정책 수립의 한 방법으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understand the issue of urban decline and discuss about solutions by to recognize and take advantage of potential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in the city. Cities in Korea since the Joseon Dynasty have been developed. and most of old part of town a lot of potential cultural factors are implicated. But The value of the old city as a cultural space for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utilization is difficult. Because the most cities have no comprehensive history and culture DB. This study shows a city activation method through historic DB construction. In addition, we can show that what kind of documents and image can be used for historic DB construction. The information for the city history, the culture and the document were managed as form of individual DB. and even there are a lot of documents that it is not consist as DB so far. We are researched the document which is associated with Middle Ages and the early modern times of the city for the making of general city data. And we try to combination with now and past city DB by LIS system as various forms of general city DB. This study can be discuss as new utilization of LIS. and We hope that such a study process will be understand as new methodology in the downtown area worth as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 KCI등재

        논문 :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란인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시 가로변 버스정류장을 중심으로-

        이경순 ( Kyoung Soon Lee ),이재환 ( Jea Hwan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4

        서울시에서는 해외 BRT(Bus Rapid Transit; 간선급행버스)성공사례를 바탕으로 2006년 국내에 가장 먼저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하였으며, 대중교통 우선의 교통시스템을 도입하였다. 그 결과 주행속도 향상과 대중교통 이용의 활성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낙후 된 서울시의 가로변 버스정류장에 대한 문제인식과 다양한 개선 요소를 파악하여, 단순한 정류장 기능 외에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등 서울시는 2008년 5월에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을 공표 이후 사용자 중심의 버스정류장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상당히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서울시 가로변 버스정류장을 조사하여 ‘디자인가이드라인’의 기본방향 7요소로 평가하여 개선 방향을 점검해보기로 한다. 조사 방법은 서울시 25개 자치구 가로변 버스정류장을 중심으로 표본모델을 선별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평가방법으로는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의 세부항목인 ‘공공시설물 디자인가이드라인’의 기본방향 7요소 즉, 기능성, 통합성, 안전성, 보편성, 환경성, 연속성, 정체성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전체적으로 평균을 하회하는 수준으로 개선이 필요하고 특히 안전성, 정체성은 평균 이하 점수이다. 즉, 서울시의 역사와 문화적 의미인 정체성, 공공시설물의 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성에 대한개선이 필요하며 보편성, 기능성, 통합성, 연속성, 환경성에서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어 개선이 많이 되어지고 있다는 것은 고무적이다. Seoul introduced public-transportation-prioritized system by being the first city which deployed central bus-only lane in 2006 benchmarking successful practices of overseas BRT (Bus Rapid Transit). It enhanced driving speed and vitaliz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However, roadside bus stop have little been changed despite Seoul has tried to make them provide diverse information critical to citizens with analysis and understanding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relatively-backward bus stop, since ``Design Seoul Guideline`` on May 2008. Thus, this research will conduct survey of roadside bus stop of Seoul and evaluate them of 7 basic elements of the design guideline, to study improvements. To analyze, sample models were selected in roadside bus stop of 25 autonomous regions of Seoul. To evaluate them, the basic directivity was assessed with the 7 basic elements of public-facilities design guideline such as functionality, integration, safety, universality, environment, continuity, and identity, which are details of Design Seoul Guideline. The evaluation shows that the overall aspects are under average and need to be improved; specially, safety, and identity were under average. In other words, identity meaning history and culture of Seoul, and safety to prevent accident in public facilities need to be improved. In addition, there are many changes in universality, functionality, integration, continuity and environment, and many improvements about them are encouraging.

      • 멀티 조인트를 활용한 농업용 관수로 보수⋅보강 성능 평가

        김수호 ( Soo-ho Kim ),최진수 ( Jin-soo Choi ),이재환 ( Jea-hwan Lee ),이진영 ( Jin-young Lee ),신현오 ( Hyun-oh Shin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농업용수 관개를 개수로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기존 농업용 수로조직의 노후화와 과다한 수로손실 등으로 최근에는 지형의 영향을 덜 받으면서 안정적으로 용수공급이 가능한 관수로 시스템으로 전환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나 농업용 관수로는 건설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여러 가지 원인으로 관 자체의 구조적, 물리적 변화가 발생하여 노후화를 유발한다. 관수로의 다양한 파손원인은 크게 외부하중, 기온변화, 관의 내·외부 부식 등이 있다. 관종별 파손율에 있어 강관은 상대적으로 파손 발생율이 기타 종류의 관에 비해 작으나, 관경이 감소할수록 파손 발생률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관수로의 누수 등으로 인한 농업용수 손실을 줄이기 위해 노후화된 농업용 관수로의 개선된 보수/보강 기술이 필요하나 구체적인 방침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농업용 관수로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해 보수/보강 신재료 및 공법 개발, 유지관리 지침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내구성 증대, 유지관리비 절감, 용수 손실 방지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관수로의 보수/보강 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를 위하여 관의 균열, 보강방법을 변수로 하여 실험을 계획하였다. 관수로의 주요 파손 형태인 핀홀 및 균열을 정량적으로 모사하기 위해 직경 5mm, 7mm의 천공을 적용하였다. 보수/보강공법의 성능과 타 공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강관의 긴급보수에 활용되는 덧댐 용접(강관 모재와 동일한 두께의 강판 용접)과 서로 다른 멀티조인트, 보수테이프를 적용한 실험체를 추가 변수로 고려하였다. 관수로의 보수/보강 성능평가를 위해 직접 인장 시험과 4점 휨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두 시험 모두 200kN 용량의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UTM)를 활용하였다. 직접 인장 시험은 0.5mm/min의 속도로 변위 제어를 하여 기계적 성질(항복점, 연신율, 인장강도, 단면수축률 등)과, 물리적 특성(탄성한계, 비례한계, 푸아송비, 탄성계수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휨 시험은 0.5mm/min 변위제어로 가력하여 가력하중 및 중앙부 처짐, 관의 높이 및 위치별 변형률을 측정하여 보수/보강의 효율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농업용 관수로의 핀홀 및 균열이 관수로 강도 및 변형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보수/보강 방법에 따른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