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부 중심의 정책네트워크 관계구조와 정책집행 성과 간 상관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재무 ( Jaemoo Lee ) 단국대학교 정책과학연구소 2015 정책과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다원화 사회의 정책집행 실효성 제고에 일익을 담당하고자 정부 중심의 정책네트워크 현황을 고찰하고, 네트워크 내 정부부문 관계구조가 정책집행 성과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구축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네트워크 관계구조의 계량화 및 시각화에 유용성이 높은 사회연결망분석방법을 선용하였으며, 문화체육관광부와 여성가족부 중앙정부 부처 두 곳을 선정하여 이들의 2011년 및 2012년 업무평가 점수를 정책집행 성과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정책네트워크의 밀도 지수는 정책집행 성과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중앙성과 중심화수준은 정책집행 성과와 상호 정비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와 여성가족부를 제외하고 네트워크에 포함된 여타 정부부문과 민간부문 각각의 관계구조를 분석하여 민간부문의 네트워크만이 전체 네트워크 관계구조 양상과 동일한 관계구조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중심의 정책네트워크가 보이고 있는 이슈네트워크 양상과 정책네트워크 내 민간부문 활성화에 관한 제언을 실시하였다. This study considered overall policy network types to have a key part in effective policy enforcement of diversification society, and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how structure of government sectors in network builds correlation relation with policy enforcement result. In order to achieve a study object, this study made good use of social network analysis that is highly useful for quantifying and visualizing relation structure of network. Also as selecting 2 government sectors that Ministry of Culture and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study used their performance appraisal score in 2011 and 2012 as policy enforcement result.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ce correlation for density index of policy network with policy enforcement result and centrality has a correlation in mutually reciprocal proportion with policy enforcement result. Further, as analyzing each relation structure in other government sectors and private sectors included network except Ministry of Culture and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result shows that only network in private sectors has same relation structure aspects with overall network relation structure aspec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bout issue network aspects that is revealed by Korean policy network and promoting private sectors in policy network.

      • KCI등재

        검도의 도구 사용 전문성에 따른 동작 예측과 대뇌 신경 활성화의 차이

        허동찬 ( Dongchan Huh ),이지항 ( Jihang Lee ),이재무 ( Jaemoo Lee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2 No.3

        목적: 본 연구는 도구(죽도)를 사용함에 있어 전문성이 있는 검도 선수와 경험이 없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검도 동작에 대한 동작 예측 능력과 대뇌 신경 활성화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검도 선수 15명과 초보자 15명을 대상으로 시간적 차단기법을 활용한 동작 예측 과제를 수행하였다. 제시되는 검도 기술 영상(머리, 손목, 허리치기)을 보고 최종 타격 위치에 대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예측하는 것이다. 과제 수행과 함께 동작 예측에 따른 대뇌 신경 활성화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TMS를 활용한 운동유발전위(MEPs)를 측정하였다. 측정 변인은 예측 정확도와 반응 지연시간(latency) 그리고 운동유발전위이며, 이를 영상 구간에 따라 집단 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초보자와 비교해 검도 선수가 정확하고 짧은 반응 지연시간을 보여주었다. 영상 길이에 따른 집단간 비교는 1∼5구간에서 검도 선수가 유의하게 정확한 반응을 하였으며, 반응 지연시간에서는 모든 영상 조건에서 검도 선수가 빠르게 수행하였다. 운동유발전위 차이 비교에서는 1∼2구간과 6구간에서 유의하게 검도 선수가 높았으며, 초보자는 10구간에서만 높은 대뇌 활성화를 보여주었다. 결론: 연구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검도 선수의 우수한 예측 능력은 도구를 사용하는 스포츠 환경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동작 예측 능력이 경험을 통해서 획득된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다시 한번 증명하였다. 동작 예측 중에 나타난 도구 사용 전문가의 증가된 대뇌활성화는 거울 신경이 단순히 신체 간의 운동 일치에 따라 나타나는 것뿐 아니라, 도구의 움직임도 포함되어 거울 신경 기전이 작동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action anticipation and cortical neural activation for Kendo performance in the use of tools for professional kendo athlete and novice. Methods: Action anticipation tasks were performed on 15 kendo athletes and 15 novice group using temporal occlusion techniques. It is to accurately and quickly predict the final strike position by looking at the presented kendo strike videos (head, wrist and waist strike).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cortical neural activation according to action anticipation along with the task performance, motor-evoked potentials(MEPs) using TMS were measured. The dependent variables are predictive accuracy, response latency, and motor-evoked potentials, which are compared and analyzed between groups according to video length. Resul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kendo athletes had an accurate and fast response latency compared to the novice.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according to video length was significantly accurate by the kendo athletes in sections 1 to 5, and was quickly performed by the kendo athletes in all video length conditions during the response latency time. In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tor evoked potentials, kendo athle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1st and 6th sections, and novice showed high cortical activation only in the 10th sections. Conclusion: As shown in the results,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kendo athletes’ excellent predictive abilities can also be seen in sports environments using tools, and behavioral predictive abilities are acquired through experience. The increased cortical activation of tool-use experts during behavior prediction demonstrated that mirror neurons do not simply follow motor matching between bodies, but also include movement of the tool, allowing mirror neural mechanisms to per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