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육성 참다래의 항산화능 및 PC-12 신경세포 보호 효과

        이인일(Inil Lee),이봉한(Bong Han Lee),엄석현(Seok Hyun Eom),오창식(Chang-Sik Oh),강희(Hee Kang),조윤섭(Youn-Sup Cho),김대옥(Dae-Ok Kim) 한국원예학회 2015 원예과학기술지 Vol.33 No.2

        본 연구는 참다래의 항산화능을 측정하고, 참다래 과육 추출물의 PC-12 세포주에 대한 보호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참다래의 총페놀 함량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를 측정하였다. 국내에서 육성 재배 중인 참다래인 해향(Actinidia chinensis cv. Haehyang), 해금(A. chinensis cv. Haegeum), 비단(A. eriantha cv. Bidan), 만수(A. arguta × A. deliciosa cv. Mansoo), 치악(A. arguta cv. Chiak) 등 5품종과 뉴질랜드 유래 헤이워드(A. deliciosa cv. Hayward), 중국 유래 041AE(A. linguiensis accession number 041AE) 포함 총 7품종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참다래의 껍질 추출물은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능이 과육 추출물보다 더 높았다. 7품종 중에서 비단 품종 과육이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이 가장 높았지만,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가장 낮았다. 참다래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총페놀 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양의 선형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해향, 해금, 헤이워드 품종은 세포 내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PC-12 세포를 유의적으로 보호하였다. 본 연구는 해금, 해향, 비단 등 국내 개발 육성 참다래가 외래 도입종에 비해 더 높은 항산화능을 갖는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국내 육성 참다래가 높은 생리활성물질을 제공하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atively evaluate antioxidant capacity (AC) of seven cultivars of kiwifruit (Actinidia spp.) and their protective effects on neuronal PC-12 cells.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s (TP) and total flavonoids (TF) of kiwifruits were also examined. Five cultivars of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cv. Haehyang and cv. Haegeum), A. eriantha (cv. Bidan), A. arguta × A. deliciosa (cv. Mansoo), and A. arguta (cv. Chiak), were bred in Korea, while two cultivars, A. deliciosa (cv. Hayward) and A. linguiensis (accession number 041AE), originated from New Zealand and China, respectively. Skin extracts of kiwifruit showed higher TP, TF, and AC than flesh extracts. The highest levels of TP and AC were found in cv. Bidan flesh extract among cultivars studied, but the TF content of cv. Bidan flesh extract was the lowest. The kiwifruit bred in Korea had higher AC than their counterparts. AC of kiwifruit had a highly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ith TP and TF. The flesh extracts from cv. Hayward, cv. Haehyang, and cv. Haegeum significantly (p < 0.05) prevented PC-12 cells from oxidative stress induced using H₂O₂ compared to a control with H₂O₂ only.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kiwifruit bred in Korea may offer a good source of antioxidants and serve as functional materials.

      • SCOPUSKCI등재

        백년초의 PC-12 신경세포 보호 및 콜린가수분해효소(cholinesterase) 저해 효과

        황정승(Jeong-Seung Hwang),임성빈(Sungbin Im),이인일(Inil Lee),김태락(Tae-Rahk Kim),김대옥(Dae-Ok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1

        백년초를 80% (v/v) 에탄올-물 혼합용액으로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산화방지능, 신경세포 보호효과, AChE 및 BChE 활성저해능을 평가하였다. 백년초 100 g FW당 총페놀함량은 409.9 mg GAE,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2.2 mg CE이었다. 백년초(100 g FW)의 산화방지능은 ABTS, DPPH, ORAC법에서 각각 381.2, 298.2, 3,219.9 mg VCE였다. 백년초 추출물은 H₂O₂의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신경세포 PC-12의 생존율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또한, 백년초 추출물은 AChE 및 BChE 활성을 저해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백년초의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 감소에 의한 신경 세포 보호능과 AChE 및 BChE 저해능이 확인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백년초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 및 여러 가공품 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Oxidative stress caus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is ascribed to many neurodegenerative diseases like Alzheimer’s disease. Phenolic antioxidants can reduce the oxidative stress. In this study, ripe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OFS) were extracted using 80% (v/v) aqueous ethanol.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OFS fruits (100 g) were 409.9 mg gallic acid equivalents and 72.2 mg catechin equivalents, respectively. The OFS fruits had antioxidant capacity at 381.2, 298.2, and 3,219.9 mg vitamin C equivalents/100 g in ABTS, DPPH, and ORAC assays, respectively. The OFS fruits showed protective effects on PC-12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a dose-dependent manner, partly due to decrease of intracellular oxidative stress. Furthermore, the OFS fruits inhibited both acetylcholinesterase and butyrylcholinesterase. Conseque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FS fruits might be served as a source of functional materials to reduce oxidative stress in neuronal cells and to inhibit cholinesterases.

      • SCOPUSKCI등재

        삼채의 잎, 인경, 뿌리의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능

        황정승(Jeong-Seung Hwang),이봉한(Bong Han Lee),안향설(Xiangxue An),정하람(Ha Ram Jeong),김영은(Young-Eun Kim),이인일(Inil Lee),이형재(Hyungjae Lee),김대옥(Dae-Ok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2

        삼채의 잎, 인경, 뿌리 세 부위를 물, 메탄올-물 혼합용매, 무수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능을 정량 분석하였다. 삼채의 부위별 총페놀 함량은 잎이 240.4-276.6 mg GAE/100 g FW, 인경이 65.5-82.8 mg GAE/100 g FW, 뿌리가 50.0-59.4 mg GAE/100 g FW를 보였다. 삼채의 부위별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에서 9.7-34.1 mg CE/100 g FW, 인경에서 5.0-16.7 mg CE/100 g FW, 뿌리에서는 4.4-15.3 mg CE/100 g FW로 나타났다. ABTS법, DPPH법, ORAC법을 통한 항산화능은 잎에서 각각 78.7-103.4, 24.4-59.0, 1,798.8-2,169.7 mg VCE/100 g FW, 인경에서는 35.8-51.1, 9.3-26.3, 415.3-611.7 mg VCE/100 g FW, 뿌리에서는 42.0-55.9, 12.8-24.4, 291.7-429.4 mg VCE/100 g FW을 보였다. 삼채 잎, 인경, 뿌리 중에서 잎이 가장 높은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능을 가졌다. 6가지 추출용매에서 60% (v/v) 메탄올-물 혼합용매에서 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항산화능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보다 총페놀 함량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삼채가 높은 항산화능 공급할 수 있는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the leaves, bulbs, and roots of fresh Allium hookeri, they were extracted using various solvents including water, aqueous methanol (20, 40, 60, and 80%; v/v), and absolute methanol. The leaves had the highest levels of total phenolics (240.4-276.6 mg gallic acid equivalents/100 g) and total flavonoids (9.7-34.1 mg catechin equivalents/100 g). The highest antioxidant capacities of 78.7-103.4 mg vitamin C equivalents (VCE)/100 g, 24.4-59.0 mg VCE/100 g, and 1,798.8-2,169.7 mg VCE/100 g in the leaves were also observed using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s, respectively. The total phenolics had a higher linear correlation with antioxidant capacity than the total flavonoids. In general, 60% (v/v) aqueous methanol extract had higher levels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and higher antioxidant capacity than any other solvents used. This study suggested that A. hookeri might be a good source of phenolics and antioxid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