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세그먼트 트리를 이용한 IP 주소 검색

        이인복(Inbok Lee),박근수(Kunsoo Park),최양희(Yanghee Choi),정성권(SungKwon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01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8 No.11·12

        IP 주소 검색 문제는 주어진 IP 주소에 대해서 매칭되는 길이가 가장 긴 IP 접두사를 라우팅 테이블로부터 찾는 것으로서, 인터넷의 고속화에 장애가 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세그먼트 트리라는 자료 구조를 이용하여 이 문제에 대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알고리즘은 n개의 접두사가 주어졌을 때 O( log n) 시간에 IP 접두사를 검색할 수 있다. 또 기존의 알고리즘에서 문제가 되었던 IP 접두사의 삽입과 삭제 연산을 자료 구조 전체를 다시 만들지 않고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The IP address lookup problem is to find the longest matching IP prefix for a given IP address from the routing table and has been a central bottleneck in speeding up the Interne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lgorithm for this problem based on the segment tree data structure. Given n IP prefixes, our algorithm can do IP address lookup in O( log n) time. It also handles the insertion and deletion of IP prefixes efficiently without rebuilding the total data structure.

      • 소인수분해 알고리즘 간의 비교

        이인복(Inbok Lee),전성태(Sungtae Jun),박근수(Kunsoo Park)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Ⅰ

        임의의 큰 합성수를 소인수분해하는 문제는 오랫동안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빠른 소인수분해를 위해 지금까지 제안된 알고리즘 중 Quadratic Sieve [6] [8]와 Elliptic Curve Method [7] [8]를 구현하여 소인수분해가 어려운 수들에 대해서 실제로 적용해 봄으로써 두 알고리즘을 비교하고 성능의 경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 24㎓ FMCW Radar Systems for Blind Spot Detection System

        Inbok Lee(이인복),Joon Hyung Yi(이준형),Vyacheslav Tuzlukov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1 No.5

        This paper is devoted to analysis of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FMCW) radar system for safety driving application, namely, blind spot detection (BSD) system. We introduce FMCW radar with 24 ㎓ operating frequency as the best solution for BSD system. This paper has two main goals. The first goal is to define why the 24 ㎓ FMCW radar system is the most suitable for the BSD. The second goal is to draw up the FMCW radar system signal detection and processing algorithm design steps for BSD system.

      • 풍동실험을 통한 간척지 입지 양지붕형 온실의 풍압계수 산정

        이상연 ( Sangyeon Lee ),이인복 ( Inbok Lee ),김동우 ( Dongwoo Kim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우리나라의 농산물 수요와 시설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해외수출시장 개척과 내수시장 활성화를 위해 우리나라 정부는 간척지를 활용하여 대규모 시설 농업 단지를 조성하고자 계획하고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온실설계 기준은 대부분 일본이나 미국의 기준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간척지 기상을 고려한 온실 설계기준이 없다. 간척지는 바다와 접하고 있어 주변에 장애물이 적고 태풍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간척지의 풍환경에서 온실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간척지라는 특수한 기상 조건을 고려한 풍압계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주요 온실의 형태중 하나인 양지붕형 온실의 풍압계수를 풍동실험을 통해 산정하고 기존의 풍압계수 적용기준과 비교 및 고찰을 수행함으로써 우리나라 간척지의 기상조건, 지형 및 온실 조건에 적합한 풍압계수 적용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ESDU 기법을 통하여 우리나라 간척지의 지표면 상태를 평가한 후 풍속프로파일과 난류강도 프로파일을 설계하였으며, 1:20축적의 단동 양지붕형 온실에 대하여 풍동실험을 진행하였다. 지붕각도에 따라 6가지 모델(22, 24, 26, 28, 30, 32°)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풍향(0, 22.5, 45, 67.5, 90°)에 따라 풍압계수를 분석하였다. 풍동실험을 통해 산정된 풍압계수를 관련기준(국토교통부고시 건축구조기준 및 해설, 일본건축학회 건축물하중지침 및 동해설, 네덜란드 온실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값과 비교·분석하였다. 용마루직각방향에 대한 풍압계수를 검토한 결과, 풍하측 온실의 지붕면과 벽면에서 풍압계수가 -0.8 ~ -1.1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토교통부고시 건축구조기준 및 해설의 경우 온실 단부에 대한 풍압계수를 지붕면에서 -0.7, 벽면에서 -0.5를 제시하고 있으며 네덜란드 온실 기준의 경우 각각 -0.55, -0.3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국토교통부고시 건축구조기준 및 해설과 네덜란드 온실기준의 경우 온실 단부에서의 풍압계수를 과소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마루방향에 대한 풍압계수를 검토한 결과, 온실의 지붕와 벽면에서의 풍압계수는 풍상측에서 -0.7~ -1.2, 풍하측에서 0 ~ -0.2로 차이가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고시 건축구조기준 및 해설, 네덜란드 온실기준의 경우 온실의 지붕각도와 부위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만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온실에 작용하는 풍압분포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풍향별 풍압계수를 분석한 결과, 풍향 0°의 경우 풍하측 지붕면의 단부에서 용마루 양쪽 단부에서 나타나는 와류의 영향으로 부압계수 -1.06으로 부압이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향이 22.5°, 45°로 바뀜에 따라 한쪽 단부의 지붕면에서 국부적인 부압은 증가하게 되며 부압계수의 최대값은 풍향 22.5°에서 -3.65로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국부적인 풍압의 영향을 받는 피복재, 창틀 등의 설계에 국부풍압의 영향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CFD기법을 통한 온실 환기시스템 및 덕트 난방시스템의 평가

        이상연 ( Sangyeon Lee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온실은 재배작물의 적정생육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높은 에너지비용이 필요하다. 가온온실의 경우 평균적으로 총 운영비 중 41%를 난방비로 소비하며 주로 유류를 사용한다. 이에 화석연료를 대체할만한 에너지로 신재생에너지를 농업시설에 활용하고자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에너지 이용 효율성 분석의 선행되어야 한다. 온실 내부의 환경 조절을 위해 다양한 공조시스템이 활용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하절기에는 자연환기를 대상으로, 동절기에는 덕트 난방 시스템을 대상으로 에너지 이용 효율성의 향상을 위해 효율적인 환기 운영 및 덕트 난방 시스템의 적정 설계방안을 도출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기법(CFD)을 이용하여 여름철 대상 온실의 자연환기량을 분석하였고 겨울철 덕트 난방 시스템의 설계 방안에 따른 작물군에서의 유속 및 온도 균일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온실은 보령화력발전소에 위치한 8연동 플라스틱온실로 현장실험을 통하여 온실의 CFD 시뮬레이션 모델을 설계 및 검증하였다. CFD 시뮬레이션 모델에서 작물을 다공성매체로 가정하여 설계하기 위하여 공기저항 측정 실험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CFD모델은 작물특성, 온실형상, 구조적특징 등을 반영하였으며 격자크기, 난류모델에 따라 온실 내부 15개 지점에서의 기온 및 공기유속을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CFD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산된 값과 현장 실측치의 비교 결과, 온도 및 유속 분포의 결정계수 (R<sup>2</sup>)가 0.92~0.96으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계한 CFD 시뮬레이션 모델이 온실 내부 공기유동 모의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적정 격자 크기와 난류모델은 0.5 m와 RNG k-ε 모델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검증된 CFD 시뮬레이션을 통해 외부 풍환경에 따라 하절기의 자연환기량을 평가하였다. 또한 하절기 외부 풍속이 작아 자연환기를 통해 온실 내부에 환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순환팬을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약 0.3 min<sup>-1</sup> 만큼 환기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가적으로 겨울철 온실 내부의 열환경 및 풍환경의 균일성을 고려한 덕트 난방 시스템의 적정 천공 간격을 도출하였다. CFD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한 결과, 본 연구의 대상 온실에 설치된 덕트 난방 시스템의 경우 천공 간격의 감소비율을 1.2로 설계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는 본 연구의 대상 온실뿐만 아니라 다른 온실의 공조 설계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온배수 활용 온실의 에너지이용 효율화를 위한 냉·난방부하 산정 및 내부 공기유동 분석

        이승노 ( Seungno Lee ),여욱현 ( Ukhyeon Yeo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온실은 고품질의 작물을 집약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적정생육온도 유지를 위한 냉난방비용이 많이 든다. 가온온실의 난방비는 작물에 따라 평균적으로 농가 총 운영비 중 41%를 차지하며 대부분 유류를 통해 에너지를 수급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 시설재배농가의 경영안정성을 국제유가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에 지열, 바이오매스, 온배수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농업시설에 활용하고자하는 시도가 국가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새로운 에너지원을 활용하기에 앞서 에너지비용 및 에너지 이용 효율성 분석의 선행은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냉난방 설비에 따른 에너지비용 분석 및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한 온실 내 작물군에서의 생육환경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우선 대상온실의 냉난방부하를 산정하기 위해 보령화력발전소 내부에 위치한 8연동 플라스틱 온실을 대상으로 에너지교환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현장실험을 통하여 모델을 검증하였다. 온실 내 재배 작물인 애플망고를 모델에 반영하기 위해 증산량 및 기공저항을 측정하였으며 작물 에너지교환 모델은 증산량을 통해 검증을 수행하였다. 검증된 모델과 2006 ∼ 2015년의 기상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간별 냉난방부하를 통한 에너지비용 분석, 최대 냉난방부하 산정을 통한 냉난방설비의 적정 설계용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작물 특성, 온실 형상 및 구조적 특징 등의 현장 실측치를 이용하여 온실 내 공기유동 분석을 위한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설계하였다.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의 검증은 하절기 주간에 환기창을 모두 닫아 열을 모은 후 환기를 시작하는 시점부터의 온도변화와 내부 공기유속을 비교하여 수행하였다. 온실의 에너지교환 모델의 검증은 총 5일 간의 현장 실측치와 모델의 연산결과와 비교하여 비교하였으며 내부 기온 비교 (결정계수: 0.83, 일치도: 0.94) 및 작물 증산량 비교 (결정계수: 0.96, 일치도: 0.99) 결과 냉난방부하를 산정하기 적합한 모델로 판단하였다. 이를 통해 산정한 에너지원별 에너지비용 비교 분석 결과 등유보일러 사용 대비 온배수-히트펌프 사용 시 에너지비용 절감율은 평균 68.21%로 산정되었다. 또한 최대 냉방부하 및 난방부하는 각각 512,707, 469.872 kJ·hr<sup>-1</sup>로 현재 설치된 히트펌프의 냉난방용량인 467,381, 397,267 kJ·hr<sup>-1</sup>보다 다소 높게 산정되었다. 이를 통해 추가적인 냉난방부하 절감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의 검증은 총 3번의 실험 측정치를 이용하여 모델의 연산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내부 공기유속의 정량적 비교 (결정계수: 0.95, 0.92, 0.96) 및 온실 내부 지점별 기온의 정성적 비교를 통해 모델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검증된 모델을 이용하여 내부 냉난방 공조시설에 따른 작물 생육환경 조성의 효율성을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하절기 자연환기 시 풍향, 풍속, 환기조건에 따른 환기율을 분석하였다.

      • 전산유체역학의 LES 모델을 통한 단동 온실의 풍압 계수 예측

        이민형 ( Minhyung Lee ),김락우 ( Rackwoo Kim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현재까지 선행 연구에서는 온실의 구조 골조 설계에 적합한 평균 풍압 계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외장재 설계에 사용되는 피크 풍압계수를 고려하지 않는다. 최근 유리 온실 및 대형화 온실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서 외장재 파괴는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에 따라, 외장재 설계용 피크 풍압계수는 반드시 평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온실의 구조 설계용 평균 풍압계수와 외장재 설계용 피크 외압 계수의 예측을 하였으며 풍동 실험의 결과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다양한 환경 조건에 따라 간척지 풍환경을 적용하여 풍동 실험을 통해 단동 양지붕형 온실의 풍압 분포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산유체역학 난류 모델 중 유동의 비정상성 흐름 모의가 우수한 LES 난류 모델을 이용하여 시간 별 풍압계수를 도출하였다. 데이터 처리를 거쳐 각 풍압공 위치 별로 평균 풍압계수 및 피크 외압계수를 도출하였으며 풍동 실험으로부터 측정한 풍압계수와 비교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김락우 (2015)가 SST k-ω 난류 모델로부터 도출한 평균 풍압계수와 본 연구에서 도출한 평균 풍압계수를 비교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풍동 실험과 전산유체역학의 평균 풍압계수의 정성적인 분포는 매우 일치하였다. 또한,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중앙부 라인과 단부 라인에서 풍동 실험 결과와 전산유체역학 결과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기존 김락우 (2015)가 예측한 SST k-ω 모델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LES 모델이 풍하측 지붕면 및 벽면에서 풍동 실험의 결과를 보다 잘 예측한다. 최대, 최소 풍압계수를 검증 결과, 전산유체역학 모델로부터 도출한 피크 풍압계수는 일부 풍압공에서의 오차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풍압공에서 풍동 실험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전산유체역학 모델은 평균 풍압계수 뿐 만 아니라 피크 풍압계수 역시 적절하게 모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 돈사 내 열환경 데이터를 통한 공기연령 산정

        이상연 ( Sangyeon Lee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축산업은 농업분야에서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축산 시설의 대형화, 현대화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축산 시설의 현대화 및 대형화와 함께 시설 내부의 균일성, 안정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생육환경 조절 실패로 생산성 저하, 각종 질병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축산 시설 내부의 주요 환경 인자의 종합적 조절 인자로서 환기의 중요성 증가하고 있으며 축산 시설 내부의 균일성,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환기량을 정확하게 산정할 필요가 있다. 축산 시설 내부의 환기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유출입 평가 방법과 유동 추적 방법이 있다. 유출입 평가 방법은 유출입구에서의 압력, 수분, 이산화탄소 등의 물리량을 측정하여 간단한 수치 모델이나 현장 실험을 통하여 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유출입 평가 방법은 시설 전체의 환기량 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국부적인 환기량을 예측할 수 없다. 이에 반해, 유동 추적법은 유동을 추적하여 시설 전체 환기량과 지역적 환기량을 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유동 추적법은 현장 실험 시 추적 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위험성, 비효율성, 고비용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동 추적법의 하나인 공기 연령 이론법을 바탕으로 추적 가스가 아닌 열환경 분포를 통하여 돈사 내 환기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추적 가스와 열환경 분포의 공기 연령 이론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공기 연령 이론법을 통한 환기량 지표인 LMA (Local Mean Age, 국소 평균 연령)를 이용하였다. 먼저 돈사 내에서 현장 실험을 통하여 외부 기상 및 내부 환경 조건, 온도 (열환경 분포), 유속 분포, 이산화탄소 (추적 가스) 농도를 측정하였다. 현장 실험을 통하여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적 가스 농도 감쇠를 통한 LMA와 열환경 분포 감쇠를 통한 LMA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검증 모델을 설계하고 현장 실험으로부터 도출한 결과와 검증을 수행하였다. 검증을 위하여 열환경 분포 감쇠를 통한 LMA 결과와 시설 내부의 유동 결과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추적가스 농도 감쇠를 통한 LMA와 열환경 분포 감쇠를 통한 LMA 값의 오차는 약 0.9 s (0.6%), RMSE는 5.34 s로 도출되어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LMA 값을 도출하고자 하는 공간에 대해서 충분한 단열을 확보한다면 온도를 이용한 LMA 값을 도출하는 것도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CFD 모델의 검증 결과 적정 격자크기는 0.1 m, 적정 난류모델은 Standatd k-ω 모델로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설계된 CFD 모델 결과와 현장실험 결과의 오차는 5.8 s, RMSE는 7.5 s로 매우 작게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계한 모델은 돈사 내 환기량을 평가하기 위한 모델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지열 히트 펌프 시스템을 이용한 온실의 에너지 시스템 설계

        이성복 ( Sungbok Lee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사계절이 뚜렷한 국내 농업분야에서 연중 고른 작물 생산을 위해 시설원예는 필수불가결한 조건이다. 국내 시설원예 재배 면적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서, 시설원예 총 경영비 중 난방에 지출되는 비용은 대상 작물에 따라 최대 58%로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난방에너지의 92%가 유류로 충당되고 있는 등 대부분의 에너지를 외국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현실을 감안할 경우, 유가상승 등에 대비하여 농가 경영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난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 활용 및 수급이 시급하다. 지열에너지는 연중외기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지속가능한 에너지이며 안정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에너지로 농업시설에 이용하기에 유리하다. 그러나 지열 시스템의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시설의 규모, 위치, 재배작물 그리고 기상 및 환경 조건 등의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는 온실을 종합적으로 제어하기위한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국내 기술 부족으로 인한 지열에너지 시스템의 불필요한 과설계는 시공비 등의 막대한 손실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Building Energy Simulation (BES) 프로그램 중 하나인 TRNSYS를 이용하여 지열 이용 온실의 에너지부하를 산출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적정 지열 시스템의 용량을 산정한 후 기존 시설과의 비교를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지열 이용 온실의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TRNSYS를 이용하여 지중열교환기, 열 펌프, 축열조, 팬 코일 유닛 등의 모듈 조합을 통해 지열 시스템 시뮬레이션을 모의하고 온실 모듈과의 연결을 통하여 시스템의 적합성을 검증하려고 한다. 또한 TRNSYS 에너지부하 산출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출된 결과를 신재생에너지 분석 프로그램인 RETScreen에 적용하여 기존 지열 이용 시설을 내부수익률법(IRR)과 투자회수기간법을 활용한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남원시 생암면 대강리에 소재한 지열시스템 이용 농가인 탑그린 영농조합을 대상으로 2009년(지열설치 이전)의 부하를 TRNSYS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산출한 결과 난방부하는 약 1,857Gcal가 발생했고 냉방부하는 약 974Gcal가 발생했다. 이를 330,000ℓ의 경유를 사용한 2009년 실제 사용량과 비교하면 약 306,000ℓ로 산출된 시뮬레이션 결과와 약 10%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RETScreen에 적용하여 경제성평가를 한 결과 투자회수기간은 약 6.5년으로 계산되었고, IRR은 약 17%로 산출되었다.

      • CFD기법을 통한 간척지 환경조건에서의 연동형 온실의 자연 환기율 평가

        이상연 ( Sangyeon Lee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우리나라의 온실은 대부분 단동형 온실(약 73%)이지만 연중 안정된 고품질의 농산물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 연동형 온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맞춰 최근 정부에서는 국내간척지 12지구에 첨단수출 원예단지 등 대규모시설농업 단지 조성 계획을 고시하였다. 간척지에서의 풍환경은 내륙에 비해 지형상의 장애가 적어 풍향이 일정하고 풍속이 큰 특징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내륙 설치 온실과는 다른 설계기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입지 온실의 설계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CF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온실 형태, 환기방식, 연동수에 따라서 간척지 풍환경 특성이 고려된 연동형 온실의 자연환기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연동형 온실인 벤로형, 와이드스판형, 1-2W형 온실에 대해 환기율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 설계는 Ha(2015)에 의한 검증 결과를 토대로 온실 내부의 격자사이즈는 0.2m, 난류모델은 RNG k- ε 모델로 선정하였으며, 국내의 대표 간척지의 기상 환경 분석을 통해 풍속 1m/s, 2.5m/s, 5.5m/s를 기준풍속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ESDU프로그램을 통해 풍속 및 난류 프로파일을 설계한 뒤 시뮬레이션의 경계 조건으로 설계하였다. 설계된 CFD 모델을 바탕으로 질량교체환기율(Mass flow rate), 추적가스환기율(Tracer gas decay rate) 방법을 이용하여 자연환기율을 산정하였고 이를 열평형 방정을 통해 산정된 필요환기량 값과 비교·분석하였다. 간척지 입지 연동형 온실의 자연환기율을 분석한 결과, 연동수가 증가함에 따라 MFR 환기율과 TGD 환기율 모두 감소되는 결과가 나왔으며 풍속이 1m/s, 2.5m/s, 5.5m/s로 증가함에 따라 환기율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 내부의 구역별로 산정된 추적가스환 기율을 통해 풍환경과 환기 방식에 따른 환기 원활구역과 정체구역을 판단하였다. 온실의 형태별 비교 결과 환기율은 벤로형, 1-2W형, 와이드스판형 순서로 벤로형 온실이 가장 높게 산정되었다. 환기방식에 따라 비교하기 위해 추적가스법으로 산정된 벤로형 8연동 온실(풍속 1m/s, 풍향 90°)의 환기율을 예로 살펴보면, 측창환기를 기준으로 측·천창환기 방식은 약 3.8배, 천창환기는 약 0.5배로 산정되었다. 필요환기량 충족여부 평가 결과, 풍향이 90°, 측창환기시 벤로형 온실의 경우 온실 내·외기의 차를 4℃로 유지하기 위해서 2연동 온실은 2.5m/s와 5.5m/s일 때 질량교체환 기율이 필요환기량을 만족하였고, 8연동 온실은 5.5m/s 이상일 때 필요환기량을 충족하는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환기 설계 기준 및 환기 운영 기준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