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체 내부를 향한 마태의 경고 - 마태복음 23:15의 사회학적 읽기

        이우경(Lee, Wookyoung) 한국신약학회 2020 신약논단 Vol.27 No.2

        이 글의 목적은 마태복음 23:15, 소위 율법학자들과 바리새인들을 향한 예수의 두 번째 화 외침을 이해하는 것이다. 즉 마태 저자가 어떤 대상에게 무슨 목적을 가지고 해당 구절을 기록했는가를 살피는 일이다. 이를 위해 우선 유대교, 특히 바리새적 유대교가 기원후 1세기에 이방인 선교를 조직적으로 실행했는가에 대한 학자들의 논의를 다룰 것이다. 그리고 그 논의의 결과가 해당 구절을 해석하는 데 상충하지 않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마태복음 23:15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의 사회학적 해석을 시도할 것이다. 그것은 해당 구절이 마태공동체 외부의 타인을 향한 저주가 아니라, 공동체 내부의 바리새인 출신 그리스도인 그룹을 향한 경고 및 훈계라는 것이다. 마태 저자는 이방인을 완전한 유대인으로 개종시킴으로써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는 바리새인계 그리스도인 그룹의 선교가 잘못된 것이라고 비판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Matthew 23:15, which is called Jesus’ second condemnation of the Pharisee and the teacher of the Law of Moses. In particular, this article examines what purpose the author of Matthew had when recording 23:15, and what the goal or object of this verse was. First, this article notes scholars’ discussions about whether Pharisaic Judaism had systematically practiced gentile missions in the first century BCE. Next, the article examines if the conclusion of these scholarly discussions conflicts with Matthew 23:15. Finally, this article proposes a sociological interpretation in order to understand Matthew 23:15 from a new perspective. Namely, this article sets forth an interpretation that Matthew 23:15 is not a curse on others outside the Matthew’s community, but a warning and admonition addressed to a group of Christians, warning them of the Pharisees inside the community. In other words, Matthew criticizes the missionary work of the Pharisaic Christian group that purported to convert gentiles to Christianity by actually converting them to Judaism.

      • KCI등재

        땅끝까지 이르는 이방인 선교의 예비적 성취 - 사도행전 8:26-40을 중심으로

        이우경(Wookyoung Lee) 한국기독교학회 2021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0 No.-

        이 글은 사도행전 8:26-40을 분석한다. 사도행전은 예수의 명령, 곧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끝까지”(행 1:8) 복음을 전파하라는 명령을 성취하는 구조로 진행된다. 하지만 사도행전의 결말은 바울이 로마에서 복음을 전파하는 내용으로써 일종의 미완성의 선교로 종결된다. 그렇다면 사도행전은 ‘땅끝’까지 복음을 전파하지 못한 것인가? 이러한 의문에 대하여 이 글은 사도행전 8:26-40이 누가의 선교 계획의 최종 목적지를 예비적으로 성취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빌립에 의해 복음을 전해 받는 에티오피아 내시는 사도행전 안의 첫 이방인이다. 그리고 그는 당시 고대인들에게 ‘세상의 끝’으로 인식된 에티오피아 출신이다. 따라서 땅끝의 사람이 복음의 중심지인 예루살렘에서 우선적으로 복음을 전해 받고, 다시 에티오피아로 내려갔다는 사실은 이미 땅끝에서 완결될 복음의 여정이 예비적으로 성취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사도행전은 예루살렘으로부터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끝까지 확장되는 선교의 도식 안에서 의도적으로 에티오피아 내시의 회심 내용을 위치시킴으로써, 땅 끝까지 이르는 이방인 선교를 예비적으로 성취한다. This article analyzes Acts 8:26-40 in the New Testament. The book of Acts is structured as fulfilling Jesus’ order, which says, “you shall be my witnesses in Jerusalem and in all Judea and Samaria and to the end of the earth” (1:8). Acts, however, concludes with a sort of incomplete mission, Paul evangelizing not the end of earth, but Rome. If this is the case, did the book of Acts fail to evangelize the end of the earth? For these questions, this article’s argument is as follows: The pertinent passage (Acts 8:26-40) is a preliminary realization of the final goal of mission of Acts, namely evangelizing the end of the earth. The Ethiopian eunuch in Acts is the first gentile who was engaged in mission work. Furthermore, he is from Ethiopia, which was recognized to be ‘the end of the world’ by ancient people. Therefore, the fact that the person from the end of the world was first evangelized in Jerusalem, the center of good news, and then he went to his homeland implies that the process of the evangelization, which will be ultimately realized in the end of the earth, had already been fulfilled in the opening part of Acts.

      • KCI등재

        A Student who Became a Teacher and a Teacher who Became a Student: A Study on the New Teacher-Student Relationship based on Mark 7:24-30

        Wookyoung Lee(이우경)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1 신학논단 Vol.106 No.-

        마가복음 7:24-30은 새로운 교사-학생 관계를 보여준다. 예수는 시로페니키아 여자와의 대화 안에서 비유를 통해 그에게 거절의 가르침을 전달하지만, 그 상대 여자는 비유라는 동일한 방식을 통해, 그리고 비유가 상징하는 바를 확장함으로써 예수에게 새로운 가르침을 전달한다. 그 결과 예수는 시로페니키아 여자의 가르침을 성공적으로 학습한다. 이렇게 교사로서의 예수는 가르치는 자에서 배우는 자로 변경되고, 학생으로서의 시로페니키아 여자는 배우는 자에서 가르치는 자로 변경된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 사이에서 교사가 학생이 되고 학생이 교사가 되는 관계의 이해는 교사가 오직 가르치는 자라는 기존의 일방적 교사 정체성의 인식을 재고하게 한다. 더 나아가 마가복음 7:24-30의 예수와 시로페니키아 여자의 새로운 상호적 교사-학생 관계는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이상적 관계의 교육관을 제시한 파울루 프레이리(Paulo Freire)의 대안적 교사-학생상과 일맥상통한다. Mark 7:24-30 provides a new look at Jesus as a teacher. In his encounter with a Syrophoenician woman, Jesus conveys the teachings of rejection to her by way of metaphor. It comes as a surprise that the woman delivers new teachings to Jesus by using metaphor as well and Jesus successfully learns her teachings. Jesus is thus changed from a teacher to a learner, while the Syrophoenician woman is changed from a learner to a teacher. Where a teacher becomes a student and a student become a teacher, one can cast doubt on the alleged un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is new malleable image of Jesus both as a teacher and a student simultaneously stands in line with Paulo Freire’s alternative teacher-student image. This finally offers an educational model of an ide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 KCI등재

        정치적 갈릴리인 그리고 지리적 갈릴리인

        이우경(Lee, Wookyoung) 한국신약학회 2018 신약논단 Vol.25 No.2

        누가복음 안에는 갈릴리인들에 대한 빌라도의 상반된 이해가 나타난다. 하나는 갈릴리인들을 학살하는 부정적인 모습이고(눅 13:1), 다른 하나는 예수가 갈릴리인임을 알고 처형하기를 꺼려하는 긍정적인 모습이다(23:6). 그렇다면 갈릴리인에 대한 평면적인 이해가 아닌 입체적인 이해의 가능성은 존재하는가? 이에 대한 도움으로 요세푸스의 작품들 안에 나타나는 갈릴리인들에 대한 이중적 이해를 살펴본다. 요세푸스의 갈릴리인들에 대한 학계의 대체적인 동의는 요세푸스가 ‘갈릴리인들’이란 용어를 이중적으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하나는 『자서전』에 등장하는 반로마적 혁명주의 세력인 ‘정치적인 갈릴리인들’이다. 다른 하나는 『전쟁사』에 등장하는 단순히 갈릴리라는 지역 출신이거나 그 지역에 속하는 ‘지리적인 갈릴리인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정치적 갈릴리인들과 지리적 갈릴리인들이라는 이중적인 이해를 통하여 누가복음 13:1-3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다. 예수는 지리적 갈릴리인들을 대상으로 가르침을 전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 안에 숨어있던 정치적 갈릴리인들은 예수에게 유월절 준비기간 동안 예루살렘 성전에서 빌라도에게 죽임을 당한 갈릴리인들에 대하여 정치적 논평을 요청한다. 예수는 학살당한 갈릴리인들을 ‘영웅’으로 보는 정치적 갈릴리인들과 이와는 달리 ‘죄인’으로 보는 지리적 갈릴리인들을 향하여, 정치적 갈릴리인들이 지리적 갈릴리인들보다 더 큰 죄인이 아니라는 점을 반문하고, 더 나아가 정치적 갈릴리인들과 지리적 갈릴리인들 모두는 죄인으로서 다 같이 회개해야 할 것을 촉구한다. 이러한 예수의 대답은 각 갈릴리 집단에 대한 이중적인 효과를 지닌다. 우선 정치적 갈릴리인들에게는 죽임을 당한 갈릴리인들을 영웅이 아닌 죄인으로 규정함으로써 시험을 목적으로 한 정치적 논평의 요구를 종교적 답변으로서 회피한다. 그리고 지리적 갈릴리인들에게는 그들이 정치적 갈릴리인보다 덜한 죄인이라는, 그들이 가지고 있던 전통적인 인과응보의 신학에 도전한다. 마지막으로 예수의 답변은 정치적인 갈릴리인들과 지리적인 갈릴리인들 모두 로마제국의 갈릴리 침공에 대비하여 모두가 하나님께 회개해야 함을 주장한다. It is notable that Josephus envisages a double, if not contrasting, understanding of Galileans. The Galileans are often portrayed as champions of anti-Roman resistance particularly in Life. In War, however, the term “Galileans” simply refers to the inhabitants in Galilee or people who were from the region. Similarly, the double nature of the term ‘Galilean,’ one political and the other geographical, can serve as an interpretive key for Luke 13:1-3. Jesus’ audience were Galileans in terms of their residence and origin according to the narrative context (geographical Galileans). A few among them posed to Jesus a question on the Galileans who were slaughtered by Pilate in Jerusalem. The question could be charged with anti-Roman connotations, and those who raised it can be considered as political Galileans. While they might have seen the murdered ones as heroes, Jesus declared them to be sinners, refuting the political concern of his audience and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ir status before God. He also challenged the conventional, deuteronomic theology of the geographical Galileans and exhorted all of them to repent their sins, implying the Roman attack on Galilee.

      • KCI등재

        사두개인, 그리스도교의 반대자

        이우경(Wookyoung Lee)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6 No.-

        이 글은 사도행전 안에 나타나는 사두개인들에 대한 누가-행전 저자의 의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저자가 왜 사도들의 반대자로 사두개인들을 등장시키는지를 탐구한다. 일반적인 사두개인, 사도행전 안의 사두개인, 그리고 특별히 사도행전 4:1–4 안의 사두개인을 종합해서 판단해볼때, 누가-행전의 저자는 그리스도교의 대표적인 반대자들을 사두개인들로 상정한다. 그리고 그들이 그리스도교를 박해한 이유를 특별히 ‘죽은 자들의 부활’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저자는 이러한 신학적 입장 차이를 통해 자신의 그리스도교 공동체가 사두개인들과 대조되며, 사두개인들의 주된 경쟁자들인 바리새인들과 공통점을 이루고 있음을 주장한다. 곧 저자는 그리스도교 공동체가 당시 로마제국과 랍비유대교가 배척하던 사두개적 유대교와 다르며, 새롭게 정치 · 종교적 주도권을 잡은 바리새적 유대교의 테두리 내에 있음을 암시한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intention of Luke-Acts about the Sadducees in Acts. Namely, it focuses on why the author of Luke-Acts made the Sadducees appear as the opponents of the apostles. Judging from the understanding of the Sadducees in general, in Acts, and especially in Acts 4:1-4, the author of Luke-Acts located the Sadducees as the typical opponents of Christianity. The main reason why they persecuted the Christianity, he explained, was that they did not admit ‘the resurrections of the dead.’ The author of Luke-Acts argued that through the theological differences, his own Christian community was contrasted with the Sadducees, and had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Pharisees, main competitors of the Sadducees. That is to say, the author of Luke-Acts suggested that the Christian community was different from the Sadducean Judaism, which both Roman Empire and Rabbinic Judaism scorned, and that it was in the boundaries of the Pharisaic Judaism, which took away the new political and religious initi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