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준ㆍ고령자 직업훈련의 훈련생 및 훈련 특성이 재고용에 미치는 효과

        이경희(Lee Kyung Hee),이요행(Lee Yohaeng)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3

        본 연구는 고령자 직업훈련생의 훈련수료 후 재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그리고 재고용시 고용의 질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훈련특성 및 훈련생 특성을 28개 훈련기관과 576명의 훈련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훈련 수료 후 고용여부에 대한 개별 변인의 독립성 검증 결과, 훈련직종, 훈련기간, 훈련기관형태, 훈련경력, 소재지 및 훈련생의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상담/강사, 환경/경비/청소 등의 직종이 전기/전자, 보건/복지/의료 등의 직종보다 더 높은 취업률을 보였고, 훈련기간이 짧은 직종이, 민간보다는 공공훈련기관이, 훈련경력이 짧은 훈련기관이, 지방보다는 수도권 소재 기관이, 전문대 이하 학력보다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훈련생이 더 높은 취업확률을 보였다. 모든 변인을 투입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훈련경력이 짧고, 시설ㆍ장비가 잘 갖추어진 공공훈련기관의 고용확률이 민간훈련기관이나 오랜 역사를 가진 공공훈련기관에 비해 높았다. 재취업시 고용의 질에 대한 분석에서 훈련 이수 후 급여는 직업훈련을 받기 이전 급여수준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수료 후 재취업시 남성보다는 여성이, 부양가족수가 적은 집단이, 실직기간이 짧은 집단이, 이전급여수준이 높았던 집단이 이전 직장에서의 임금보다 더 높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mployment and quality of employment of senior job training. The questionnaire administered to 576 senior job trainees(over 50 years old) and 28 training institute before and after job training to survey job training characteristics, training institute characteristics and traine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independence test(X2) revealed that occupational category, period of training, type of institution, training history, location, and trainee's education level had significant difference on employment. Second,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was higher in new and well-equipped public institution than private or old public institution. Third, compared with the prior wage, the wage after training decreased.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unemployed senior can hardly be reemployed in prior level job.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cases of increased wage after training revealed that the trainees who was women, had a little dependent family, a shorter unemployed period, and a higher prior wage showed higher wage than prior wage after training.

      • KCI등재후보

        정신장애 근로자의 지각된 고용풍토와 직무만족간의 관계

        김성회(Kim Sunghwe),이요행(Lee Yohaeng) 한국직업재활학회 2006 職業再活硏究 Vol.16 No.2

        본 연구는 정신장애를 가진 근로자가 지각하는 고용풍토가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마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정신장애인 특수적 인 지각된 조직풍토의 구성 요인을 확인한 결과, 지지ㆍ배려, 고용관리, 고용적합성 등의 세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들 요인과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첫째, 지지ㆍ배려요인은 전반적 직무만족 뿐 아니라, 직무자체 만족, 임금 만족, 감독자ㆍ상사 만족, 동료 만족 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고용적합성 요인은 임금 만족도를 역으로 설명하였다. 셋째, 고용관리 요인은 직무만족의 어떤 하위요인도 설명하지 못하였다. 넷째, 조직풍토의 하위요인과 승진 만족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정신장애인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제언이 기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mployment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psychiatric disability. Three factors of the employment climate. support and consideration. employment management. and employment appropriateness. were extracted b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ctor of employer s support and consideration significantly explained work itself. pay. supervisor and co-worker.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The outcome of the study could be used to promote the job satisfaction of wokers with psychiatric disability. The implications of employment climate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후보

        재택고용 장애인의 고용조건과 직무만족간의 관계

        이요행,김성회,강배근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8 장애와 고용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장애인 직업재활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재택고용 장애인의 직무만족을 결정하는 고용조건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72명의 재택고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근무환경 및 직무특성을 반영하는 18개의 고용조건과 직무만족을 측정하고, 직무만족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고용조건을 단계적 중다회귀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용조건 중 성과에 대한 적절한 보상, 고용유지, 장애를 고려한 근무환경, 보조장비 지원, 적절한 휴식시간 등 5개의 조건이 직무만족을 62% 설명하였다. 보상과 고용은 비장애인들의 직무만족 결정인과 유사하지만, 장애고려 근무환경, 보조장비, 휴식시간 등은 장애특수적인 변인으로 해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employment condition and job satisfaction in home-based workers with disabil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72 home-based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processed by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worker in home-based employment was satisfied on 5 employment conditions (enough reward for performance, expectation of job retention, accommodation offered by organization, aid supply, enough break time) and these explained 62% of job satisfaction variance. The results represented the job satisfaction determinants of workers with diabilities differ from those of non-disabled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