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자녀와 부모 간 긍정적ㆍ갈등적 상호작용 - 국가 및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여봉(Lee Yeo-bong),이선이(Lee Su-ni),김현주(Kim Hyun-Ju) 한국가족학회 2008 가족과 문화 Vol.20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types of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 children, particularly friendly consultation and conflict. The main issues in this study are 1) how the gender of parents and adolescents shapes parent-child interactions, 2) whether the two types of interactions, friendly consultation and conflict, are positively or negativ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3) how parent-child interactions are related to the level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felt by adolescents. The study compares five different countries - Korea, the U.S., Japan, Germany, and Sweden. Generally, females experience conflict as well as friendly consultation more often than males. More important is the gender of parents than that of adolescents in affecting parent-adolescent interac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ly consultation and conflict varies across nations: positively related in Korea and Japan but negative related in the U.S. Most US. samples belong to a cluster characterized by a high level of friendly consultation and a low level of conflict. The U.S. samples show the highest level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the five nations. In contrast, most Korean samples belong to a cluster characterized by a low level of friendly consultation and a high level of conflict. Korean samples show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parents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n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support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individual efforts to increase the number of parent-adolescent interactions, especially friendly consultation.   본 연구는 청소년자녀와 부모 간 1) 긍정적 상호작용과 갈등적 상호작용이 부모와 자녀의 성별에 따라 어떤 양상으로 이루어지는지, 2) 상호작용의 양 측면인 긍정적 상호작용과 갈등적 상호작용이 서로 어떤 연관성을 지니는지, 그리고 3) 상호작용 모습이 자녀가 부모에 대해 느끼는 만족도에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주목한다. 한국청소년개발원이 주축이 되어 한국, 미국, 일본, 독일, 그리고 스웨덴의 5개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2006년 자료를 토대로, 상관분석과 군집분석 및 변량분석 등의 방법으로 국가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관찰하였다. 일반적으로 어머니가 아버지에 비해, 딸이 아들에 비해, 긍정적 상호작용 뿐 아니라 갈등적 상호작용도 많이 한다. 그런데, 청소년 자녀의 성별보다 부모의 성별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차이가 더 일관적이다. 긍정적 상호작용과 갈등적 상호작용은 일본과 한국에서는 정적으로 연관되는 반면 미국에서는 부적인 연관성을 보인다. 미국은 여타 국가에 비해서는 긍정적 상호작용과 갈등적 상호작용이 모두 활발한 국가이긴 하지만, 국가 내의 유형별 분포는 긍정적 상호작용은 많고 갈등적 상호작용은 적은 유형이 가장 많고 청소년 자녀의 부모에 대한 만족도는 여타 어느 국가보다도 높다. 반면에 한국 표본은 긍정적 상호작용은 적고 갈등적 상호작용은 상대적으로 높게 분류된 군집유형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데, 이러한 현실과는 반대로 한국의 청소년들은 긍정적 상호작용이 많고 갈등적 상호작용은 적을때 부모에 대해 만족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의 청소년 자녀와 부모 간 관계를 증진하기 위해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높이고 갈등적 상호작용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년여성의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이여봉(Lee Yeo-Bong) 한국가족학회 2012 가족과 문화 Vol.24 No.1

        본 연구는 40대 중반에서 60대 초반까지 한국 여성들의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와 노후 취업의지에 있어서, 자녀의 존재와 현재의 가구경제적 상황 그리고 사회인구학적 변수들이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주목하였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조사> 자료 중 1946년-1963년생 여성을 대상으로 베이비부머와 이전세대로 분류하고, 상관분석과 t-검증 및 Chi-검증 그리고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기초하여 관찰하였다.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여부를 설명하는 모형분석에서, 베이비붐 세대와 이전세대 모두의 경우에 가장 설명력이 큰 변수군은 현재의 가구경제상황에 관한 주관적 인식이다. 반면에 노후 취업의지 유무를 설명하는 모형분석에서는 여성 자신의 교육수준과 현재의 취업 여부 및 거주지 등과 같은 사회 인구학적 변수군의 설명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녀 관련 변수군은 중년여성의 노후 준비에 관하여 다음의 특성들을 가시화하였다. 즉 오늘의 중년여성은 미성년 자녀뿐 아니라 미혼성인자녀 그리고 종종 기혼성인자녀까지도 자신이 경제적으로 지원해야 할 대상으로 여기고 있으며 실제로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자녀에 대한 끊임없는 책임의식과 행동은 이전세대보다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경우에 더욱 뚜렷하고 일관적이다. 물론 성인자녀로부터 제공되는 경제적 지원 역시 부모의 경제적 상황과 미약하게나마 연동하지만, 베이비부머가 자녀에 대한 장기적 지원에 치중하느라 부실해진 노후를 채울 수 있기에는 성인자녀로부터의 지원은 제한적임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오늘의 중년, 특히 베이비붐 세대의 불균형적이고 장기적인 자녀 지원이 계층에 따라서는 노후의 열악한 삶으로 직결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This study examines middle-aged women focussing on the financial preparation and the future job plan for the coming old age. It observes the effect of children, the family financial situation, an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alysed is the women born between 1946 and 1963, among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2007-2008 collected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hildren are not considered as the future insurance that women can rely upon in their old age but as the burden that women continuously support for. This tendency appears to be stronger and more evident in the babyboom generation. Although some get financial support from their adult children when needed, but the support does not appear consistent across the equations. It is concerned that the imbalanced allocation of family resources favorable to children may cause the financial hardship in many of the babyboomers' future days. In the regression model, the largest variance of the financial preparation for the old age is explained by the perception on the current family financial situation. On the other hand, the variance of the future job-plan for the old age is better explained by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the educational attainment,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and the residential area.

      • KCI등재

        양육태도 및 가족 특성과 청소년의 삶 만족도

        이여봉(Lee Yeo bong) 한국가족학회 2018 가족과 문화 Vol.30 No.2

        양육태도 및 가족 특성과 청소년의 삶 만족도간 연관성에 있어서, 성별 및 발달단계 그리고 출생 코호트 간 유사성과 차이를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의 3차와 4차 및 6차와 7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서 t-검정과 Chi-검정,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성별 및 발달단계별로 표본을 분리하여 동일한 회귀모형을 적용・분석하고, 그 결과들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양육태도 중 ‘감독’은 남학생은 중학생 시기에 여학생은 고등학생 시기에 삶 만족도와 정적으로 연관되었다. ‘애정’은 여학생에게는 양 패널 모두에서 그리고 모든 단계에서 삶 만족도와 정적 연관성이 뚜렷한 반면, 남학생에게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중1 시기에 국한되었다. 한편 ‘기대’는 중1 시기를 제외하면, 성별을 불문하고 청소년의 삶 만족도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특이한 관찰은 ‘간섭’과 남학생의 삶 만족도간 연관성에 관한 것으로서, 양 패널 모두 중・고등학교 단계에서 간섭과 삶 만족도 간 U자형 연관성을 보였고 대학교 초년생 시기에는 양의 선형관계를 보인다. 이는 선행연구 및 일반적 예측과 배치되는 것으로서 주목할 만하다. 본 연구결과,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성별 및 발달단계별로 상이하게 조절되어야 하고 또한 청소년의 코호트별 특성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nsiders sex, development stage, and birth cohort in observing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on the adolescent s life satisfaction. The analysed are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 wave 3, wave 4, wave 6, and wave 7,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tudy utilizes t-test, chi-squar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amples are split by sex and development stage when regression models are applied. Among the 4 parenting behaviors, monitoring is positively related with middle-school boys and highschool girls life satisfaction. Affectionate parenting consistently shows positive relationship with girls life satisfaction throughout the whole adolescent stages in both cohorts. For boys, however, affectionate parenting is related with the life satisfaction only in the middleschool stage. On the other hand, expectation is related with middleschool boys and girls life satisfaction but not with that of older ones. The most interesting observation 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ness and the boys life satisfaction. Intrusiveness is curvilinearly related with middleschool and highschool boys life satisfaction by drawing U-curve. Further, it i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boys in college.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ing behavior is something to be flexibly adjusted up to the sex and the development stage of adolescents, and also up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hort.

      • KCI등재

        자원 교환이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여봉(Lee Yeo-Bong),김현주(Kim Hyun-Ju),이선이(Lee Sun-I) 한국가족학회 2007 가족과 문화 Vol.19 No.4

        본 연구는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 간 현재 시점에서의 자원교환이 관계만족감 및 관계의 질에 관한 평가에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관찰하였다. 자원이론과 교환이론의 틀에 입각하여, 6 영역으로 구분된 자원들 각각의 교환이 서로 어떻게 유사하고 어떻게 상이하게 모ㆍ자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각 자원영역들의 교환이 관계만족도 및 관계의 질과 연관되는데 있어서 어머니의 경우와 청소년 자녀의 경우는 어떻게 유사하고 어떻게 상이한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5대 광역도시에서 균등하게 표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6 영역 모두에서 그리고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 모두의 경우에, 자원을 ‘받는’ 것과 관계에 관한 평가는 정적인 연관성을 보인다. 또한 약간의 예외를 제외하면 해당 자원을 받는 것에 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 역시 관계에 관한 평가와 정적인 연관성을 보인다. 그러나 이와 같이 큰 그림은 일치하더라도 개별 자원영역들이 관계만족도 및 관계의 질에 연관되는 세부적 모습까지 동일한 것은 아니고, 동일영역의 자원이라고 해도 어머니와 자녀의 경우가 완벽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어머니와 청소년간의 관계에 보다 밀접히 연관되는 것은 애정, 정보, 지위 등의 비물질적 자원이다. 또한 자원수혜와 자원에 대한 중요성 인식 간의 교호작용이 종속변수인 관계만족감과 관계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는 정보와 지위 등 상징성이 강한 자원들 뿐 아니라 애정, 그리고 서비스조차도 각각 다르게 해석하고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부부 및 친구 등의 관계와 달리, 발달단계가 상이하고 소유한 자원과 상대방에 대한 기대가 다른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 관계가 지닌 특수성 때문인 것으로 추론된다.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immediate exchange between adolescent and mother is related with the relationship evaluation. Based on the two theoretical backgrounds, exchange theory and resource theory, it investigates two research questions. One is what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among 6 resource classes - love, status, information, money, goods, and service - are in their effects on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The other is what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mothers and adolescents are in the way that the resource exchanges affect on the relationship evaluation. We analysed the data evenly collected in Seoul and 5 big cities in S. Korea.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technique are employed. Despite all these particularities of the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receiving resources in all the 6 classes an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receiving them show mostly posi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evaluation. Non-material resources such as love, information, and status are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Mothers and adolescents interpret differently on less-material resources - such as information, status, love, and sometimes service, - and therefore produce different relationship evaluations each other.

      • KCI등재

        부양지원과 세대 갈등

        이여봉(Lee Yeo-Bong) 한국가족학회 2011 가족과 문화 Vol.23 No.1

        본 연구는 기혼여성과 노부모 간 부양지원 모습과 세대 갈등의 연관성이 딸과 친정부모 관계 그리고 며느리와 시부모 관계에서 어떻게 유사하고 상이하게 나타나는지, 또한 세대 간 갈등관계를 결정하는 메커니즘이 동거/비동거에 따라 어떻게 유사하고 상이한지에 주목하였다. 한국 여성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여성가족패널조사〉 1-2차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다변량 회귀분석과 T-검증 및 Chi-검증 그리고 빈도분석 등을 통해 관찰과 분석이 이루어졌다. 세대 간 동거는 노부모든 성인자녀든 어느 한편 혹은 양편 모두의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행해진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을 가능성이 여러 변수들에서 발견되었다. 시부모와 친정부모를 막론하고 동거하는 경우에 갈등수준이 높지만, 며느리와 시부모 간의 관계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특히 성인자녀의 필요보다 시부모의 필요에 의해 동거부양이 이루어질 경우 그리고 시부모와 대화를 하지 않는 경우보다 대화를 하는 관계에서 오히려 높은 갈등수준이 관찰되었다. 반면에 비동거 며느리/딸이 취업을 해서 접촉기회가 적은 경우에는 세대 갈등이 덜하다. 이처럼 세대 간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갈등 또한 증가하는 것은, 친족 간 상호작용이 배태하는 부작용, 즉 서로의 삶에 대한 관여 및 간섭과 충돌 그리고 저항에 기인한다. 한편 노부모부양과 관련하여 형제들과 협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세대 간 갈등수준이 낮아서, 성별이나 출생순위에 관계없이 모든 성인자녀들 간 부양협력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친정부모보다 시부모와의 관계에서 갈등이 더 많이 발생한다는 결과는, 우리 사회 역시 며느리보다 딸에 의한 부양이 더 순조로워서 점차 부양의 무게중심이 딸/사위에게로 옮겨가게 될 가능성이 높음을 예측하게 한다. This study observes and compares the intergenerational conflict of daughters-in-law with the parents-in-law and that of daughters with their own parents. It also compares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n the conflict according to the living arrangements of the two generations - living together or living apart. Analysed is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1st & 2nd wave, collected by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e analysis was made based on the multiple regression, t-test, chi-square test, and frequency analysis. The level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is higher when both generation live together in a house than when they live apart. The level of conflict is higher when the decision for co-residence is made for meeting the demand of parents-in-law. The level of conflict increases in the presence of intergenerational conversation, and the tendency is more consistent in the relationship of the daughters-in-law with the parents-in-law. It may be due to the downside effects of the interaction itself - the elderly's frequent interference into the other's domain or vice versa. The level of conflict is reduced when the daughter/ daughter-in-law living apart is employed. It is because the employment reduces the chance of intergenerational contact. On the other hand, siblings' cooperation for the elderly caregiving reduces the level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Overall, conflict occurs more frequently between daughters-in-law and parents-in-law than between the daughters and their own parents. It signifies that the caregiving tends to be done more smoothly by daughters than by daughters-in-law.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role of the primary caregiver is gradually moving from daughters-in-law/son to daughters/sons-in-law.

      • KCI등재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간 자원교환 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김현주(Kim Hyun-Ju),이선이(Lee Suni),이여봉(Lee Yeo-Bong) 한국가족학회 2006 가족과 문화 Vol.18 No.4

          본 연구는 어머니와 청소년 사이에 교환되는 자원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부모와 자녀사이에 교환되는 행동적 측면의 중요한 영역들을 탐색하였고, 한국의 문화적 특성에 적합한 문항들로 구성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교환이론과 자원이론에 기초하여 자녀 62개, 어머니 61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어머니와 동거하는 중고생 및 만24세 미만의 군대를 필하지 않은 대학생들과 이상의 조건을 갖춘 자녀와 동거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사, 문항분석을 한 후, 자녀용 21개 문항, 어머니용 23개의 선택된 문항으로 구성된 6개의 하위영역, 즉 서비스, 물품, 금전, 정보, 지위와 애정 영역의 자원교환 측정도구를 만들었다. 최종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사결과 자녀의 금전영역을 제외하고 내적 일관성이 높았다.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고 관계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 지수가 높았으며 관계만족도와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To develop the scale of resource exchange between the mother and the adolescent child, this study explored 6 areas of resources and chose preliminary 62 items for children and 61 items for mother, which were culturally appropriate, based on exchange theory and resource theory. The sample was consisted of mothers and adolescent children enrolled in middle or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under age 24. As a results of item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factor analysis, we finalized 21 items for children and 23 items for mothers. The scale was consisted of 6 resource areas which were service, goods, money, information, status and love. Subscales, except children"s money, were proven to be reliable, and were valid to predict the relational satisfaction. The fitness indices of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were approximately close to 1, so that we concluded that the models of resource exchange scale were appropriate.

      • KCI등재

        자녀의 성적이 어머니와 자녀의 교환관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주(Kim Hyun-Ju),이선이(Lee Sun-I),이여봉(Lee Yeo-B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한국청소년연구 Vol.21 No.4

        자녀의 성적이 어머니와 자녀간 교환관계와 만족도에 어떤 인과적 관계를 형성하는지 검증하였다. 교환이론과 자원이론에 근거하여 부모자녀간 교환되는 6개 영역의 자원교환의 실태가 어머니와 자녀의 형평성인지수준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갈등수준과 만족도 수준에 각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본연구모형의 검증과 함께 성적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5대 광역시를 표본으로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 450명과, 청소년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것이다. 수집된 자료는 EQS에 의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교환이론의 이론적 모형은 어머니보다는 자녀를 설명하는데 더 적합하였다. 성적 또한 자녀집단에서만 교환관계와 인과관계가 형성되고, 갈등수준과 만족도에도 자녀집단에서만 영향을 미쳤다. 자녀들은 자신의 성적이 나쁘면 어머니로부터 자원을 적게 받는다고 생각하였다. 자녀의 성별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아들의 성적은 영향이 없지만 딸의 성적은 어머니의 교환 관계와 관련이 있었다. Basing our current study around exchange theory and resource theory, we developed a model of mother-child relational satisfaction. The model is made up of causal relations in which the pattern of resource exchanges affects the perception of the level of equity, and the equity level influences both the conflict and the satisfaction level. In addition to this model, we examined the causal direc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n the exchange relationship. The data used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450 adolescent children and 450 mothers from a nationwide sample. The EQS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change model was better suited to the child than the mother.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had an influence on the exchange and also on the conflict and satisfaction level in the sample group of children. The responses of the children indicated that they receive less from their mother if their academic achievement level was low. When we compared sons and daughters, daughter's achievement levels tended to have an effect on the exchange patt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