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적 미술비평교육의 방법에 관한 연구

        이안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2

        Art criticism is an area of visual literacy for analyzing various visual information as well as works of art. Of course, the essence of art education is creation and nostalgic activities. However, The necessity of criticism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from the viewpoint of properly receiving various visual information. Until now, school art education has neglected the areas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 compared to the areas of expression. Even though appreciation education was conducted, Most of the appreciation education was conducted centering on the introduction of artists and art history. This cause seems to have affected the part where the methodology for appreciation education was not systematically established. Scholars have different views on the method of art criticism. However, until recently, the most widely applied critical theory in our education field is E. B. Feldman's critical discourse theory. However, concerns have been raised by several scholars about the possibility that Feldman's theory will focus on the transfer of knowledge from a formalist perspective. Among such scholars, Tom Anderson proposed 'educational criticism model stage' that emphasized learner-led criticism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Feldman's theory. In this study, Anderson's art criticism of art criticism in five stages, eight operations, was expanded to nine operations. In addition, a method of “critical education in the form of integrated education” was proposed by inserting “writing criticism” in the final operation. Criticism writing is proposed as a method of art criticism education in that it becomes a useful learning tool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logical expression activities based on aesthetic sensibility and intellectual thinking. 미술비평은 미술작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각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시각적 문해력의 영역이다. 물론 미술교육의 본질은 창작과 향수활동이지만, 비평교육의 필요성은 다양한 시각매체의 정보를 바르게 수용하기 위한 관점에서 강조되어야 한다. 그동안 학교 미술교육에서는 표현영역에 비해 감상비평 영역을 소홀히 다루었으며, 감상비평 교육은 대부분 작가 소개나 미술사적인 이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원인은 감상교육에 관한 방법론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지 못한 부분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미술비평 방법에 대한 견해는 학자마다 관점을 달리하지만, 최근까지도 우리 교육 현장에서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는 비평이론은 펠드만(E. B. Feldman)의 비평적 담화이론이다. 하지만 펠드만의 이론이 형식주의 관점으로 지식전달에 치중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여러 학자에 의해 제기되어 왔다. 그런 학자 중에서 톰 앤더슨(Tom Anderson)은 펠드만의 이론을 수정 보완하여 학습자 주도의 비평을 강조한‘교육적 비평모델단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앤더슨의 미술비평의 단계인 5단계 8개의 조작을 9개의 조작으로 확대하였다. 그리고 확대된 조작에‘비평문 작성’을 삽입하여‘통합교육 형태의 미술비평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즉, 문학적 비평문 쓰기와는 다른 비평단계의 해석과 비평을 토대로 논술적인 비평문 쓰기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미술비평에 의한 비평문 쓰기는 미적 감성과 지적 사고에 의한 논리적인 표현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유용한 학습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미술비평교육의 방법으로 제안한다.

      • KCI등재

        사회학적 관점에서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

        이안근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1 No.-

        본 연구는 사회학적 관점에서 교육정책의 변화에 대하여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교육정책은 사회적인 이념이나 시대적인 상황을 반영하며 변화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 우리나라 교육에서는 미술교육에 대한 편협한 인식으로 인해 지식중심 교과에 밀려나 있다. 그렇지만 오늘날 국가의 경쟁력은 단지 지식중심 교육에 의해서만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다변하는 국제화시대의 환경에서는 차별화된 문화적 정체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육성을 위한 교육과정이 요구된다. 그리고 창의적 인재육성에서 가장 효과적인 교과는 미술이다. 미술은 창의적인 상상력과 질성적·반성적 사고에 의해 이루어지는 학습으로 감성적·인지적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교과이다. 오늘날의 학교 미술교육은 미술에 관한 지식 그 이상의 문제를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다변하는 사회적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미술교육 과정에 대해 사회학적인 담론에 근거하여 그 가치와 중요성이 논의되고 변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에 대한 재인식과 패러다임 전환의 타당성을 논하였다. 교육적 패러다임은 시대에 대한 철저한 상황분석을 토대로 하여 교육의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학교미술교육과정과 교육내용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In this paper is analyzed the changes in educational policy from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focusing on the art subject. Education policy has been changed to reflect social ideology or the background of the times. However, in recent years, Korean education has been pushed to the knowledge-based curriculum due to the narrow perception of art education. However, the competitiveness of the state today is not only achieved by knowledge-based education. In an environment of diverse internationalization, a curriculum for creative human resources with differentiated cultural identities is required. And The most effective subject in fostering creative talent is art. Art is a subject that can be developed by creative imagination and qualitative and reflective thinking, which can promote emo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 Today's school art education involves more than just knowledge of art. Therefor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art curriculum that can cope with diverse social environment should be discussed and changed based on sociological discourse. This study discusses the validity of recognition and paradigm shift in art education. The educational paradigm should be set the goal of education based on a thorough situational analysis of the times. Accordingly, this study is suggested that a review of the school art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contents is necessary.

      • KCI등재

        전통 식물문양의 기호학적 연구 - 사군자 문양을 중심으로 -

        이안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1

        Traditional Patterns have like the characteristics as the promised sign containing the collective values and feelings of the 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heory from the point of view of semiotics about the symbolism of the four gracious plants patterns. Analysis of signification about the four gracious plants patterns was utilized the model of Roland Barthes. Barthes presented a useful model to the semiotic approach And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meaning and reappearance inherent in the nonverbal text. Traditional patterns symbolize auspicious, happiness, heart's desire and hope. In contrast, the four gracious plants symbolize spiritual self-discipline of gentlemen and moral indicator. In this analysis results, the four gracious plants patterns are categorized as stands for gentlemen. Therefore, The derived myth system hasn't been greatly expanded in the gentlemen's idea. Because It was worked that as the filled sign of the 1st step became the signifer of the 2nd step. I think It was because that the process has been implications for the gentlemen's idea. But It should be established to study the systematic theories through pattern analysis. Formulation of the theory will be inherited traditional patterns through the signification analysis. And it will lead to a re-interpretation of a contemporary design developed through the continuous research. In addition, I think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improve the up-lifting of our cultural identity. And it will expand the scope of recogni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s and establish a logical and objective paradigm. 전통문양은 민족의 집단적 가치나 감정을 함유한 약속된 ‘기호’와 같은 성격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사군자문양에 내재한 상징성을 기호학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이론으로 정립하고자 하였다. 사군자문양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은 롤랑 바르트의 신화이론을 활용하였다. 바르트는 비언어적 텍스트에 내재한 의미와 재현을 위하여 기호학적인 접근 분석에 유용한 모델을 제시했다. 전통문양은 대체적으로 길상이나 기복(祈福) 등 욕망이나 소원을 상징하는데 비해 사군자문양은 군자의 정신적 자기수양이나 도덕적 지표로 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의미작용분석 대상인 사군자문양은 군자의 표상으로 범주화된 문양이다. 따라서 도출된 신화체계는 ‘군자’의 범주에서 크게 확장되지는 않았다. 이것은 1단계의 채워진 기호가 2단계의 기표로서 작용하는데 있어서 ‘사군자’가 갖는 고착화된 상징성이 함의되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문양분석을 통한 체계적인 이론정립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는 차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디자인개발로 이어지며 전통문양을 계승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우리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제고와 함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의 범위를 넓히며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패러다임을 마련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한다.

      • KCI등재

        Dewey의 반성적 사고의 관점에서 미술비평교육에 관한 연구

        이안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2 조형미디어학 Vol.25 No.3

        This study is a discussion of art criticism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mprovement creative thinking capacity that our education emphasizes based on reflective thinking conceptualized by John Dewey. Dewey is educational philosopher who emphasized problem-solving methods to develop learners' thinking. Reflective thinking is a perceptual cognitive that occurs sequentially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Dewey presented the process of reflective thinking in 5 stages. The stages theory is based on the learner's integrative thinking, such as analytical, judgmental, and creativite capacity. The process of art criticism is an inquiry activity based on the integrated thinking of reflective thinking and qualitative thinking based on the analysis of paintings.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art criticism is carried out by integrating qualitative thinking, such as aesthetic experience, and reflective thinking, which analyzes the aesthetic valu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work. However, in this study, qualitative thinking was not discussed, and art criticism education was discussed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reflective thinking. And In this paper, an approach was proposed to apply the art criticism education to Dewey's 5 stages theory of thinking. In this stage of art criticism, the whole process is made through reflective thinking based on one's own deliberation. Therefore, it enables the expansion of reflective thinking abilities such as analysis, judgment, and creativity, and furthermore, self-directed learning.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proposes art criticism education as a value-oriented educational activity based on Dewey's five stages of reflective thinking. 본 연구는 존 듀이(John Dewey)가 개념화한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를 기반으로 우리 교육이 강조하고 있는 창의적 사고능력 함양을 위한 관점에서 미술비평 교육에 관한 논의이다. 듀이는 학습자의 사고력 계발을 위해 문제해결방법을 강조한 대표적인 교육철학자이다. 반성적 사고란 문제해결의 과정에서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지각적 인식능력이다. 듀이는 반성적 사고의 과정을 5단계로 제시하였다. 첫 단계인 문제의 인식에서 시작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가설의 설정과 검증의 단계를 거쳐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으로 구분되었다. 이 단계적 이론의 과정은 학습자의 문제에 대한 분석력, 판단력, 그리고 창의력 등 통합적 사고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미술비평의 과정은 그림에 대한 분석과 식별에 의한 반성적 사고와 질성적 사고의 통합적인 사고에 의한 탐구 활동이다. 즉 미술비평의 과정은 심미적 경험과 미적 판단 능력 등의 질성적 사고와 작품의 미학적인 가치와 특성, 의미를 파악하는 분석적인 반성적 사고가 통합적으로 작용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질성적 사고에 대해서는 논하지 않았으며, 반성적 사고의 관점으로 한정하여 미술비평교육에 관해 논하였다. 그리고 미술비평의 과정을 듀이의 사고 5단계에 적용하는 교수법을 제안하였다. 이 단계에 의한 미술비평에서는 문제의 인식에서부터 가설의 검증까지의 전 과정이 자신의 숙고에 의한 반성적 사고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분석력, 판단력, 그리고 창의력 등 반성적 사고능력의 확장과 더 나아가 자기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비평교육을 듀이의 반성적 사고 5단계에 의한 가치 지향적인 교육 활동으로 제안한다.

      • KCI등재

        4C-STEAM 교육의 관점에서 유아미술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이안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 특성에 기인한 4C-STEAM 교육의 관점에서 유아미술교육의 방향을 논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진행하기 위하여 STEAM 교육의 개념과 정의, 융합 교육을 위한 모형과 선행연구 동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융합적 소양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핵심역량의 영역으로 창의(Creativity), 소통(Communication), 내용융합(Convergence), 배려(Caring)를 둔 4C-STEAM 교육에 대한 고찰과 STEAM 교육에서의 예술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해 논하였다. 예술의 내재적 특성인 미적체험에 의한 예술적 표현과 창의성, 독창성 등은 STEAM 교육에서 추구하는 인재상의 요소이다. 예술은 표현활동의 전 과정이 창의적 사고와 반성적 사고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4C-STEAM 교육의 구성요소는 STEAM 교육의 개념에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 내용 융합을 강조하여 설계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유아미술교육을 창의적 설계과정과 감성적 체험을 경험할 수 있는 작품을 산출하는데 있어서 4C-STEAM 교육의 설계 과정에 의해 누리과정의 예술경험 영역의 내용요소 중 주제를 선택하여 수업계획안의 실제 예를 설계하였다. 이 계획안에서의 실례(實例)는 미술 고유의 특성인 창의성과 감성을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미술작품을 창안하는 과정에서 과학과 수학, 기술, 공학 등의 융합적 요소를 탐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다만 이 계획안은 유아미술교육의 방향을 제시한 것이며, 구체적인 학습활동의 프로그램은 아니라는 점을 밝힌다. 따라서 본 연구의 계획안이 향후 유아미술교육의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discussed the direction of infant art education in terms of 4C-STAM education due to Korean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STEAM education, the model for convergence education and trend of previous research were examined. In addition, 4C-STEAM education with creativity, communication, convergence, and care were examined as areas of core competencies to nurture human nature with convergence virtue. And the importance and value of art education in STEAM education were discussed. Artistic expression and creativity by aesthetic experience, an inherent characteristic of art, are the elements of personality and creative talented person pursued in STEAM education. The whole process of artistic expression is based on creative thinking and reflective thinking. 4C-STEAM education is designed to emphasize creative design, emotional experience and content convergence in the concept of STEAM education.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Infant art education plan was designed to produce works for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experience. It was designed as a practical example of a class plan by selecting a topic among the content elements of the Nuri program's artistic experience area in the design process of the 4C-STEAM education. The examples in this plan were designed to experience creativity and sensibility, a characteristic unique to art, and focused on exploring the convergence elements of science, mathematics, technology and engineering in the process of creating art works. However, the plan suggests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for infants, and it is not a program for specific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will help develop a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infant art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예술기반 융합인재교육(A-STEAM) 관점에 의한 유아 미술교육 연구

        이안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d the concept, definition and research trend of STEAM education for understanding of A-STEAM education.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arts in STEAM education and the feasibility and necessity i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were discussed. And then As a practical example of A-STEAM education, the content and method of infant art education are illustrated. In conclusion, Firstly, the art expression activity of children is achieved by a process of convergence of thinking. Secondly, convergence education in A-STEAM education can have a synergy effect in each area according to content and application method. Thirdly, In A-STEAM education, it has been found that art is the instrumental value of complementing with each other field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STEAM education pursues is in the fostering of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and the most important period of fostering creative talents is seen as early childhood. In addition, since creativity is most actively taught in art educatio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has more important value. Therefore, A-STEAM has come to the conclusion that art education for children is a subject that meets the ultimate goal of convergent talent education to develop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Therefore, this study exemplifies the method and contents of education as a practical example of A-STEAM education. Although it can be understood as an intricate material in terms of knowledge or understanding level of infants, it is possible to select work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level of infants in the actual program plan. However, In this study, It is not to suggest only the cognitive learning as the way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ignoring the essence of art, aesthetic experience and emotional learning. A-STEAM is a study on the arts for early children as a method alternative to the training of convergent talent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the modern complex social. 본 연구는 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융합인재(A-STEAM)교육 대한 이해를 위하여 STEAM 교육의 개념 및 정의, 연구동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STEAM 교육에서 예술의 중요성, 유아미술교육에서의 타당성과 필요성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이에 따른 A-STEAM교육의 실제 예로써 유아미술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예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으로 첫째, 유아들의 미술 표현활동은 융합적인 사고의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둘째, A-STEAM 교육에서의 융합교육은 내용과 적용방법에 따라 각 영역에 상승효과를 줄 수 있다. 셋째, A-STEAM 교육에서 예술은 다른 영역과 상호보완의 수단적 가치가 된다는 것이 도출되었다. STEAM 교육이 추구하는 교육적 의의가 창의융합인재 육성에 있으며,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는 가장 중요한 시기는 유아기로 본다. 또한 창의성은 미술교육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교육하는 역량이기 때문에 유아기 미술교육은 더욱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A-STEAM 유아미술교육은 창의적, 융합적 사고를 기르고자 하는 융합인재 교육의 궁극적 목표에 부합하는 과목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STEAM 교육의 한(一 )실제 예로써 교육의 방법과 내용을 예시하였다. 자칫 유아들의 지식이나 이해수준에서 명화가 난해한 자료로 이해될 수 있지만, 실제 프로그램 계획에서 유아들의 발달 수준에 따라 작품을 선택한다면 가능하다고 본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미술의 본질인 미적 체험이나 정서적인 학습을 도외시하며 인지적인 학습만을 유아 미술교육의 방향으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현대의 복잡한 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융합인재양성 교육의 방법적 대안으로 A-STEAM 유아미술교육의 접근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 KCI등재

        미술작품 분석의 기호학적 접근

        이안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1

        Artists express their intentions and messages in their works through formative sign. Thus, a work has value as a meaningful sign. Contemporary ar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abstract formative beauty and the expression of the inner world through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Nevertheless, the understanding of the work was difficult and ambiguous, resulting in the loss of popularity. Therefore, it is studied in various ways to analyze ambiguous works. In this study, the works we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semiotics in order to suggest an alternative method of analyzing the works of art. For this study, the concept and major theories of semiotics, the flow of contemporary art were examined in the literature. The change of artistic tradition is the phenomenon in which consciousness and culture of the age are echoed. Therefore, the works are a visual language in which the situation, cultural background and artist 's consciousness are embedd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background of the works should be as a signified in the analysis. In this study, Roland Barth 's myth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works of art. Barth's myth model is a suitable model for understanding and analyzing non-verbal texts. Because, myth can be generated as a social ideology and systematic theories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semantic action of semiotics on the background of the works. In this study, Gauguin's <Two Tahitian Women with Mango Blossoms> and Chagall's <I and the Village> are selected and analyzed. Most pure paintings play as signifier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It can be created ideology discourse from other perspectives through the signification in the context of the times and artist 's consciousnes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semiotic approach is useful as a way to analyze and understand art works. Especially,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semiotics analysis will be useful as a methodical tool for appreciation of works in school education field. It is also expected to be a means of expression used as a symbol in the production of his own works. 예술가들은 조형기호를 통하여 자신의 의도와 메시지를 작품에 표현한다. 그래서 작품은 의미를 가진 기호로써 가치를 지닌다. 현대미술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추상적인 조형미의 확장과 내면세계를 표현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럼에도 작품의 이해가 난해하고 모호하다는 점에서 대중성을 상실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따라 난해한 작품을 분석하기 위한 다각적인 접근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작품을 분석하는 대안적인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기호학과 연계하여 작품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기호학의 개념과 주요이론 그리고 현대미술의 흐름을 문헌으로 고찰하였다. 미술 사조의 변화는 그 시대의 의식이나 문화가 반향(反響)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작품은 제작 당시의 시대상황과 문화적인 배경 그리고 작가의 의식이 내재되어 나타나는 시각언어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작품의 배경은 작품분석에 있어서 기의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술작품을 분석하기 위하여 롤랑 바르트의 신화모델을 적용하였다. 바르트의 신화모델은 비언어적인 텍스트를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모델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작품의 제반 배경에 대한 기호학의 의미작용을 통하여 사회적인 이데올로기로써 신화를 생성할 수 있으며 체계적인 이론 정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갱의 <망고 꽃을 든 타히티의 두 여인>과 샤갈의 <나와 마을>을 선정하여 작품실제 분석을 하였다. 대부분 순수회화는 기표로써 미적감상의 관점에서 기호로 작용한다. 그러나 작품에 대한 시대상황과 문화적인 배경 그리고 작가의 의식 등이 기호학적 접근을 통하여 의미작용을 함으로써 숨겨진 이데올로기 담론을 신화로 생성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작품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방법으로 기호학적 접근이 유용하다는 점을 제시한다. 특히 기호학적 분석의‘이론적 틀’은 학교 교육현장에서 작품 감상의 방법적인 도구로써 적합할 것이며, 자신의 작품 제작에 기호를 활용하는 표현방법의 수단이 될 것으로 본다. 더 나아가 미술에 대한 연구와 해석의 단계적인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기호학적 관점에서 일월오봉도에 나타난 전통색의 의미작용 분석

        이안근 ( An-keun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6 No.-

        전통색은 어떤 민족이 오랜 세월동안 사용해온 민족의 정체성과 관련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색은 오방색으로 음양오행사상에 바탕을 두고 의미론적 색채관이 형성되었다. 음양오행사상은 자연과 사물을 인식하는 보편적인 관념으로 발전하며 계승되어왔다. 뿐 만 아니라, 음양오행사상은 의미론적 상징체계로 우리의 사회제도나 사상, 정서, 문화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전통색에 내재된 상징을 이해하기 위해서 음양오행사상에 대한 선행연구와 방법적인 도구로 기호학의 접근이 유용한 수단이 된다. 기호학은 비언어의 텍스트를 분석하는 의미작용 모델을 논리적인 구조로 제공하기 때문이다. 비언어인 색채이미지를 통해 기호에 내재되어 있는 신화를 도출하여, 색채에 대한 우리 민족의 심상을 해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신화는 당시 사회의 가치와 이데올로기를 이해하는 방식이며, 이를 통하여 우리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담론을 정립하는 것이 문화계승의 방법적인 또 하나의 대안이 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색의 기호학적 분석을 위하여 조선시대에 제작된 ``일월오봉도``를 선택하였다. 작품에 나타난 오방색의 기호는 롤랑 바르트의 신화모델에 적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일월오봉도는 전통색과 소재를 이중으로 음양오행 사상에 적용하여, 이념적인 상징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도식화되어 나타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월오봉도는 왕권의 강화와 통치수단으로서 권위와 위엄을 나타내고자 제작되었으며, 왕실의 번영과 공명정대한 태평성대의 염원을 담고 있음을 신화로 도출되었다. 신화의 도출은 우리문화에 대한 재인식을 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 우리민족의 특징을 담은 디자인 개발로 이어져 경쟁력 있는 제품개발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 하고자 한다. Traditional color of our nation was formed the idea of colors that based on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ought has been inherited and developed into a universal concept that recognizes the nature and objects.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ought has a semantic symbol systems such as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our social systems and ideology, emotion and culture. Therefore, The semiotic approach is useful to understand the symbolism of the traditional colors. Semiotics is due to provide the model for analyzing the signification of non-language text. In this study, I select the The sun, The moon and Five Peaks in Jo-seon Dynasty for the analysis. The colors shown in the work were analyzed by applying a model of Roland Barthes. As a result, The sun, The moon and Five Peaks was reinforced ideological symbolism by applying the spirit symbol of colors and objects. The sun, The moon and Five Peaks was presented the dignity and authority as a means of powerful governance and king of power. Also, It was contained the aspirations of peace and prosperity for the royal family. The work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myths inherent in the consciousness of the people about colors. Roland Barthes model of this study is considered as a useful approach.

      • KCI등재

        유아 미술교육의 탐구적 접근에 관한 연구 - 존 듀이의 예술론을 중심으로 -

        이안근 ( Lee An-ke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2 No.-

        본 연구는 유아 미술교육의 미술활동에 근본적으로 탐구활동이 내재되어 있음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 논의를 위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예술론을 주장한 듀이의 경험개념을 기반으로 미술활동을 고찰하였다. 듀이는 경험이란 유기체가 세계와의 능동적이고 활발한 상호 교섭에 의하여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고 재구성되는 과정이라고 한다. 따라서 경험의 성장은 그 자체로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 듀이는 예술론에서 미적 성질을 지닌 '하나의 경험'이라는 완결된 상태의 경험을 예술적 구성논리로 정의한다. 미술활동은 기본적으로 다양한 질성을 직접 경험하며 질성적 사고를 하는 활동이다. 예술가가 작품을 구상할 때는 질성적 경험에 의한 사고에 의해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택한다. 그리고 작품을 완성하는 과정에서는 총체적인 질성을 갖고 창작활동의 전체의 과정에서 변형하고 응축하며 여러 관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반성적 경험의 사고를 한다. 따라서 예술가의 활동에는 질성적 사고와 반성적 사고 모두를 필요로 하는 탐구활동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즉 예술은 질성적 사고와 반성적 사고의 통합된 사고의 과정을 거쳐 '하나의 경험'을 이루는 완결된 경험으로서 창작 활동을 하는 것이다. 유아기의 아동들은 직접적인 체험을 통하여 다양한 질성을 경험함으로써 세상을 이해하고 지식을 얻는 방식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아 미술교육에 있어서 통합된 사고를 필요로 하는 미술활동을 탐구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미술교육의 타당성에 대해 논하였다. 성장기 유아에게 탐구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이며 미술활동의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사고의 과정을 통하여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로 경험의 확장을 이룬다. In this study, it is discussed that inquiry activities are fundamentally inherent in early childhood art activities. For this discussion, I studied art activities based on Dewey 's experience concept which claimed the art theory from a new perspective. According to Dewey, Experience is the process by which organisms grow and reconstruct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y transaction with the world. Therefore, the growth of experience itself has inherent value of education. Dewey defined the experience of the complete state of 'an experience' with aesthetic qualities as artistic component. Art activities are activities that basically experience various qualities directly and have qualitative thinking. When an artist designs an artwork, he or she chooses an object to express by thinking based on qualitative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a work, the painter has an overall quality and reflective thinking that grasps the relationship with various relationships in the whole process of creation. Therefore, the activity of the artist has an inquiry activity that requires both qualitative and reflective thinking. that is, art works through the process of integrated thinking of qualitative and reflective thinking as a complete experience of 'an experience'. Children in early childhood have a way of understanding the world and acquiring knowledge by directly experiencing various qualities. Thus, early childhood art activities are an excellent means of inquiry by qualitative thinking. It is important to provide an inquiring learning environment for early childhood and the infant undergoes a process of thinking that recognizes and solves problems that arise in the course of art activities. By doing so, the infant expands experience by reasoning and logical thinking.

      • KCI등재

        전통문양의 상징성과 기호학의 관점 -한국 민족설화 속 문양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이안근(주저자) ( An Keun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2 No.-

        전통문양은 민족의 삶과 정서적인 가치를 반영하며 전해 내려오는 문화이다. 민족적인 공감을 형성하는 전통문양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서 카를 구스타프융(Carl Gustav Jung)의‘집단적 무의식Collectiveunconscious’이라는 개념을 들어 말 할 수 있다. 집단적 무의식은 예술이나 꿈을 통해서도 표현되며 민족정서에도 영향을 미친다. 전통문양이 갖는 상징적인 의미에 대한 기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부분적으로 민족정서를 바탕으로 하는 설화에 연유하여 상징화하고 도형화 해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많은전통문양 중 민족설화와 연계하여 상징적 의미를 유추할 수 있는 문양을 기표로 설정하여 롤랑 바르트의 신화이론의 모형에 의한 분석을 하였다. 현대에 들어 문화를 이해하고 비평하는데 있어서 기호학의 개념이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기호학의 관점에서는 모든 문화를 기호현상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기호학적관점을 수용한다면, 전통문양이 갖는 상징성은 그것을 향유하는 집단사이에서 약속된 기호와 같은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기호학에 적용될 수 있는 기호체계를 갖는다. 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전통문양은 하나의 기표에 매우 많은 기의들이 존재한다는 특이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반대의 현상으로, 같은 기의를 갖는 기표가 여러 개 존재한다는 것 또한 특이한 점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전통문양은 유사한 상징체계 안에서 다양한 신화가 이루어진다는 또 다른 예술기호의 특성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전통문양에 대한 기호학적 의미작용의 분석은 문양에 대한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패러다임(paradigm)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전통문양에 대한 특성과 의미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가는데 있어서 체계적인 이론을 정립하는데 기호학적 접근 방법은 유용한 학문적 연계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더 나아가 문양에 대한 현대적인 재해석은 우리의 전통문양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조형화하고 제품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전통적 가치와 정서를 반영할 수 있다. Traditional pattern is a culture that is inherited down, reflecting on the people’ life and emotion value. As for the symbolical significance of traditional pattern forming the people’common sense, we can state with the concept of collective unconscious by Carl Gustav Jung. This concept is expressed through dreams, and finally affects the people’emotion, symbolizes and formalized. Thus, in this paper, I analyzed with a theory of myth by Roland Barthes,setting any pattern as a signifiant that can deduce a symbol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people’ fable among many traditional patterns. Currently, in case ofunderstanding, criticizing culture, the concept of semiotics is applied to several fields, from which every culture is defined as a phenomenon of sign. Given to this standpoint of semiotics, the symbolization traditional pattern has is likely to show a character such as a sign between the groups that enjoy it, it would be natural to postulate that it has sign system applicable to semiotics. In this regard, traditional pattern can be cognized as having one peculiarity that one signifiant(signifier) has many signifies(signified). Additionally, on the contrary, it appeared another peculiarity that several significants are connected with a signified. From this respect, traditional pattern can be interpreted as another characteristic of artistic sign that various myths exist within similar symbol systems. In closing, it is concluded that the analysis of the activity of semiotics significance in this paper would be helpful for an equipment of a logical, objective paradigm for traditional pattern and thus I will suggest another standpoint enough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our peoples’ culture by establishing a theory related to various fields. Furthermore,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pattern can reflect the traditional values and emotions for the moulding and developing the product our traditional patterns with the modern se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