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미술교육의 탐구적 접근에 관한 연구 - 존 듀이의 예술론을 중심으로 -

        이안근 ( Lee An-ke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2 No.-

        본 연구는 유아 미술교육의 미술활동에 근본적으로 탐구활동이 내재되어 있음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 논의를 위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예술론을 주장한 듀이의 경험개념을 기반으로 미술활동을 고찰하였다. 듀이는 경험이란 유기체가 세계와의 능동적이고 활발한 상호 교섭에 의하여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고 재구성되는 과정이라고 한다. 따라서 경험의 성장은 그 자체로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 듀이는 예술론에서 미적 성질을 지닌 '하나의 경험'이라는 완결된 상태의 경험을 예술적 구성논리로 정의한다. 미술활동은 기본적으로 다양한 질성을 직접 경험하며 질성적 사고를 하는 활동이다. 예술가가 작품을 구상할 때는 질성적 경험에 의한 사고에 의해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택한다. 그리고 작품을 완성하는 과정에서는 총체적인 질성을 갖고 창작활동의 전체의 과정에서 변형하고 응축하며 여러 관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반성적 경험의 사고를 한다. 따라서 예술가의 활동에는 질성적 사고와 반성적 사고 모두를 필요로 하는 탐구활동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즉 예술은 질성적 사고와 반성적 사고의 통합된 사고의 과정을 거쳐 '하나의 경험'을 이루는 완결된 경험으로서 창작 활동을 하는 것이다. 유아기의 아동들은 직접적인 체험을 통하여 다양한 질성을 경험함으로써 세상을 이해하고 지식을 얻는 방식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아 미술교육에 있어서 통합된 사고를 필요로 하는 미술활동을 탐구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미술교육의 타당성에 대해 논하였다. 성장기 유아에게 탐구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이며 미술활동의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사고의 과정을 통하여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로 경험의 확장을 이룬다. In this study, it is discussed that inquiry activities are fundamentally inherent in early childhood art activities. For this discussion, I studied art activities based on Dewey 's experience concept which claimed the art theory from a new perspective. According to Dewey, Experience is the process by which organisms grow and reconstruct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y transaction with the world. Therefore, the growth of experience itself has inherent value of education. Dewey defined the experience of the complete state of 'an experience' with aesthetic qualities as artistic component. Art activities are activities that basically experience various qualities directly and have qualitative thinking. When an artist designs an artwork, he or she chooses an object to express by thinking based on qualitative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a work, the painter has an overall quality and reflective thinking that grasps the relationship with various relationships in the whole process of creation. Therefore, the activity of the artist has an inquiry activity that requires both qualitative and reflective thinking. that is, art works through the process of integrated thinking of qualitative and reflective thinking as a complete experience of 'an experience'. Children in early childhood have a way of understanding the world and acquiring knowledge by directly experiencing various qualities. Thus, early childhood art activities are an excellent means of inquiry by qualitative thinking. It is important to provide an inquiring learning environment for early childhood and the infant undergoes a process of thinking that recognizes and solves problems that arise in the course of art activities. By doing so, the infant expands experience by reasoning and logical thinking.

      • KCI등재

        유아미술의 인지적 활동에 관한 연구 -아이스너의 미학적 인식론을 중심으로-

        이안근 ( Lee An-ke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6 No.-

        아이스너는 이성과 사고를 분리하는 이분법적 관념에서 탈피하여 미술활동에 수반되는 질성의 정서까지를 포함하는 광의적 인지개념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아이스너의 이러한 사상이 집약된 미학적 인식론에 근거하여 유아미술활동을 광의적 인지개념의 관점에서 논하였다. 유아들의 미술활동은 다양한 감각을 통하여 획득한 개념을 내면화하고 상징화하여 표현하는 활동이다. 이러한 표현활동에서의 인지적 특성은 유아들이 주변세계를 탐색하고 관찰하며 앎을 획득하는 표현활동의 전 과정에서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유아들은 대상에 대해 판단하고 해석하며 수정하고, 재해석하며 창의적으로 개념을 형성하는 반성적 사고를 하게 된다. 또한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석적이고 종합적인 방식으로 사고를 확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미술활동 전체의 과정은 유아들이 대상을 탐색하고 유추하고 재탐색하는 사고의 확장 활동이다. 따라서 유아미술활동은 유아들의 지각을 통해 인지 능력을 키우는데 있어서 훌륭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유아미술에 대한 인지론적 관점에서의 연구를 통해 미술활동이 인지적 사고에 관여한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미술교육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의 틀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이에 따라 유아미술교육의 접근에 있어서 탐구·인지적 관점이 타당함을 제언 한다. Eisner opposed the dichotomous notion of separating reason and thought. And he presented a broad concept of cognition including the emotions of the qualitativeness accompanied by art activities. In this study, based on the aesthetic epistemology of Eisner 's thoughts, infant art activities were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broad cognitive concept. The art activity of the infant is to internalize and symbolize the concept acquired through the experience of direct sense.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se expressive activities appear in the whole process of activities in which infants explore, observe, and acquire knowledge. In the process of expressive activity, infants have reflective thinking that judge, interpret, revise, reinterpret, and creatively form concepts around the world. Infants also expand their thinking in an analytical and comprehensive way to express, process, and solve problems. As a result, the whole process of this art activity is the extension activity of thinking that the children search for the object , analogy and re-search. Therefore, the activities of Infants arts can be a good way to develop cognitive skills through the perception of infants. This study suggests that art activities are involved in cognitive thinking through research on the cognitive perspective of infant ar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validity that the art education for infants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viewpoint of inquiry and cognition.

      • KCI등재

        전통문양의 상징성과 기호학의 관점 -한국 민족설화 속 문양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이안근(주저자) ( An Keun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2 No.-

        전통문양은 민족의 삶과 정서적인 가치를 반영하며 전해 내려오는 문화이다. 민족적인 공감을 형성하는 전통문양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서 카를 구스타프융(Carl Gustav Jung)의‘집단적 무의식Collectiveunconscious’이라는 개념을 들어 말 할 수 있다. 집단적 무의식은 예술이나 꿈을 통해서도 표현되며 민족정서에도 영향을 미친다. 전통문양이 갖는 상징적인 의미에 대한 기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부분적으로 민족정서를 바탕으로 하는 설화에 연유하여 상징화하고 도형화 해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많은전통문양 중 민족설화와 연계하여 상징적 의미를 유추할 수 있는 문양을 기표로 설정하여 롤랑 바르트의 신화이론의 모형에 의한 분석을 하였다. 현대에 들어 문화를 이해하고 비평하는데 있어서 기호학의 개념이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기호학의 관점에서는 모든 문화를 기호현상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기호학적관점을 수용한다면, 전통문양이 갖는 상징성은 그것을 향유하는 집단사이에서 약속된 기호와 같은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기호학에 적용될 수 있는 기호체계를 갖는다. 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전통문양은 하나의 기표에 매우 많은 기의들이 존재한다는 특이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반대의 현상으로, 같은 기의를 갖는 기표가 여러 개 존재한다는 것 또한 특이한 점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전통문양은 유사한 상징체계 안에서 다양한 신화가 이루어진다는 또 다른 예술기호의 특성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전통문양에 대한 기호학적 의미작용의 분석은 문양에 대한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패러다임(paradigm)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전통문양에 대한 특성과 의미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가는데 있어서 체계적인 이론을 정립하는데 기호학적 접근 방법은 유용한 학문적 연계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더 나아가 문양에 대한 현대적인 재해석은 우리의 전통문양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조형화하고 제품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전통적 가치와 정서를 반영할 수 있다. Traditional pattern is a culture that is inherited down, reflecting on the people’ life and emotion value. As for the symbolical significance of traditional pattern forming the people’common sense, we can state with the concept of collective unconscious by Carl Gustav Jung. This concept is expressed through dreams, and finally affects the people’emotion, symbolizes and formalized. Thus, in this paper, I analyzed with a theory of myth by Roland Barthes,setting any pattern as a signifiant that can deduce a symbol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people’ fable among many traditional patterns. Currently, in case ofunderstanding, criticizing culture, the concept of semiotics is applied to several fields, from which every culture is defined as a phenomenon of sign. Given to this standpoint of semiotics, the symbolization traditional pattern has is likely to show a character such as a sign between the groups that enjoy it, it would be natural to postulate that it has sign system applicable to semiotics. In this regard, traditional pattern can be cognized as having one peculiarity that one signifiant(signifier) has many signifies(signified). Additionally, on the contrary, it appeared another peculiarity that several significants are connected with a signified. From this respect, traditional pattern can be interpreted as another characteristic of artistic sign that various myths exist within similar symbol systems. In closing, it is concluded that the analysis of the activity of semiotics significance in this paper would be helpful for an equipment of a logical, objective paradigm for traditional pattern and thus I will suggest another standpoint enough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our peoples’ culture by establishing a theory related to various fields. Furthermore,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pattern can reflect the traditional values and emotions for the moulding and developing the product our traditional patterns with the modern sense.

      • KCI등재

        기호학적 관점에서 일월오봉도에 나타난 전통색의 의미작용 분석

        이안근 ( An-keun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6 No.-

        전통색은 어떤 민족이 오랜 세월동안 사용해온 민족의 정체성과 관련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색은 오방색으로 음양오행사상에 바탕을 두고 의미론적 색채관이 형성되었다. 음양오행사상은 자연과 사물을 인식하는 보편적인 관념으로 발전하며 계승되어왔다. 뿐 만 아니라, 음양오행사상은 의미론적 상징체계로 우리의 사회제도나 사상, 정서, 문화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전통색에 내재된 상징을 이해하기 위해서 음양오행사상에 대한 선행연구와 방법적인 도구로 기호학의 접근이 유용한 수단이 된다. 기호학은 비언어의 텍스트를 분석하는 의미작용 모델을 논리적인 구조로 제공하기 때문이다. 비언어인 색채이미지를 통해 기호에 내재되어 있는 신화를 도출하여, 색채에 대한 우리 민족의 심상을 해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신화는 당시 사회의 가치와 이데올로기를 이해하는 방식이며, 이를 통하여 우리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담론을 정립하는 것이 문화계승의 방법적인 또 하나의 대안이 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색의 기호학적 분석을 위하여 조선시대에 제작된 ``일월오봉도``를 선택하였다. 작품에 나타난 오방색의 기호는 롤랑 바르트의 신화모델에 적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일월오봉도는 전통색과 소재를 이중으로 음양오행 사상에 적용하여, 이념적인 상징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도식화되어 나타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월오봉도는 왕권의 강화와 통치수단으로서 권위와 위엄을 나타내고자 제작되었으며, 왕실의 번영과 공명정대한 태평성대의 염원을 담고 있음을 신화로 도출되었다. 신화의 도출은 우리문화에 대한 재인식을 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 우리민족의 특징을 담은 디자인 개발로 이어져 경쟁력 있는 제품개발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 하고자 한다. Traditional color of our nation was formed the idea of colors that based on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ought has been inherited and developed into a universal concept that recognizes the nature and objects.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ought has a semantic symbol systems such as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our social systems and ideology, emotion and culture. Therefore, The semiotic approach is useful to understand the symbolism of the traditional colors. Semiotics is due to provide the model for analyzing the signification of non-language text. In this study, I select the The sun, The moon and Five Peaks in Jo-seon Dynasty for the analysis. The colors shown in the work were analyzed by applying a model of Roland Barthes. As a result, The sun, The moon and Five Peaks was reinforced ideological symbolism by applying the spirit symbol of colors and objects. The sun, The moon and Five Peaks was presented the dignity and authority as a means of powerful governance and king of power. Also, It was contained the aspirations of peace and prosperity for the royal family. The work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myths inherent in the consciousness of the people about colors. Roland Barthes model of this study is considered as a useful approac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