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셀름, 바르트 및 판넨베르크의 유비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존재유비와 신앙유비를 중심으로

        이용규 ( Yong-kyu Lee ),정찬도 ( Chando Chung ),이신열(부교수) ( Samuel Y Lee ) 한국조직신학회 2016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4 No.-

        안셀름은 존재유비를 통해서 하나님의 존재를 보여줌에 있어서 이성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신 지식의 인식 가능성을 증대시키고, 명확하게 하는 도구로서 신앙유비를 활용한다. 이성에 대한 신앙의 우선성을 전제로 삼고, 하나님의 존재와 그의 진리에 대한 최대한의 이해를 추구하기 위해서 신앙유비를 사용하였던 것이다. 바르트는 안셀름의 유비 개념 이해에 있어서, 존재유비 개념은 부인하고, 하나님의 자기 계시와 이에 대한 신앙을 전제로 삼는 신학적 진술로서의 신앙유비만 받아들인다. 존재유비를 부인함에 있어서 바르트의 그리스도 중심적 사고와 스콜라주의의 자연신학에 기반을 둔 일반 계시의 효용성을 거부하는 태도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이들과 달리 판넨베르크는 스콜라주의의 유비 개념, 특히 일의성과 다의성 사이에서 양분화되는 유비 개념의 정당성을 부인한다. 특별히 일의적 유비 개념의 하나인 부활 유비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히면서 부활은 객관적이고 역사적 사건임과 동시에 빈 무덤 전승과 부활하신 주의 출현을 통해서 송영과 신앙 고백을 불러일으키는 사건으로 간주된다. 판넨베르크의 신학에 있어서 유비의 효용성은 적극적으로 부인된다. 이 세 신학자의유비에 관한 견해는 다음과 같이 비교될 수 있다. 안셀름은 신 지식에 대한 존재유비의 한계성을 인정하고, 계시에 근거한 신앙유비의 도구적 필요성을 주장한 반면, 바르트는 존재유비의 한계를 더욱 강력하게 내세우며 이를 부인하는 가운데 신앙유비만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판넨베르크는 존재유비를 부인할 뿐 아니라 부활유비에 대한 부정적 견해에 근거하여 신앙유비도 거부하고 송영을 자신의 신학에 있어서 중요한 출발점으로 삼았다는 점에 있어서 안셀름과 바르트 양자로부터 차별화되는 신학적 틀을 지니게 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Anselm of Canterbury utilizes analogy of faith (analogia fidei)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imposed by reason and analogy of being (analogia entis) in an attempt to prove the existence of God. Analogy of faith, in Anselm’s mind, is an instrument to assist and maximize the function of reason in an attempt to prove the very existence of God and his truth. In his deep appreciation of Anselm’s concept of analogy, Barth rejects analogy of being while accepting analogy of faith in his appreciation of the self-revelation of God. Regarding Barth’s rejection of analogy of being, we are reminded of his refusal of the existence and efficacy of general revelation rooted in Scholasticism. Despite of his refusal of analogy of faith, it is true that Barth remain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ncept of analogy established by Anselm. In contrast to Anselm and Barth, however, Pannenberg strongly denies the legitimacy of the Scholastic concept of analogy torn between univocity and equivocity. Analogy of resurrection cannot be held valid since it contains a univocal element. For this reason, the resurrection of Jesus should be recognized as an objective and historical event supported by tradition of the empty tomb and the appearance of the risen Lord. His resurrection results into confession of faith in him and thus doxology for him. The role and efficacy of analogy is radically minimized and denied in Pannenberg’s theology. Thoughts of these three theologians regarding analogy can be summarized and put into comparison in following way. Since Anselm recognizes the limits of analogy of being in our attempt to attain the knowledge of God, he emphasizes an instrumental necessity of analogy of faith rooted in divine revelation. Barth, on the other hand, strongly affirms the importance of analogy of faith at the cost of analogy of being. Indeed, the latter is eliminated from his understanding of analogy. Finally, Pannenberg denies both analogies of being and faith are denied and replaces them by doxology. He is now able to distinguish himself from both Anselm and Barth in establishing his theological framework not only by making doxology a starting point of his theology but also by denying analogy of faith due to his negative evaluation of analogy of resur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