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과 기본권, 그리고 영장주의에 관하여

        이숙연(Lee, Sook-yeon) 한국헌법학회 2012 憲法學硏究 Vol.18 No.1

        정보화사회의 생활은 방대한 양의 전자정보를 날마다 발생 및 축적시키고 있다. 범죄 또한 디지털 족적을 남기게 되므로, 전자증거가 범죄 입증의 중요한 증거가 되어 그 수집 여부가 수사의 성패를 가르는 결정적인 요소가 되었다. 전자정보의 수집은 그 형태에 따라 헌법상 기본권인 주거의 자유(제16조),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제17조), 통신의 비밀(제18조) 및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제한하게 된다. 우리 헌법 제37조 제2항은 기본권제한에 있어서 법률유보의 원칙, 과잉금지원칙, 본질적 내용의 침해금지 등 일련의 중요한 원칙을 명시하고 있으며, 수사기관의 전자정보의 수집은 형사소송법상의 영장주의에 따라야 한다.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에 관하여는, 그 대상이 무엇이고, 방법이 어떠하여야 하는지에 관하여 다년간 논란이 있어 왔다. 대법원은 2011. 5. 26. 2009모1190결정에서,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의 대상은 ‘전자정보’ 그 자체임을 명시하였다. 또한, 압수수색영장 집행의 원칙적인 방법은 ① 혐의사실과 관련된 부분만을 문서 출력물로 수집하거나 수사기관이 휴대한 저장매체에 해당 파일을 복사하되, ②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한 집행이 불가능하거나 현저히 곤란할 경우, 예외적으로 저장매체 자체 또는 이를 이미징하여 수사기관 사무실 등 외부로 반출한 후 해당 파일을 압수⋅수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법원은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을 일련의 과정으로 파악함으로써, 수사기관에 대하여 반출한 저장매체 등으로부터 관련있는 전자정보를 선별하고 그렇지 아니한 전자정보를 반환할 의무를 부과하였다. 또한 대법원은, 전체과 정을 통하여 피압수자나 변호인의 계속적인 참여권을 보장하고, 피압수자가 배제된 상태에서의 저장매체에 대한 열람․복사를 금지하며, 복사대상 전자정보 목록의 작성․교부 등을 통하여 피의자의 정보자기결정권 및 방어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위 결정은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에 있어서, 전자정보의 특수성과 중요성을 고려하여 실체적 진실규명을 통한 국가 형벌권의 적정한 행사라는 목적을 수행하면서도, 사생활과 정보자기결정권의 보호와 균형점에서 헌법과 형사 소송법의 영장주의를 실질적으로 구현하고 비례성의 원칙에 부합하는 집행방법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선언한 기념비적 판결이라 할 것이다. 위 결정 이후 2011. 7. 18. 형사소송법이 개정되어 압수수색의 요건이 강화 되었으며, 전자정보의 압수수색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고 그 압수수색 의 방법이 위 대법원결정과 같은 내용으로 정비되었다. 또한 전자우편 등 전기통신에 관한 압수수색시 송수신기간을 명시하도록 하였다. 디지털 환경이 개별적이고 고립된 PC로부터, 인터넷을 거쳐 서버 베이스드 컴퓨팅이나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로 이행되면서, 전자증거에 대한 수집은 사생활영역 및 정보자기결정권의 보호와 실질적인 영장주의 구현 등 다양한 헌법적 이슈와 마주하게 될 것이다. 실체적 진실발견과 국가형벌권의 적정한 행사를 위하여 전자증거에 대한 적시의 그리고 효과적인 수집은 필수적이라 할 것이나, 비례의 원칙을 넘어서 과도한 양의 전자정보가 수사기관에게 입수되게 됨으로써 개인의 사생활과 기업의 운영에 심대한 타격을 입힐 우려가 항상 존재하고 있다. 대법원 결정이 담아낸 헌법적 문제의식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쏟아지는 헌법적 과제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깊이있는 고민과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하겠다. " In an era of informatization, activities in our daily lives generate and accumulate an enormous volume of electronic information. Crimes also leave digital traces. Under such circumstances, electronic evidence has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substantiating a crime, and thus its collection has emerged as a decisive factor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investigations. Depending on its format, collection of electronic information may restrict certain fundamental rights guaranteed under the Constitution: freedom of residence (Article 16), secrecy of and right to privacy (Article 17), secrecy of correspondence (Article 18), and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Article 37(2)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ets forth a series of major principles related to the limitation of fundamental rights, such as the principles of reservation of law, anti-overrestriction and prohibition of infringement on the essential details of fundamental rights. Collection of electronic information by investigative agencies must be subject to the doctrine of warrants und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For many years,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targets and methods of search and seizure of electronic information has raged on. In its 2009 mo 1190 decision dated May 26, 2011, the Korean Supreme Court clarified that the target of search and seizure concerning electronic information should be the ""electronic information"" itself. In addition, the decision ensured that a search and seizure warrant should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inciples: (ⅰ) electronic information should be collected in the form of a printed document or copied to a storage medium carried by an investigative agency with respect to only those portions pertaining to the facts of suspicion; and (ⅱ) if execution of a warrant in such manner is impossible or extremely difficult, a corresponding file may be subject to search and seizure, on an exceptional basis, by carrying the storage medium or its imaging file to an office of an investigative agency or other external sites. Defining search and seizure of electronic information as a process comprising a series of steps, the Supreme Court imposed on investigative agencies an obligation of selecting relevant electronic information from storage media, etc. that are removed from the site and returning irrelevant electronic information accordingly. In addition, the Supreme Court, through its decision, guaranteed the right of continued involvement by persons subject to seizure or their counsel in the entire process, prohibited perusal and/or copy of storage media without the presence of those subject to seizure, and presented guidelines to substantively guarantee a suspect’s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right of defense through such measures as preparation and delivery of a list of copiable electronic information. In sum, said decision is a momentous ruling asserting how to practically abide by the doctrine of warrants under the Constitution a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how to execute them in conformity with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when it comes to search and seizure of electronic information. The decision, in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electronic information, seeks to strike a balance between (ⅰ) appropriate exercise of state punitive authority for substantive fact-finding, and (ⅱ) protection of privacy and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Following this decision, an amendment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on July 18, 2011 reinforced the requirements for search and seizure. It also laid the legal foundation for search and seizure of electronic information, of which method was accordingly revamped in line with said ruling of the Supreme Court.

      • KCI등재

        조선시대 담장(淡粧)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숙연(Sook-Yeon Lee)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2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3 No.3

        DAMJANG escaped from human body's exaggeration and exessive ornoment instead of stressing natural beauty. DAMJANG that pursues sensibility and purity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osun Dynasty traditional cosmetic. Rooting from the traditional idea of the sameness of the spirit and the body, spotless white complexion was highly valued, and it was considered as paramount factor of the beauty, this notion of beauty was reflected in women's daily lives as keeping their face and body neat and clean. This is what we traditionally call 'DAMJANG'(a dressing up of face and body), the very makeup in the traditional sens. The beauty of Chosun Dynasty women was focused to the face type, which was more spherical than accidental, and added various conditions as the following : white skin, galic nose and lips red as a cherry, black eyebrow, red cheek. Especially make up for eyebrow wa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part because it creates a totally new shape. We need to get out of the fixed idea about :old fashion" with recreating Korean peculiar traditional mode in modern cosmetic, rediscovering the beauty of cosmetic and the development of inventive modern cosmetic desing and its possibility through taking a triangular position on Korean cosmetic's peculiarity with modern sens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DAMJANG's characters and that of Chosun Dynasty informativeness.

      • KCI등재

        금융투자상품 투자자보호에 관한 판례 연구

        이숙연(Lee, Sook Yeon) 한국법학원 2015 저스티스 Vol.- No.148

        자본시장의 발달과 더불어 금융투자상품에 관한 소송의 형태가 변화되고 투자자보호의무에 관한 법률 및 판례도 발전하여왔다. 금융투자상품 관련 투자자보호의무는 금융투자상품의 종류와 내용, 투자의 단계에 따라 그 내용이나 정도를 달리 한다. 투자권유단계에서 투자자보호의무 위반에 현저한 위반이 있고 그로 인하여 투자자에게 손해가 발생한 경우 불법행위가 성립하며 금융투자업자는 자본시장법 제48조나 제64조에 따라 또는 민법상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한다. 투자운용단계에서의 선관주의의무와 관련하여 영미법의 신탁에서의 법리 등을 원용하고 축적된 판례를 분석하여, 그 내용을 구체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손해의 산정에 있어, 손해는 현실적, 확정적으로 발생한 것이어야 하고, 투자금액으로부터 회수되거나 회수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은 공제되어야 한다. 판례는, 금융투자업자의 각 주의의무 위반은 결합하여 단일한 손해를 발생시킨 것으로 보고 있고, 투자자보호의무를 위반한 금융투자업자들은 연대하여 책임을 지며, 투자자의 과실은 이들 전부를 대상으로 산정하여 왔다. 그러나, 주관적 공동관계가 없거나, 주의의무 위반의 국면이나 단계가 상이하여 객관적 공동관계도 없는 경우에는 손해의 산정 및 각 주체별 책임의 준별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As the capital market has achieved significant growth, the form of lawsuits relating to financial instruments has changed, and the legal system for investor protection have evolved rapidly. Investor protection obligation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financial instrument. If there are significant violations of the obligations at the stage of recommending financial instruments, the financial investment companies shall bear the Capital Market Act Article 48 or 64 liability or civil tort liability. In relation to the fiduciary duty on managing financial instrument, it is necessary to analyze recent judicial precedents as well as to introduce the Prudent Investor Rule of the common law system, and in estimating damage, only real and final loss can be assessed as damage. The amount recovered or expected to be recovered shall be deducted from the investment. Our case law has told that the financial investment companies which breached the obligations are jointly responsible and negligence of investors should be calculated to target all of these. However, when there is no co-relation between each company and the breaches occurred are in different stages, it is necessary to estimate each entity"s damage separately depending on respective specific responsibilities.

      • KCI우수등재

        권리범위확인심판을 중심으로 본 특허 침해쟁송제도와 그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이숙연 ( Sook Yeon Lee ) 법조협회 2010 法曹 Vol.59 No.4

        지적재산권쟁송, 그 중에서도 특허권과 같이 심사와 등록을 거쳐 발생하는 권리에 관한 특허쟁송은 크게 특허권과 제3자의 실시형태 사이의 저촉 여부에 관한 침해쟁송과, 권리 자체의 성립 및 효력에 관한 분쟁인 무효쟁송으로 대별된다. 우리나라는 무효쟁송은 특허심판원의 심결과 특허법원, 대법원의 심결취소소송에 의하여 판단하도록 하고, 침해금지, 손해배상, 신용회복조치 등의 청구소송 등 침해소송은 일반 법원이 판단하도록 하여 이원화하면서도, 침해쟁송 중 하나인 권리범위확인심판은 특허심판원의 심결과 특허법원, 대법원의 심결취소소송제도를 두고 있다. 권리범위확인심판은 종래 침해소송 법원이 지적재산권 분야에 관한 전문성을 갖추지 못하였을 시기에 마련된 제도로서 오랜 기간 동안 침해쟁송에서 상당한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그러나 특허권의 해석이나 침해 여부 판단은 본래 사법권에 속하는 것이어서, 현재의 침해쟁송의 구조는 헌법상 권한분배의 원칙에 반하며, 절차의 중복문제와 그로 인한 모순된 판단의 우려가 있다. 또한 침해소송 법원의 전문성 강화로 권리범위확인심판 폐지의 주장도 등장하고 있다. 권리범위확인심판제도는 본래 일본의 구 특허법에서 유래하였으나, 일본은 1959년의 법개정으로 위 심판제도를 폐지하고 특허청이 행하는 공적 감정의 성격을 가지며 불복이 불가능한 판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특허청 또는 그 소속기관에 의한 권리범위확인심판제도를 두고 있는 나라는 오스트리아에 불과한데, 오스트리아의 경우도 침해소송이 계속 중인 때에는 심판청구를 각하하도록 규정하여 중복 소송을 방지하고 있으며, 상표에 관하여는 위 심판제도를 두고 있지 아니하다. 권리범위확인심판은 등록된 권리와 확인대상 실시형태 사이에 당해 등록된 권리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에 관하여 현실적인 다툼이 계속되고, 동일한 심판 대상에 대하여 가장 유효·적절한 분쟁해결수단인 침해금지청구나 손해배상청구와 같은 민사 본안소송의 판결이 내려지기 전에 그 권리범위의 속부를 확정할 실익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확인의 이익이 있다 할 것이다. 종래 권리범위확인심판이 맡아 왔던 역할을 침해소송이 온전히 대체하기 위하여는, 단기적으로는 침해소송 법원 재판부의 노력과 전문심리위원제도의 활용, 특허청으로부터 인력지원을 통하여 침해소송 법원의 전문성을 더욱 강화하여 침해소송 법원이 권리범위확인심판의 결과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전문적인 판단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침해소송이 먼저 제기된 경우 권리범위확인심판청구를 각하하도록 법률로 규정하고 고도의 기술적 판단을 요하지 않는 상표나 디자인부터 권리범위확인심판부터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지적재산권 소송의 관할 집중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변리사의 침해소송에서의 소송대리권, 가처분제도의 개선 등도 풀어야할 숙제이다. 우리나라는 특허법원의 설립으로 아시아 지역에서 특허쟁송제도의 모범사례를 이루었으나, 이후 관할의 집중이 지연되는 동안 무효쟁송과 침해쟁송의 관할을 통합한 일본 지적재산고등재판소의 설립으로 선도적 지위를 잃은 것은 아닌가 깊이 우려된다. 권리범위확인심판제도의 존폐 문제를 포함하여 특허쟁송제도 전반에 대한 보다 장기적인 대안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 SCOPUSKCI등재

        LC-MS/MS를 이용한 벌꿀 중 grayanotoxin 분석법 연구 및 실태조사

        이숙연(Sook-Yeon Lee),최윤주(Youn-Ju Choi),이강봉(Kang-Bong Lee),조태용(Tae-Yong Cho),김진숙(Jin-Sook Kim),손영욱(Young-Wook Son),박재석(Jae-Seok Park),임성임(Sung-Im Im),최희정(Hee-Jung Choi),이동하(Dong-Ha Lee)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1

        본 연구는 야생꿀을 비롯한 벌꿀, 벌집채꿀 등 국내산 및 수입산 꿀의 안전관리를 위한 grayanotoxin(GTX)의 시험분석법 확립 및 실태조사를 위하여 수행하였다. GTX 표준품 Ⅰ, Ⅱ, Ⅲ는 LC-MS/MS로 분자량을 확인한 후, 시판품인 III를 제외한 Ⅰ과 Ⅱ는 NMR을 이용하여 구조를 확인하였다. 총 111건(국내산 벌꿀 25건, 국내산 야생꿀 21건, 벌집채꿀 13건, 수입산 벌꿀 44건, 수입산 야생꿀 8건)의 벌꿀시료는 메탄올을 사용하여 벌꿀-메탄올 용액을 만들어 tC18 cartridge에 loading 한 후, 여과된 액을 동량의 증류수로 희석하여, 이온화장치로 ESI를 장착한 triplequadrupole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C의 용리액은 1% 포름산이 첨가된 “메탄올-물”을 사용하는 것이 10분 이내의 분석시간대에 나타나는 피크의 모양과 감도가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방법을 이용하여 검체 중의 GTX Ⅰ, Ⅱ, Ⅲ의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 총 111건 중 수입산 야생꿀 3건(2.7%)에서 GTX Ⅰ, Ⅱ, Ⅲ가 검출되었고, 수입산 야생꿀 1건에서 GTX Ⅰ, Ⅲ가 검출되었다. GTX Ⅰ의 검출량은 최소 3.13 ± 0.00 mg/kg에서 최고 12.93 ± 0.01 mg/kg으로 나타났고 GTX Ⅱ는 0.84 ± 0.01 mg/kg, 0.92 ± 0.00 mg/kg, 1.08 ± 0.01 mg/kg의 함량을 나타내어 GTX Ⅰ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GTX Ⅲ는 최소 0.25 ± 0.01 mg/kg에서 최고 3.29 ± 0.74 mg/kg으로 함량에 큰 차이를 보였다. 본 방법을 이용한 총 111건의 벌꿀 시료의 GTX분석시 수입산 야생꿀 4건에서만 GTX가 검출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휘발성 또는 극성 때문에 GTX 분석시 GC 및 GC-MS에서 분석이 어려운 벌꿀시료를 대상으로 전처리 시간의 단축을 모색함과 동시에 LC-MS/MS를 이용한 시험분석법을 개발할 수 있었고, 모니터링을 통하여 네팔, 터키 등 특정 지역의 야생꿀의 섭취를 제한하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analysis methods, and evaluated for grayanotoxin in domestic/foreign honey and wild honey. The molecular weight of grayanotoxins Ⅰ, Ⅱ and Ⅲ, excluding grayanotoxin Ⅲ that has been commercialized, were analyzed by LC-MS/MS. Then, the molecular structure of grayanotoxins Ⅰ and Ⅱ were analyzed by NMR. A total 111 samples (25 Korean honey, 21 Korean wild honey, 13 Korean honeycomb honey, 44 foreign honey, 8 foreign wild honey) were examined to determined whether or not each sample contained grayanotoxins Ⅰ, Ⅱ, and Ⅲ. The honey samples were mixed with methanol and loaded into a tC18 cartridge, the filtrate was diluted with water, and the mixture was then analyzed by ESI triple-quadrupole LC-MS/MS. Grayanotoxins were only found in the foreign wild honey and were not detected in Korean honey, Korean honeycomb honey, or Korean wild honey. Three of the samples contained grayanotoxin Ⅰ, Ⅱ, and Ⅲ, and one sample contained only grayanotoxins Ⅰ and Ⅲ. The lowest level for grayanotoxin I was 3.13 ± 0.00 mg/kg, and the highest level was 12.93 ± 0.01 mg/kg. The levels of grayanotoxin Ⅱ were 0.84 ± 0.01 mg/kg, 0.92 ± 0.00 mg/kg and 1.08 ± 0.01 mg/kg, respectively. The lowest level of grayanotoxin Ⅲ was 0.25 ± 0.01 mg/kg and the highest level was 3.29 ± 0.74 mg/kg. Through this study, safety management for foreign wild honey has been enabled.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미용사 자격 및 면허제도에 관한 연구 -자격세분과 메이크업 자격분리-

        이숙연 ( Sook Yeon Lee ) 한국미용학회 2007 한국미용학회지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re are much problems to establish status, and to put in good order legislation degree, of beauty art composition parts that guide development of whole beauty art, and to present the alternative or solution way in reply. Grasping present condition of beauty art and make-up and examining through comparison Korean beauty art qualification and license system with Italian system, problems that happen in beauty art education field and beauty art spot, as regard to qualification and license system degree, are exposed by result that legislation degree does not reflect actuality of beauty art that atomize and specialize. To solve these problem, government authorities need to fractionate particularly in part and separate qualification and license system degree, and to put difference in grade of qualification and to look up the level that give license.

      • KCI등재

        뇌물수수죄와 제3자뇌물수수죄의 법리에 관한 연구

        이숙연(Lee, Sook-yeon) 한국법학원 2020 저스티스 Vol.- No.177

        뇌물수수죄 및 제3자뇌물수수죄에 관해 형성된 여러 법리 중 “형법은 뇌물의 귀속주체에 따라 제129조 제1항의 뇌물수수죄와 제130조의 제3자뇌물수수죄를 구별한다.”는 법리(이하 ‘제1법리’라 한다) 및 “제3자뇌물수수죄에서의 ‘제3자’는 공동정범이 아닌 자이어야 한다.”는 법리(이하 ‘제2법리’라 한다)는 뇌물범죄에 관한 죄명과 적용법조를 결정함에 있어 중요한 축을 형성해 왔다. 형법 제정 당시 예상하지 못했던 뇌물범죄 형태의 진화 및 그에 따른 법률적용의 어려움에 따라 위 각 법리에 대하여도 해당 조문의 연혁과 구성요건 등 근원에서부터 다시 검토해야 할 시기가 되었다. 이른바 ‘삼각뇌물’ 형태의 최근 사례들을 통해 뇌물수수죄와 제3자뇌물수수죄 경계 획정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비신분범이 공무원의 직무와 관련하여 공여자로 하여금 자신에게 뇌물을 공여하도록 공무원과 공모하고, 뇌물을 수수하는 실행행위를 주도적․적극적으로 수행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이러한 경우 형법 제129조 제1항과 제130조 중 어느 조항으로 의율할지를 두고 기소와 재판과정에서 적지 않은 공방과 혼선이 초래된다. 두 조항의 경계 획정기준과 비신분범의 엄벌 필요성은 제1, 제2법리와 충돌하므로 해결 방법이 필요하다. 첫 번째 방법은, 제2법리를 유지하면서 제1법리를 변경 내지 수정하여 공무원과 비신분범을 모두 뇌물수수죄의 공동정범으로 의율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제1법리와 제2법리를 모두 유지하면서, 공무원은 제3자뇌물수수죄의 정범으로, 비신분범은 그 방조범으로 의율하는 것이다. 세 번째 방법은, 제1법리를 유지하면서 공무원과 비신분범 모두 제3자뇌물수수죄의 공동정범이 성립한다고 봄으로써 사실상 제2법리를 폐기하는 것이다. 대법원 2019. 8. 29. 선고 2018도13792 전원합의체 판결의 다수의견 및 2개의 별개의견은 각기 위 세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축적된 법리도 시대의 변화 및 범죄태양의 변경에 따라 변모될 필요가 있다. 형사사법절차에 있어 죄명과 적용법조의 판단기준은 일의적이고 명확해야 한다. 따라서 제1법리는 유지하고 근거가 박약한 제2법리는 폐기하는 것이 차선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불법성에 있어서 차이가 없는 제129조 제1항과 제130조를 하나의 조항으로 통합하도록 법률을 개정함으로써, 당사자들의 혼란과 사법자원의 낭비를 근원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최선의 방안이라고 할 것이다. Various legal principles have been accumulated regarding bribery and third-party bribery. The first one could be “the criminal law distinguishes bribery charges under Article 129 (1) from third-party bribery charges under Article 130, according to whom the bribe belongs to”(hereinafter ‘The First principle’) and the second one, “a principal offender could not be a ‘third-party’ in third-party bribery”(hereinafter ‘The Second principle’). These two principles need to be reexamined from the source. Recent examples of so-called “triangle bribery” show how difficult to demarcate bribery and third-party bribery. There are a number of cases where non-public officials conspire with public officials to make donors to give bribes to them in connection with public officials’ duties, and actively take important role in executing the crime. In such cases, there have been a considerable amount of confusion in prosecution and trial proceedings as to which article will govern.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provisions and the necessity for punishment of non-public officials conflict with the First and the Second principles. A solution is needed. The first method is to change or modify the first principle while maintaining the second principle so that both public officials and non-public officials can be condemned as a joint offense for bribery. The second method, while maintaining both the first and second principles, is to punish public officials and non-public officials as principle offenders and accessories of third-party bribery, respectively. The third method is to punish both of them as principal offenders of third-party bribery, by maintaining the first principle and repealing the second principle. The majority opinion and the two separate opinions of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8do13792(sentenced 2019.08.29.), seem to suggest the three methods, respectively. Accumulated legal principles and case laws also need to be transformed in response to change of times and changes of crimes. In criminal justice proceedings,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names of the crimes and applicable laws should be plain and clear. Therefore, it may be suboptimal to maintain the first principle and to repeal the second principle, which is weakly grounded. However, by unifying Article 129 (1) and 130, which have no difference in illegality, it would be the best way to fundamentally resolve the confusion and save judicial resources.

      • KCI등재

        디지털증거의 증거능력

        이숙연(Lee, Sook Yeon)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61

        고도로 정보화된 현대사회에서 범죄수사의 성패는 디지털증거의 수집 여하에 달려 있을 만큼 디지털 증거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적법하게 수집된 디지털 증거의 경우 증거능력을 인정하기 위한 요건이 무엇인가에 대하여는 아직까지 견해가 나뉜다. 진정성은 성립의 진정과 동일성‧무결성을 포괄하는 폭넓은 개념이나, 증거능력 판단의 각 단계에 적확하게 적용되는 요건으로 삼기에는 그 외연이 너무 넓다. 동일성은 우리 판례가 유일하게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요건으로 보이고, 무결성은 이를 담보하기 위한 요소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성은 압수된 증거가 영장주의에 위반한 것인지 증거수집의 적법성을 따지는 단계에서, 적법하게 수집된 증거라면 증거가치를 따지는 단계에서 고려될 요소라고 할 것이다. 원본성은 우리 소송법이 요구하는 증거능력의 요건은 아니며, 다만 원본의 개념을 넓힌 미국 연방증거규칙은 시사하는 바가 있다. 한편 형사소송법 제313조의 개정에 따라 디지털증거의 증거능력 인정요건에는 변화가 있는지 및 양자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가 필요하다. 개정 형사소송법 제313조은 진술서의 작성자가 진정성립을 부정하는 경우에도 과학적 분석결과에 기초한 디지털포렌식 자료, 감정 등 객관적 방법으로 작성자를 특정하고 진정성립을 증명할 수 있는 방안을 도입하였다. 수사과정과 무관하게 작성되어 허위개입의 여지가 적을 것으로 보이는 진술서에 대하여 작성자의 진술 외에 진정성립을 인정할 다른 방안이 만들어진 것은 바람직하다. 다만 ‘과학적 분석결과에 기초한 디지털포렌식 자료, 감정 등 객관적 방법’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에 관하여는 수사기관의 원칙을 준수하면서도 창의적인 접근과 함께 판례의 유연하고 합리적인 판단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해당 증거가 전문증거인지 여부에 대하여도 보다 섬세한 판단이 있어야 하고 이에 관하여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판례 및 학설의 변화가 주목된다. 결론적으로 적법하게 수집된 디지털증거에 있어 증거능력 요건은 동일성으로 족하고 무결성은 동일성을 담보하는 요소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형사소송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동일성은 여전히 증거능력 판단에 있어 의미있는 기준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digital evidence has been growing so that the success of major investigations depends on the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There has been various views on what requirements for digital evidence to be admissible. Authenticity would be broad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essence of identity, integrity, and authenticity of formation, however, it is too broad to apply precisely to each step of judging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dentity can be seen as the only requirement that our case is consistently demanding, and integrity can be a factor for securing it. Relevance will be considered at the stage of judging the legitimacy of evidence collection, whether it is a breach of warrant requirement, or in the stage of assessing the value of legitimately collected evidence. The originality is not a required in our Criminal Procedure Act. However, the U. S. federal evidence rules widening the concept of "original" of Electronically Stored Evidence could be a solution. Article 313 of the Amended Criminal Procedure Act introduces a way to identify the author of a document by "objective methods" such as digital forensics or expert opinion based on the scientific analysis results even when the author of the statement denies that he or she wrote it. This amendment can be a step forward to improve our evidence rules in criminal procedure. However, there should be accumulation of cases to find what ‘objective methods’ will be. It is necessary for the investigation agency to contrive methods objective and scientific enough to satisfy the amended article. Courts are responsible to reasonably assess the methods and judge the admissibility of given evidence. Judgments and theories on hearsay evidence have been elaborated recently and the amendment will be a trigger to a further development of case laws and doctrines. In conclusion, for legitimately collected digital evidence, identification should be only meaningful requirement to be admissible before judging whether it is not hearsay evidence or exception of hearsay rules. Integrity would be a factor guaranteeing identification. Despite the revis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identification is still a meaningful criterion in judging evidence.

      • KCI등재

        1930년대 한국 모던 걸(Modern Girl)의 화장문화(化粧文化)에 관한 연구

        이숙연 ( Sook Yeon Lee ),정연자 ( Jung Yeon Ja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1 No.-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서구와의 문화적 교류를 통해 한국식화장이 세계로 뻗어 나갈 수 있게 밑바탕이 되었던 1930년대의 化粧文化를 연구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1930년대 일제의 억압과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면서 미용문화가 위축이 되었지만, 근대 교육을 받은 모던 걸이나 모던 보이가 유행할 정도로 미용 문화에 있어서 최고점을 이루었던 시대를 살펴봄으로써 1930년대 한국 모던 걸의 화장문화를 분석하고 한국뷰티 문화연구의 기초적인 토대마련을 하고자 하는 것이목적이다. 화장 문화와 사회질서 사이 화장의 경향과 유행의 변화속도는 사회적 영향력에 의해서 좌우된다. 특히 교육기회의 증가와 대중화는 화장의 변화를 가속화 시키고 화장 문화의 다양성을 가져오는데 영향을 미쳤다. 1930년대의 경성에서 최고로 세련된 여성인 모던 걸의 형상을 구축하는 요소들, 그들이 이상으로 추구한 개념이나, 화장의 형태는 새로운 관념의 등장이라 할 수 있다. 모던 걸은 근대의 상징이었다. 새로운 감각적인 멋과 지식의 소유자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스타일(화장, 의상, 두발, 장식, 의식, 등)을 통해서 근대적 주체로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찾아 가고자 한것이다. 본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여 고찰하였고 문헌연구는 각종 논문, 서적, 잡지 등을 참고로 살펴보았고 실증적 고찰을 위해서는 1930년대 발간된 여성지를 중심으로 사진을 수집, 조사, 분석, 평가 하여 사용하였다. 사진은 120개의 사진에 정은 뷰티관련 교수 10명의 집중적인 분석에서 모던 걸에 해당하는 사진이라고 공통적으로 평가한 사진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던 걸들은 특히 서구 여성 스타에 열광적인 반응을 보였다. 여성 스타의 브로마이드를 사고 패션과 화장, 머리스타일과 같은 스타의 외양을 따라하거나 제스처나 말투, 걸음걸이와 같은 행동 양식들을 미메시스 하였다. 둘째 淡粧文化의 중요요소인 외형을 가꾸는 일은 곧 내면의 미를 표현하는 것으로, 이러한 미덕을 바탕으로 온화하고 우아한 화장 문화를 이루었다. 셋째 모더니즘은 근대적 감각을 나타내는 현상으로 모더니즘이라는 풍습과 유행을 따르고 그것을 체험한 사상을 신속하게 받아들이는 선두주자인 모던 걸들은 서양 여배우의 아름다움이 근대여성의 아름다움의 척도가 되어 코를 높이고 눈매를 깊고크게 보이기 위해 입체 화장법이 시작되었다. Korean makeup to be spread out into the world in modern society, the makeup of the 1930s culture to study the significance that this study tried to feed this study. Era was the oppression of the Japanese and World War II in the 1930s due to the atrophy of Beauty Culture, despite a peak in trained men and women from fashion to beauty culture had achieved. The 1930s, the modern Girl make of makeup culture analysis and Korea Beauty Culture laid the basic foundation of the research that you want to aim.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trends and fashion makeup, makeup cultural and social order is influenced by the social influence. In particular, an increase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accelerate changes in the makeup popularized and influenced the makeup to bring cultural diversity. It may be the emergence of new ideas and elements to build the most stylish women in the rigid shape of the modern girl of the 1930s, and they pursue more than one concept, in the form of makeup. Modern girl was a symbol of modernity. New sensual style and knowledge of the owner, showed through the style of these (costumes, hair, decoration, language, rituals, etc.) will go to find their identity as a modern subject. Professor of beauty ten intensive analysis in the modern girl that corresponds to the 120 photos from the Western and South Korea``s modern walk to work compared to the feasibility of the selected photos and pictures are commonly rated targets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dern girl, especially Western women, was an enthusiastic response to the Star. Mimesis bromide thinking of the female star like fashion, makeup, hair style and according to the star``s appearance or behavior such as gestures or speech, gait. Second traditional Damjang important elements of culture to cultivate the appearance of things soon to express the inner beauty of these virtues, culture became gentle and elegant makeup. Third modernism, I experience it follows the fashion phenomenon as representing the modern sense of modernism that customs and ideas quickly accept the forerunner of modern western actress beauty of your eyes to the nose of the modern woman``s beauty is the measure of the deep greatly to show the three-dimensional makeup beg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