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 변화궤적과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이소연(Lee, Soye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변화궤적, 청소년과 어머니의 이중문화요인, 청소년의 심리정서적응(자아존중감, 우울, 사회적 위축) 간 구조관계를 탐색하였고, 이 관계에서 성차가 있는지를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MAPS) 의 2012∼2015년도 자료조사에 참여한 1,597명의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그 어머니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변화궤적은 초등학교까지 증가하다가 중학교 입학 이후 감소하는 ∩모양의 비선형모형으로 나타났고, 초기치와 일차변화율에서 개인차가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모형분석 결과, 청소년의 국가정체성은 성장요인 모두에 그리고 청소년과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어머니의 통합, 동화, 주변화 양상은 이중문화수용태도의 초기치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이중문화수용태도의 초기치는 중학교 2학년 청소년의 심리정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잠재성장모형에서 성차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무조건 모형에서 여학생의 초기치가 그리고 조건모형에서 여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이중문화수용태도의 초기치에 미치는 영향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의 종단적 변화와 이와 관련된 청소년과 어머니의 이중문화요인의 관계 그리고 그 관계에서의 청소년의 성차를 탐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changes and relevant factor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ttitudes amongst multiethnic adolescents. The subjects comprised 1,597 multiethnic students and their foreign-born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Panel Study(MCAPS) from 2012 to 2015. The data were analyzed by latent growth modeling using the M-plus program. Ou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multiethnic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ttitudes changed in non-linear ways over the four years and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intercepts and linear slope. Second, students’ national identity at the first time point affected intercepts, linear, and quadratic slopes of the latent growth model.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as well as mothers’ integration, assimilation, and marginalization tendency, assessed in 2012, influenced only the intercept of the latent growth model fo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ttitudes. Additionally, the intercepts significantly affected the high scores of adolescents’ self-esteem and low scores of depression and anxiety, assessed in 2016. Third, girls’ intercept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effect of girls’ acculturative stress on the intercept was greater than that of boy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남녀 청소년의 공동반추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조절효과

        최예린(Choi, Yelin),이소연(Lee, Soye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의 공동반추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개 고등학교 1~2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480명을 대상으로 ‘공동반추 척도(Co-rumination Scale Questionnaire: CRQ)’, ‘대인관계 스트레스 척도’, ‘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s: CES-D)’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절효과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단순 기울기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우울증상은 가족 스트레스, 동성친구 스트레스, 교사 스트레스, 이성친구 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청소년의 공동반추는 동성친구 스트레스, 교사 스트레스, 이성친구 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의 공동반추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하위영역 중 동성친구 스트레스만이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청소년이 동성친구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스트레스의 수준이 낮은 경우 공동반추가 우울증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높은 수준의 동성친구 스트레스를 경험한 경우 공동반추가 우울증상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공동반추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남자 청소년의 동성친구 스트레스 및 교사 스트레스만이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남자 청소년이 낮은 수준의 동성친구 스트레스 또는 높은 수준의 교사 스트레스를 경험한 경우 공동반추가 우울증상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동반추와 우울증상의 관계가 청소년이 지각한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하위영역별 수준에 따라 상반된 경로를 보인다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이러한 양상이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바, 청소년의 우울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대인관계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더불어 공동반추를 함께 고려하는 개입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stress between co-rumin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The subjects comprised 480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Co-rumination Scale Questionnaire (CRQ), Interpersonal Stress Scale, an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s(CES-D) were used. We perform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means of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graphical analysis and simple slope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nly adolescents’ peer stress exhibit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umin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Second, in the case of male adolescents, peer stress and teacher stress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co-rumin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aking interpersonal stress into account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rumin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 KCI등재

        어머니의 수면의 질과 유아의 문제행동 관계에서 유아의 수면 문제와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 검증

        조문주 ( Cho¸ Moonju ),이소연 ( Lee¸ Soyea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수면의 질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녀의 수면 문제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5세에서 5세 영유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차적 매개 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Preacher와 Hayes(2008)이 개발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수면의 질은 유아의 수면 문제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 가운데 하나인 모의 수면의 질이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교육 현장에서 중요한 교육 자료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leep problem and parenting stress in the effects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 on the mother’s sleep quality. For this, the self-report scale of mother’s sleep quality, children’s problem behavior, children’s sleep problem, and parenting stress was conducted targeting 239 children. In the result of bootstrapping using the Process Macro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mother’s sleep quality had direct effects on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 Specifically that mother’s sleep quality increases children’s sleep problems, and increased children’s sleep problems increase parenting stress increases, providing a negative parenting environment for children, thereby increasing their problem behavior. This study provided data to understand the mother’s sleep quality, one of the parent variables affect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provided parenting information to parent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leep quality and children’s sleep. In the counseling scene, empirical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were presented to the counselor.

      • KCI등재

        중학생의 악성댓글 목격 양상과 공격성, 충동성, 자극추구성향이 악성댓글 참여에 미치는 영향

        김지인(Kim, Jiin),이소연(Lee, Soye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중학생의 악성댓글 목격 양상과 개인내적 변인, 그리고 목격 양상과 개인내적 변인의 상호작용이 악성댓글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중인 청소년 238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상관분석, Kruskal-Wallis와 Mann-Whitney U 검증, 이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악성댓글 목격 양상이 악성댓글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악성댓글을 목격한 곳’, 즉, 포털 사이트보다는 SNS에서 악성댓글을 목격한 경우에 악성댓글 참여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중학생의 개인내적 변인이 악성댓글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충동성, 자극추구 성향이 높을수록 높은 악성댓글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학생의 악성댓글 목격 양상과 개인내적 변인의 상호작용이 악성댓글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악성댓글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통합적으로 탐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여 악성댓글 목격 양상과 개인내적 변인이 악성댓글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인터넷 환경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개인내적 변인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심리적 취약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악성댓글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에 대한 치료적 개입과 악성댓글 피해 예방 교육이나 제도 마련에도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exposure to malicious online comments and psychosocial factors on posting malicious online comments amongst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mprised 238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Kruskal-Wallis and Mann-Whitney U tests, two-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u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osting malicious online comments by middle school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posure to malicious online comments through SNS than through portal sites. Secondly, higher scores of relational aggression, impulsivity, and sensation seeking amongst middle school students significantly predicted more frequent posting of malicious comments. Thirdly, there was no interactional effect between the exposure to malicious online comments and psychosocial factors. This study explored possible variables that may influence the posting of malicious online comments and specifically verified their effectiveness.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의 다중매개효과

        정은혜(Chung, Eunhye),이소연(Lee, Soye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수면시간, 수면의 질, 우울 증상의 관계를 밝히고,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을 매개변인으로 한 연구모형을 Preacher와 Hayes가 개발한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매개분석을 실시하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척도(S-척도), 수면시간을 묻는 문항, 수면의 질 척도(PSQI-K), 우울 척도(CES-D)를 실시하고, SPSS 22.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은 수면시간, 수면의 질과 부적 상관을, 우울 증상과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수면시간은 수면의 질과 정적 상관을, 우울 증상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수면의 질은 우울 증상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수면시간을 매개하여 우울 증상에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은 수면의 질을 매개하여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짧은 수면시간을 거쳐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스마트폰 중독경향이 높은 청소년은 수면의 질이 낮아 높은 우울 증상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함으로써 각 변인들을 통합적으로 검증했다는 점과 수면시간보다 수면의 질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을 가진 청소년들의 수면 및 부정적 정서에 관하여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duration and qual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nd depressive symptoms. We performed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ith Hayes’ Process Macro program and bootstrapping.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10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following tools were used; a smartphone addiction scale(S-scale), a questionnaire on sleep duration, the PSQI-K, and the CES-D. The data thus collected were analyzed by SPSS 22.0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did not affect depressive symptoms through sleep duration. Second,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significantly influenced depressive symptoms through sleep quality. This study provides initial evidence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sleep quality rather than sleep du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nd depressive symptoms.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일-가정 갈등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증상과 자녀에 대한 분노의 매개효과

        조은주 ( Cho Eunju ),이소연 ( Lee Soyea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일-가정 갈등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증상과 자녀에 대한 분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맞벌이 가정의 아버지 150명으로 일-가정 갈등, 우울증상, 자녀에 대한 분노,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해 응답한 자료를 Prescher와 Hayes(2008)이 개발한 Process Macro를 이용해 매개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Bootstrap)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일-가정 갈등, 우울증상, 자녀에 대한 분노, 자녀의 문제행동은 모든 변인들 간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일-가정 갈등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버지의 우울증상과 자녀에 대한 분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기 자녀의 문제행동을 이해하는데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증상, 자녀에 대한 분노를 검토하고 이에 개입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and anger toward children in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between working-family fathers with infantile children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Based on data from 150 fathers of dual-income families raising infants, they conducted a parametric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developed by Prescher and Hayes (2008) and conducted Bootstrap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s. As a result, first, double-income family fathers' work-family conflicts, depressive symptoms, anger toward their children,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showed static correlations among all variables.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father's depressive symptoms and anger toward children were significant in the effects of the work-family conflict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examine and intervene in the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ve symptoms of working-family fathers and their anger toward their children in understanding their child's problematic behavior.

      • KCI우수등재

        부 · 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최정은(Jung Eun Choi),이소연(SoYean Lee)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parents of 166 preschoolers; the children were attending seven different daycare centers in Seoul.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rejection-restriction parenting behavior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Seco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warmth-acceptance, rejection-restriction, and permissive-neglectful parenting behavior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hird, after controlling for fathers’ parenting behavior,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Conclusion: Both parenting behavior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should be considered when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particular,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tress the important role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in decreasing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buffering against the influence of negative parenting behavior.

      • KCI등재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과 관련 요인

        조수경(Cho, Sookyung),이소연(Lee, Soye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 수면관련 생활시간(학업시간, 전자매체 사용시간), 심리정서적응(우울증상, 신체증상, 공격성) 간의 구조관계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2010)의 2012~2016년도 자료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2,21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잠재성장모형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은 중학교 1학년∼3학년까지 일정하게 감소하는 선형모형으로 나타났고, 수면시간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학업시간과 전자매체 사용시간이 수면시간에 미치는 동시효과를 확인한 결과 학업시간과 전자매체 사용시간은 중학교 1학년, 2학년 시기의 수면시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학교 3학년 시기에는 수면시간에 미치는 학업시간의 영향력은 이전 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한 반면 전자매체 사용시간은 수면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면시간 초기치는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우울증상, 신체증상,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수면시간의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고 청소년의 충분한 수면시간 확보를 저해하는 요인을 규명하였으며 부족한 수면시간이 장기적으로 심리정서적응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규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의 심리정서적응을 위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면시간 관리가 필요하며, 가정과 학교에서 청소년의 충분한 수면시간을 확보를 위한 개입이 필요함이 시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changes and other relevant factors of adolescents’ sleep duration. The subjects comprised 2,21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0(KCYPS 2010) from 2012 to 2016. The data were analyzed by latent growth modeling using SPSS21.0 and AMOS24.0. Ou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sleep duration changed in linear manners over the three years of the study and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intercepts and linear slope. Second, students’ study time had contemporaneous effects on sleep duration in these three years, and electronic media usage time had only contemporaneous effects in 2014 and 2015. The intercepts of adolescents’ sleep duration in 2013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pression, somatization, and aggression symptoms reported in 2016.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long-term sleep duration management for the psychological-emotional adaptation of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