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문화철학에서 이방성의 문제

        이선필 ( Lee Sun-pil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2 초등도덕교육 Vol.- No.76

        한국 사회가 경제적, 문화적으로 성장하면서 많은 외국인들이 유입되었다. 이에 따라 외국인을 대하는 우리의 시각을 점검하고 반성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타자의 이방성 문제를 상호문화철학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우리의 시각을 반성하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우선 중심주의와 문화상대주의를 조화시키려는 Mall의 유비적 해석학 모델과 타자를 기능적 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이방성을 해체시키는 하버마스적 접근법의 문제점을 다룰 것이다. 아울러 레비나스의 입장에서 두 상호문화철학적 접근법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타자를 직접 대면하며 대화함으로써 생생한 타자의 이방성을 경험하고 받아들일 수 있다고 하는 레비나스의 입장도 고찰해 보고자 한다. As Korean society matured socially, and economically and culturally, many foreigners came i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and reflect on our views toward foreigners. This article reflects on our perspective and seeks a new direction by approaching the problem of the foreignness of others from an intercultural philosophy. To this end, we will first deal with Mall's analogical hermeneutic model that tries to harmonize centralism and cultural relativism, and Habermas’ approach that deconstructs the foreignness by accepting the other as a member of a functional society.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ritically examine the two intercultural philosophical approaches from Levinas's point of view, and also look at Levinas's point of view that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and accept the other's otherness through direct dialogue with the other.

      • KCI등재

        고대 그리스의 윤리교육과 상담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이선필 ( Lee Sun-pil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42

        계몽기에 이르러 윤리교육에서 상담이 분리되면서 상담의 중요성이 상당히 축소되거나 사라지게 되었다.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선한 행위를 불러일으키는 윤리교육이 전통적 윤리체계를 전달하는 것으로 그쳐서는 안 되며, 윤리적 조언자인 교사의 상담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고대 그리스의 윤리교육은 단순히 윤리적인 내용과 체계를 전달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았다. 소크라테스는 신에게 받은 자신의 임무를 충고와 설득을 하는 상담자라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플라톤에 따르면 윤리교육이 체계적으로 정리된 규칙을 전달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그에 따르면 규칙으로서의 윤리는 한계가 있으므로 참된 인식을 가진 사람의 설득, 조언, 충고 등의 상담활동이 필요하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윤리학이나 정치학은 수학이나 자연과학처럼 필연적인 인과관계가 아니라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그런 것들”이며, “일반적으로 유효한 결론에 도달하는 것이다.” 그래서 “개연적 논변(pithanologountos)”이다. 윤리는 수학, 형이상학, 자연과학과 달리 “대체로 그런 것(hos epi to poly)”에 관계하므로 숙고가 요구된다. 윤리는 결과가 어떻게 나타날지 모르는 비결정적인 것들 이므로 엄밀한 지식(epistetme)이 아니라, 오랜 시간의 경험을 요구한다. 오랜 경험을 가진 사람은 비결정적인 문제에 대해서 숙고하고 결정할 때, 윤리적 오류가 적다. 그런데 젊은이들은 “아직까지(경험이) 없음으로 말미암아(dia to mepo)” 제대로 된 윤리적 판단을 하지 못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경험이 없다’는 것과 체계로서의 ‘윤리교육만을 받았다’는 것은 같은 의미이며, 윤리교육만을 받은 젊은이들은 경험 많은 사람들의 상담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Ethics education and counseling were separated in the Enlightenment period. It was important to teach ethics system for ethics education in this period, counseling activity of teacher was ignored. Plato and Aristotle argued ethics educations which evokes human good conduct not only teaches traditional ethics system, but also contains counseling of teacher. Ethics eduction of ancient Greece simply did not passing ethical content and system. Socrates thought his calling received from God is a counselor which advice and persuade his students. And according to Plato, ethics education is not enough to deliver the rules that are organized. According to him, because ethics as rules is limited, wise person who have epistm need to do counseling activities which include persuade and advice. And Aristotle divides recognition into two parts: one of these is called ``the knowing part`` and the other is called ``the calculating part``. Ethics and politics belongs to ``the calculating part``. Subjects and premises about ``the calculating part are merely generalities, it is enough if we arrive at generally valid conclusions. The issue of ethics and politics is uncertain and indeterminate. So experience in ethics is very important. But young people do not have various experience. It is difficult to make the right decision. To have no various experience means to be only received ethics training. Young people have no various experience and be only received ethics training. In order to make important ethical decisions, it is not enough system of ethics education. So student should ask a teacher with a lot of experience for advise to make a big decision on ethical problems.

      • KCI등재

        초기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의 행복 : 『국가』I권의 윤리적 논의를 중심으로

        이선필(Lee Sun-Pil)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3 No.1

        초기대화편의 소크라테스는 올바름이 탁월함이고, 지혜이며, 올바른 사람이 행복하고, 올바르지 못한 사람은 불행하다고 말함으로써 탁월함이 곧 행복이라는 동일성을 주장하는 듯하다. 그러나 한편으로 소크라테스는 인간이 해를 입으면 탁월함과 관련해서 더 나빠지게 된다고 한다. 탁월함이 행복이라면 탁월함이 나빠지는 것은 행복지수의 하락을 의미한다. 따라서 나쁜 것이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소크라테스는 탁월함이 행복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인정하지만, 동시에 좋고 나쁜 것들의 가치를 인정한다. 행복에 필수적인 탁월함, 지혜, 올바름 등의 '眞善들'(strong goods)과 더불어 부, 명예, 평판등의 '弱善들'(week goods)의 증감도 행복에 일정하게 영향을 미친다. 소크라테스는 좋은 것들뿐만 아니라 '해로움'도 인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인간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 '해로움'은 영혼의 활동을 방해하는 '절대적 해로움'(a absolute harm)과 단지 우리의 상황을 불리하게 만드는 '상대적인 해로움'(a relative harm)이 있다. 초기대화편의 소크라테스는 탁월함만이 행복을 가져온다는 동일성이론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탁월함, 지혜, 올바름 등의 '진선들'과 더불어 '약선들', 그리고 '절대적 해로움'과 '상대적 해로움'이 실제적으로 우리의 행복 지수에 차이를 가져온다고 말한다.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시민들에게 행복을 위해서 탁월함 이외의 모든 것을 포기하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행복에 요구되는 요소들의 우선순위를 설득하고자 한다. In the early dialogues, Socrates maintains that justice is virtue, wisdom. And then he insists that the just man is happy but unjust man is unhappy. It seems to persist the Identity Theses. But according to Socrates, if man are harmed, he become more unjust and worse. If virtue is happiness, that virtue is worse loses happiness is worse. Therefore happiness is influenced by "harm". Socrates acknowledges virtue to a very important component of happiness but at the same time acknowledges the value of 'goods' and 'bads'. There are two goods. Strong goods which are necessary for happiness are composed of virtue, wisdom, justice and so on. And a relative goods which are not necessary but dependent be composed of wealth, position and honor and so on. Happiness is influenced by not only the strong goods but relative goods. There are two harms which influences happiness. A absolute harm hinders the acts of soul and the one suffering relative harm might end up being wretched. Socrates maintains that happiness is influenced by strong good, week goods, the absolute harm and the relative harm. He dose not persuades an Athenian to give up wealth and position and honor. But above all, He persuades an Athenian to attend to his virtue.

      • KCI등재

        플라톤의 형이상학과 윤리 - 이원론적 형이상학 비판을 중심으로 -

        이선필 ( Lee Sun-pil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윤리교육연구 Vol.- No.63

        기존의 플라톤 해석은 이원론적 형이상학의 입장에서 그의 모든 철학 분과의 토대를 세우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원론적 형이상학을 전제한 해석은 플라톤의 철학적 문제의식과 모순에 빠지게 된다. 이원론적 형이상학에서는 가지적인 이데아의 세계가 참다운 세계이고 가시적인 세계는 거짓된 세계이며 무의미한 세계이다. 따라서 이원론적 형이상학이 플라톤 철학의 공식적 이론이라면 현실 세계의 윤리는 무색해질 수 있다. 하지만 플라톤은 아테네인들의 윤리적 문제를 해소하려고 했고, 그 장(場)은 현실 세계, 즉 감각 세계였다. 이 글은 플라톤의 윤리학의 무게 중심이 현실 세계에 있었다는 점을 밝히고, 이에 따라 명시적으로 드러난 플라톤의 이원론적 형이상학의 관계를 연구해 보고자 한 것이다. The previous interpretation of Plato wa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all philosophical divisions in his dialogues from the standpoint of dualistic metaphysics. However, the interpretation that presupposes dualistic metaphysics falls into contradiction with Plato's philosophical problematic consciousness. In dualistic metaphysics, the intellectual world or the world of ideas is the true world and the visible world is the false world and meaningless world. Therefore, if dualistic metaphysics is the official theory of Plato's philosophy, the ethics of the real world can be overshadowed. However, Plato tried to solve the ethical problems of the Athenians, and the field was the real world, that is, the world of the senses.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Plato's ethics was in the real world, an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lato's dualistic metaphysics that was explicitly revealed accordingly.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 방법론 연구 - 콜버그의 해석학적 논의를 중심으로

        이선필 ( Lee Sun-pil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3 초등도덕교육 Vol.- No.81

        도덕교육 방법론은 어떤 해석학적 전제를 가졌느냐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드러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교사가 학생의 행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자연과학자들처럼 객관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는 ‘해석학적 재구성주의’와 사회과학의 영역에서 전통적으로 중요한 객관성을 포기하는 ‘급진적 해석학주의’를 검토하였다. 전자의 해석학은 교사의 학생에 대한 내적 공감과 정확한 이해가 불가능하고, 후자는 학생에 대한 이해와 평가가 상대주의로 빠지기 쉬우므로 도덕교육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이 두 해석학을 통합하고자 하는 콜버그의 상보성 테제를 검토하고, 이를 교사가 학생의 도덕적 행위를 이해·평가하는데 적용해보고자 한다. Moral education methodologies reveal considerabl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kind of hermeneutical premise they have. In the study, first of all, the limits of ‘analytic reconstructionism’ that teachers can objectively reconstruct like natural scientists in understanding students’ behavior and ‘radical hermeneuticism’ that give up traditionally important objectivity in the field of study are reviewed. The former makes it impossible for teachers to have internal sympathy and accurate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the latter has limitations in application to moral education becaus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students tends to fall into relativism.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Kohlberg’s Complementarity Thesis, which seeks to integrate these two hermeneutics, and tries to apply it to teachers’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students’ moral behavior.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기술과 행복 -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을 중심으로 -

        이선필 ( Lee Sun-pil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1 초등도덕교육 Vol.- No.71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의 기술과 행복의 관계를 살피고 초등도덕교육의 입장에서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전문가의 ‘기술’(techneˉ )처럼 행복에도 기술이 필요하다는 소크라테스의 입장을 살펴보았다. 둘째로 본 연구는 기술로서의 덕과 행복의 관계를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이견을 살펴보고, 현대 도덕교육에 어떤 해석이 유용한지를 살펴보았다. ‘도구주의적 충분성 테제’는 덕이 행복을 위한 유일한 수단으로 보고 인간에게 유익한 다른 것들을 부정한다. 그러나 ‘구성요소적 충분성 테제’는 덕을 다른 좋은 것들과 행복을 연결시키는 주도적인 가치로 인정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가치들을 인정한다. 본 연구는 가치의 다양성을 중요한 현대의 초등도덕교육에서 ‘구성요소적 충분성 테제’가 더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rates' technology and happiness, and examines its suit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To this end, first of all, I looked at Socrates' claim that happiness also requires craft(techneˉ), just like the expert's craft. Second, this thesis examines disagreements on how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e as a technology and happiness, and examines what interpretations are useful for modern moral education. ‘The Instrumental Sufficiency Thesis’ sees virtue as the only means for happiness and denies other things that are beneficial to humans. However, ‘The Component Sufficiency Thesis’ recognizes virtue as a leading value that connects other good things to happiness, while also acknowledging various values. This study argued that ‘the Component Sufficiency Thesis’ would be more meaningful in contemporary elementary moral education that values diversity in values.

      • KCI등재

        플라톤의 윤리적 technē 연구 - 가다머의 세 가지 윤리적 지식 논의를 중심으로-

        이선필 ( Lee Sun-pil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1 윤리교육연구 Vol.- No.62

        가다머는 『진리와 방법』에서 세 가지의 윤리적 지식, 즉 epistēmē 와 technē, 그리고 phronēsis를 논의하면서 플라톤에 대해서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 가다머에 따르면 플라톤의 epistēmē는 이론적인 윤리 지식으로써 구체적인 행위 영역에서는 활용될 수 없는 공허한 지식이며, technē는 구체적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가진 지식을 무조건적으로 사용하려고만 한다. 이에 비하여 phronēsis는 변화무쌍한 상황에 ‘적용(Anwendung)’ 가능성이 있는 윤리적 인식이다. 이 글은 가다머의 플라톤 윤리 비판의 정당성을 살펴보고 플라톤의 윤리적 technē가 epistēmē와 phronēsis를 포괄하는 개념으로써 현실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윤리적 지식임을 드러내 보고자 한다. Gadamer is critical of Plato while discussing three types of ethical knowledge, namely epistēmē, technē, and phronēsis in Truth and Method. According to Gadamer, Plato’s epistēmē is theoretical knowledge, which is empty knowledge that cannot be utilized in specific action areas. Technē has the advantage of being applicable to specific situations, but tries to unconditionally use the knowledge it already has. In contrast, Gadamer argues that Aristotle's phronēsis is an ethical knowledge that has the potential to be applied to changing situations. This article examines the legitimacy of Gadamer's critique of Plato’s ethics and attempts to reveal that Plato's ethical technē is an ethical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in reality as a concept that encompasses epistēmē and phronēsis.

      • KCI등재

        현대 윤리설의 문제점 해소를 위한 플라톤 윤리설의 적용 가능성 연구

        이선필 ( Sun Pil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39

        현대 사회에서 윤리적 판단은 대부분 의무론적 윤리설이나 공리주의 윤리설의 원칙에 따른다. 그런데 두 윤리설의 원칙은 상호배타적이다. 의무론적 윤리설은 행위의 결과를 철저히 배제하고 행위의 동기를 윤리적 정당성의 판단기준으로 삼는데 반하여, 공리주의 윤리설은 행위의 동기를 배제하고 그 결과를 윤리적 정당성의 초석으로 삼고 있다. 하지만 윤리적 정당성과 관련하여 행위의 ‘동기’나 ‘결과’ 중에서 양자택일 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본 논문은 의무론적 윤리설이나 공리주의 윤리설이 처한 어려움을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의 윤리설을 적용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플라톤의 윤리설은 행위 규칙보다는 훌륭한 사람의 역할이 더 중요한 행위자 중심적 윤리설이다. 플라톤은 ‘의무’나 ‘효용’과 같은 행위의 규칙들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이 아니지만, 그 규칙들만으로는 실제의 윤리적 상황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실제적 상황에서는 이 규칙들을 판단하고 적용할 수 있는 행위자의 윤리적 통찰력이 중요하며, 이러한 통찰력은 좋음의 이데아에 대한 정확한 인식에서 비롯된다. 플라톤에 따르면 좋음의 이데아를 인식한 덕스러운 사람은 ‘의무’나 ‘효용’ 등의 공허한 형식의 부정확성을 보충하고, 실제로 유용하고 유익한 판단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장의 윤리 교육적 함의는 윤리교육의 방향이 이제 규범을 새롭게 정하거나 전달하는 것에 그칠 것이 아니라, 선포된 규범을 지켜내는 훌륭한 인격자를 키워내는 교육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Most ethical judgment in the modern society depends on principles of utilitarian ethics and deontological ethics. The principle of two ethics are mutually exclusive. Deontological ethics excludes the results of the actions and in it the motivation of behavior is important. But The results of actions in utilitarian ethics is more important than the motivation of actions. In real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choose between the motivation of acts or the result of acts. This paper overcome the difficulties facing the deontological ethics and utilitarian ethics with the ethics of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s Plato and want to study new possibilities. The ethics of Plato is Agent-Centered Ethic, In Agent-Centered Ethic, the role of the just man is more important than the ethics principle. Plato pointed to the limits, not completely rule out the rules of conduct , such as ‘duty’ or ‘utility’. In practical situations, the ethical insights of actors who can determine and apply these rules are important. This insight comes from the correct perception of the Idea of Good. According to Plato, virtuous people who recognize the idea of good will complement the inaccuracy of the empty types such as ‘duty’ or ‘utility’. And he can actually be useful and beneficial decisions. This has meant in ethics education. Now that ethics training is delivered as a rule, it is that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to train a just personality to follow the rules.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와 플로티누스의 자연관 고찰 -생태윤리학적 논의를 중심으로-

        이선필 ( Sun Pil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7

        본 논문은 현대 생태학적 문제의 근간이 되고 있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연관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그 대안으로써 플로티누스의 자연관을 제시해 보았다. 신의 초월성을 강조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연관으로 말미암아 신은 더욱 더 비세계화 되었으며, 세계는 더 세속화되었다. 땅 위에 존재하는 신의 형상인 인간은 인식과 의지의 주체로 규정되었고, 절대적인 무, 즉 악으로부터 생겨난 자연 세계는 ‘수단’ 혹은 ‘대상’으로 인식되었다. 이와 같은 신과 자연의 이해는 데카르트 이후에 발생하는 생태학적 문제의 근간이 된다. 이에 비해서 플로티누스의 자연관에서 신과 자연은 단절되지 않으며, 아울러 영혼과 자연은 주체와 객체로써 대립되지 않는다. 플로티누스에게서 신은 초월적이며 내재적이다. 그에게서 일자(一者)인신은 완전함과 영원성에 의해서 자연에 대하여 초월성을 유지한다. 그러나 플로티누스의 신은 자연만물을 산출하는 동시에 그것과 관계하면서 자연 속에 존재한다. 그리고 신의 유출물인 정신이나 세계영혼은 자연 속의 여러 능력으로 내재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세속화되고 대상화되었던 자연을 신이 내재한 자연으로 재평가토록 한다. 이러한 이해는 신의 초월성을 유지한다는 측면에서 서구 주류 사회와 마찰을 피하면서, 동시에 신이 자연과 관계하며 내재한다는 측면에서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인식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critically the Augustine`s view of nature of which is the basis of modern ecological issues and examines Plotinus` view of nature to present as an alternative view of nature. According to Augustine, God transcends nature. God`s transcendence makes nature secularize. And in Augustine`s view of nature, Human being as the image of God is defined as the subject of perception and volition. But the natural world is born from the evil, that is, absolutely Nothing and the natural world been recognized as a ``the object``. Augustine`s view of nature is the basis for the ecological problems that occur after Descartes. In comparison with Augustine`s view of nature, there is not separation of God and nature as well as Dualism of soul and nature in Plotinus` view of nature. According to Plotinus, God transcends nature and is immanent in it. Plotinus` God is the one, perfect and eternity but his God is also closely related to nature in the nature world. Plotinus` view of nature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modern biological problem which arises from Dualism.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