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학혁명운동 당시 금강 중상류 척왜항전 - 호서동학군 을대의 활약상을 중심으로

        이상면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6

        1894(甲午)년 가을 척왜항전에서 전봉준의 호남우도 동학군과 남한강에 기반을 둔 손병희의 호서동학군 갑대가 공주성을 공격하다가 무참히 패한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금강중상류 호서동학군 을대가 청주 진남영에 대적하면서 일본 중로군에 승전을 거듭하며 이루어낸 공적은 모른다. 10월 29일 공주에서 일본 서로군이 연합동학군에 포위되어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문의의 중로군 본대가 공주 전장으로 이동해 동학군의 배후를 치려고 하자, 옥천의 호서동학군 을대가 마달령을 넘어 봉계곡에 진입한 중로군 지대를 격파하고 문의와 청주를 치는 등 본대의 후방을 교란해 공주행을 중도에 포기하게 한 것은 역사적 사건이었는데도 여태껏 알려져 있지 않았다. 관련 자료가 부족했고, 그나마 희귀하게 존재하는 자료도 연구가 미흡했던 탓이었다. 조선정부는 공주를 치는 연합동학군을 주시해, 호서동학군 을대의 협력된 전투에 관심이 적어 기록을 남긴 것이 별로 없었다. 을대 동학군 지도자들은 전란 중 자료를 남기지 않았고, 전란 후에도 호된 탄압에 다들 숨어버려 기록이 거의 없었다. 일제패망과 해방으로 탄압은 끝났지만 80고령의 생존자는 침묵했다. 그들의 명예가 회복된 것은 21세기 초로 참전자들이 타계한지 오래라 후손들도 관심이 없었다. 1980년 대청호 담수로 전투현장인 문의 부근 지명진(芝茗津)과 증약 부근 마달령 입구 봉계곡(鳳溪谷)마저 수몰되어버려, 을대 동학군의 존재조차 잊혀갔다. 지명진과 봉계곡 두 전장이 물에 잠기고 관련 국내 자료조차 없는 가운데, 일본군의 간단한 전투상보에 의존하다보면 전투의 실상과 함의를 가늠하기 어렵게 된다. 당시 일본 지휘관이 쓴 전투상보와 「동학당정토약기(東學黨征討略記)」가 있어 일본 중로군과 부속 관군이 호서동학군 을대와 대청지역에서 대등한 전투를 벌인 사실과 후장총으로 무장한 동학군 별동대의 역할이 상당했던 것이 드러났지만, 정작 국내에는 관련 자료가 거의 없어 연구가 제대로 되기 어려웠다. 공교롭게도 필자는 호중동학군(湖中東學軍) 즉, 호서동학군 을대의 선봉에 서서 전투를 지휘한 별동대장(別動隊長) 이종만(李鍾萬)의 장손으로 생존시 채집한 증언을 비롯해서 가족과 문중에 전래된 일화가 있어, 당시 관군 일본군이 남긴 자료와 함께 종합적으로 연구해왔다. 그런 증언과 고사는 필자의 기억과 메모로 존재하는 것으로 대부분 미세하고 희미한 것이지만 동학군 측 자료가 거의 없는 가운데 그런 유산이나마 있었기에, 기존의 자료에서 직접 드러내지 않는 부분을 투시해 파악할 수 있었고, 아무도 모르는 전투현장을 찾아낼 수 있었다. 2020년 6월 26일 옥천군 청산면에서 열린 동학학회 기조강연에 즈음하여 대청호에 수몰된 두 전투 현장을 거듭 답사하고, 지역유지들과 고증을 거쳐, 하마터면 사라질 뻔한 동학전란의 귀중한 부분을 그나마 재현해 보았다. 그 작업은 마치 옛적 부서진 토기 파견을 주어모아 원형을 복원하는 것 같이 어려운 일이었다. 사료 부족으로 인해 불가불 전후관계와 제반사정을 고려하여 추정을 할 수 밖에 없는 점이 있어 안타까웠으나 향후 자료 발굴과 논의로 보완할 수 있기 바란다. It has been known that during the 1894 Anti-Japanese War, the United Army of the North South Donghak, attacking the natural castle Gongju the Provincial Capital, was brutally defeated by the Japanese invaders along with the puppet Korean Royal Army. However, the contribution by the 2nd Corps of the North Donghak Army, who led series of victorious battles against the Japanese in the upper middle basin of the Geum River(錦江), has not been properly appraised. The 2nd Corps, commanded by Rhee Jong-man(李鍾萬) on 29th of the 10th month in lunar calendar, stopped Minami(南小四郞)’s Japanese army heading to Gongju(公州) by attacking Cheongju(淸州) in their rear, right after defeating the Japanese branch in the Bonggye(鳳溪) passage. The 2nd Corps could win due to the leadership of Rhee who commanded the Detached Forces(別動隊) equipped with the same breechloading rifles that the Japanese used. He successfully lured the enemy into the wedged passage for a besiege, and drove them away to hills at Jimyeong(芝茗) on the southern bank of the Geum in the north. Minami(南) the field chief had to give up the march to Gongju at the report by the defeated field officer that they could not stop the 2nd Corps getting across the Geum to attack Jinnamyeong(鎭南營) the stronghold in Cheongju. The then Korean court left many documents over the United Army of Donghak attacking Gongju, but they left scantily on the role of the 2nd Corps. The surviving Donghak leaders virtually did not leave any memoir, due to the ensuing surveillance till the end of WWII. Scanty surviving insurgents chose to keep silent. It was in the early 21st century that the Korean government restored their fame as patriotic combatants as well as honorary revolutionaries. In 1980 the battle fields in the basin of the Geum were submerged in the Daecheongho(大淸湖). Over the decades researchers depended upon the two simple combat reports left by the Japanese field officers. A memoir of the then commanding officer Minami(南) became available to Koreans later, but it was still one sided. Fortunately the present writer happens to be the grand son of General Rhee Jong-man the field commander who conducted 2nd Corps in the battles. He tried to write the real stories through the synthetic analysis of the materials and the testimonies of his grand father et al over the battles.

      • KCI등재

        Groping for Cooperative Space Activities in the Northeast Asia

        이상면,Rhee, Sang-Myon Korea Society of Air Space Law and Policy 2007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007 No.special

        본 논문은 동북아시아에서의 우주협력에 장애가 되는 것을 극복하고자 정치적 상황을 검토함과 아울러 규범적인 체계의 수립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한다. 그러한 협력의 장애가 되는 것중의 하나는 MTCR을 중심으로 하여 미국의 영향력 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의 발사계약이 성사되지 않은 것도 그로 인한 것이었다. 중국이 MTCR 체제와 융합하는 것이 동북아시아에서의 우주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초석이 될 수도 있다. Helsinki 사례가 인권, 평화 및 환경 문제를 다루는 포괄적인 규범 체계를 제공하였듯이,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둘러싸고 수립될 수 있는 동북아시아에서의 평화 체제가 우주부문에서의 협력과 같은 광범위한 문제를 다룰 수도 있을 것이다. 한국이 동북아시아지역에서 제3의 우주개발국가로서 성장하면 중국과 다른 열강과의 관계에 있어서 균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국은 우주개발을 통해서 획득한 자료등을 아무런 정치적 이해 관계없이 주변국들과 공유하면서 우주협력을 이끌어낼 수도 있다. 일본이 주도하는 APRSAT가 재난방지위성시스템으로서 Sentinel을 제공하면서 주변 국가들의 협력을 이끌어 낸 것이 하나의 예가 될 수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o tackle the problem of poor cooperation in space activities, by re-examining the nature of the competitive political environment, and by building up a normative overarching framework, One of the most acute problems that hampers regional cooperation is the U.S. influence as represented in the MTCR, a supplier's cartel, as was evidenced in the ill-fate of the 2001 launch contract between China and Korea the next year. Notably China, the third space power in the world, has not been allowed to join the MTCR despite her application in June 2004. A possible reconciliation between China and the MTCR over her application for a partnership would set a cornerstone in building up a cooperative environment in the Northeast Asia. Just as the Helsinki process was an overarching norm building framework, comprising human rights, security and environmental issues, it would be desirable that a future peace framework in Northeast Asia dealing with the pending issues of Korean peninsula should also comprise of such broad issues as one relating to cooperation in space activities in the region. South Korea could tap expertise from her neighbor China. When South Korea become an independent space power either with her own technology or otherwise, she would be in a better position to play a role as a balancer in coordinating between the two neighboring space giants. It is remarkable that the Japanese led APRSAT has contributed much in establishing Sentinel Asia as a part of the Disaster Management Scheme, in that each participant, whether it be a state agency, or a private entity like a university or a research institute, can tap the common data to contribute to the common good of safety.

      • KCI등재

        동학군 별동대장 이종만의 행적

        이상면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3

        The history of Donghak anti-Japanese war has as yet been written mostly tainted with horrible defeatism, as influenced by the dominant materials left by the Japanese invading troops and by the then puppet Korean royal army, whereas Donghak army rarely left written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tribute to a better description of the history by proving that the detached forces of the Donghak army achieved victories at least in two battles, based on the testimonies of the descendants regarding anecdotes of their forefa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battles in addition to a comparative research of the then historical materials. Donghak soldiers holding primitive weapons like flintlocks or bamboo spears in hand were easily defeated by the Japanese invaders armed with modern weapons. However, the detached forces(別動隊), who were dispatched to the northwestern bay area of Chungcheong Province where two commanders of the local Donghak troops had just been killed, fought against the invaders by using Remington rifles taken from the royal army, and eventually achieved victories in the battles at Seungjeongok(勝戰谷). They also defeated the expeditious forces along the midstream of the Geum River, which eventually frustrated their will to head for Gongju the main battle field. The commander of the detached forces happened to be the current writer(李相冕)’s grandfather Rhee Jong-Man(李鍾萬,1870-1956), who has not yet been well known in Korean history. He was born at Cheongju(淸州) but grew up at Neungju(綾州) Cheolla Province, where his father worked as local government official. His family soon moved to a remote mountainous area near Songnisan(俗離山), where he received training in Donghak martial arts. He also worked with Donghak top leaders, and later associated with Jeon Bong-Jun(全琫準),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Donghak revolutionary army. Rhee was soon appointed as commander by the local Donghak chieftain Park In-Ho(朴寅浩) in the northwestern bay area. Thus the nearly forgotten history of commander Rhee Jong-Man of the detached forces has been saved. It has not only rekindled the necessity for a comparative research of the then written materials but also the significance of testimonies by the descendants of the participants in the war. It is desirable that the history of Donghak anti-Japanese war should be better described through composite studies with newly digged-up materials such as testimonies by the descendants. 1894(甲午)년 척왜항전의 역사는 동학군 측 기록이 별로 남지 않아 주로 일본군과 그에 추종한 조선 관군의 기록에 의존하다보니 처절한 패배주의적 서술이 대부분이었다. 이 논문은 당시 사료를 비교 분석하고, 동학군 후손의 증언과 전투 현장에 남은 고사를 참조하여 이종만이 이끈 별동대가 호중지방 동학군을 선도하여 두어 번 승전으로 이끌었다는 것을 밝혀서 동학전란사를 바르게 기술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동학군은 관의 탄압과 일제의 침략에 분개하여 별 준비 없이 일어난 탓으로대개 죽창이나 화승총 같은 구식무기를 들고 싸워, 최신무기로 무장한 일본군과 그에 부속된 관군에 철저하게 도륙당한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관군 제복을 입고 레밍턴 소총으로 무장한 별동대 50명이 이창구 대접주 등 동학군 지도자가 살해당한 내포지역에 가서 10월 24일 현지 동학군을 지휘하여 면천승전곡(勝戰谷)에서 일본군을 격퇴했다. 이어서 26일부터 문의 지명진(芝明津) 과 그 인근 남쪽 금강 상류에서 벌어진 전투에서도, 승전곡 출격 시 현지에 남아있던 지대 30명이 합세하게 되어 별동대 80명이 문의 회덕 등 현지 동학군과 금강 상류 옥천 영동 황간 청산 등 각처에서 서진해온 동학군을 선도하여일본 중로군과 그에 부속된 관군과 대등한 전투를 벌여 우금치 전투가 끝날때까지 그들의 공주행을 좌절시켰다. 별동대를 지휘한 사람은 공교롭게도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필자의 조부 이종만(李鍾萬,1870-1956)이었다. 그는 청주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벼슬하는 부친을 따라가 전라도 능주(綾州)에서 자라났고, 소년시절에는 속리산 인근에서 동학교단을 도우면서 무술을 닦고 병법을 익혔다. 1894(甲午)년 봄 반봉건 동학혁명운동이 일어나자 천하장자 이종만은 전봉준 대장의 총애를 받아 직속부하가 되었고, 이어서 그해 가을 척왜항전에서 박인호 대접주의 덕포(德包)에서 함께 활동한 문의 오일상 접주와 회덕 강건회 접주의 지지로 별동대장이 되어 일본군과 그에 부속된 관군을 두어 차례나 쳐부수어 큰 타격을 주었다. 동학전란 후에도 그 별동대가 유인석 의병에 가담하여 무장독립운동의 기틀을 마련했던 것이다. 문의 회덕 등 호중지방 동학군이 청주 진남영을 대적하며 현지 방어에 중점을 두는 가운데, 이종만 별동대가 내포지역으로 가서 면천 승전곡 전투에서현지 동학군을 선도하여 일본군을 물리치고 급히 문의 지명진으로 돌아와 역시 현지 동학군을 이끌고 금강 상류를 오르내리며 관군 일본군과 일련의 대등한 전투를 벌여 그들의 공주행을 막아버린 것은 패배주의에 젖은 동학전란사를 재고하게 하는 동인을 제공한다. 당시 자료의 정밀한 비교 분석과 아울러전란 참가자의 후손이 증언으로 동학군이 남기지 못한 자료의 공백을 메워줄수 있게 된 것이다. 아직 미진한 점은 앞으로 자료를 더 발굴하고 비평과 논의를 거쳐 보강해 나가고자 한다.

      • KCI등재

        호서동학군의 결성과 공주 출정

        이상면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8

        1894(甲午)년 가을 척왜항전에서 남북접 동학군이 함께 싸웠는데도 역사에서는 전봉준의 호남우도군 위주로 기술했고, 손병희가 이끈 호서동학군은 소홀히 취급했다. 북접군에는 전봉준 군과 공주 원정을 한 손병희가 이끈 남한강 동학군이 있었고, 청주 진남영에 대적하며 일본군과 싸운 금강상류 동학군이 있었다. 9월 18일 총기포령 후 동학교단의 손병희는 충의포를 중심으로 이종훈 이용구 등과 남한강 유역에서 동학군을 모집했다. 남한강 동학군은 10월 5일 음성 무극장터로 집결해 6일 보은으로 남하하다가 괴산에서 일본군을 조우해싸우던 중, 금강상류 동학군이 달려와 일본군의 배후를 쳐 패주시켰다. 두 동학군은 9-10일 보은으로 집결해 호서동학군을 결성했다. 최시형은 14일 청산에서 출정식을 열어 손병희에게 대통령기를 내리고 전봉준과 합세하여 공주성을 치라고 명령했다. 전령을 전봉준에 보내 손병희가호서동학군 1대(甲隊)를 이끌고 가 합세할 의사를 전달했다. 전봉준은 그 전갈을 받고 16일 논산에서 충청감사 박제순에게 양호창의영수 명의로 격서를 보냈다. 최시형은 금강상류 동학군을 이끈 손천민을 교단에 남게 하고 그의 송산포 동학군을 양성한 이종만 별동대장을 선도로 오일상의 문의포, 강건회의회덕포 동학군 등을 지명장(芝明場)으로 보내 2대(乙隊)를 강화해 청주 진남영에 대적하게 했다. 19일 전봉준 군이 논산에서 북상하자 손병희는 청산에서 1대(甲隊)를 이끌고 옥천으로 갔다. 전봉준은 21일 세성산 전투에서 동학군이 패하고 천안에당도한 관군 일본군이 공주로 내려올 것에 대비해 옥천에 와있는 손병희에게공주성 ‘북문외(北門外)’로 가 함께 공주성을 치자고 전갈을 보냈다. 손병희 군은 23일 새벽 옥천을 떠나 저녁에 한다리(大橋) 인근 ‘한솔벌’에 도착했으나, 24일 아침 홍운섭이 이끄는 경리청 군 350여 명의 기습을 받고 패퇴했다. 전봉준 군은 23일 이인에서 관군 일본군과 싸우고, 24일 아침 효포로진격해 성하영의 경리청군 2개 소대와 교전하면서 손병희 군이 오기를 헛되이 기다렸다. 저물녘 이틀 전에 천안을 떠난 이규태의 통위영 군과 모리오(森 尾)의 서로군 본대가 공주로 입성했다. 25일 오전 모리오 대위는 서로군을 능치 아래 고지에 두고 경리청군에 서로군 분대를 붙여 냉천 뒷산으로 진격하는 전봉준 군을 격퇴했다. 모리오는오후 2시 전봉준 군이 별것 아니라는 듯 서로군을 이끌고 금영으로 철수했다. 이규태의 통위영 군이 공산성 옆 납교 뒷산에 포진하고 각 진에 신호를 보내동시에 효포천을 건너 건너편에 있는 손병희 군을 공격했다. 동학군은 수성군에 비해 10여배나 많았지만 무장이 부실해 수성군에 밀렸다. 저녁에 백락완의 경리청 소대가 시야산의 전봉준 군 성채를 공격해 패퇴시켰다. 그 무렵손병희 군이 통위영 군을 공격해 공산성을 위협했으나, 시야산에서 돌아온 백락완 군이 동학군의 배후를 쳐 격퇴했다. 전봉준 군이 26일 경천으로 물러났다. 손병희군은 그날 2대(乙隊)가 지명진(芝明津)에서 중로군과 싸워 공주행을 막아낸 것을 확인하고 전봉준 군과 통해27일 이인으로 내려갔다. 28일은 교조 최제우의 탄신일, 전국 각 포에서 탄신제례가 열렸다. 홍주 청주 등지의 동학군도 제례를 지내고 관아 공격에 나섰다. 남북접 군도 28일 각기 교조탄신제례를 지내고 이튿날 공주성 공격에 나섰다. 전봉준 군은 공주성 동남 방면에 ... During the Donghak Anti-Japanese War in the fall of 1894(甲午) both the North Corps(北接軍) and the South Corps(南接軍)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nvaders and the subdued Korean government forces. However, the war history has been written focusing on the role of the South Corps led by General Jeon Bong-Jun(全琫準), whereas the tracks and achievements of General Son Byeong-Hi(孫秉熙), the Commander of the 1st Division(1隊,甲隊) of the North Corps have rarely been discussed. The role and contributions of the 2nd Division(2隊,乙隊) who conducted a series cooperative battles for them have mostly been ignored. Son’s 1st Division, mostly recruited from the South Han River(南漢江) basin, defeated a half of the Japanese platoon on the 6th of the 10th month at Goesan(槐山), while heading for Boeun(報恩), where Donghak Center(大都所) was located. The victory was due to the rear attack by the 2nd Division from the upper Geum river(錦江) basin led by the Detached Forces(別動隊) armed with Remington rifles. The two Divisions assembled at Boeunin Boeun(報恩) on the 9th-11th to organize the North Corps, and moved to Cheongsan(靑山) on the 12th, where the Provisional Donghak Center(臨時大都所) was located. At the ceremony of march on the 14th, Donghak Leader Choe Si-Hyeong(崔時亨) appointed Son as Commander-in-Chief of the North Corps, and dispatched a note to General Jeon that Son would lead the 1st Division to Gongju(公州) to join Jeon’s entry operation. Jeon in turn sent an ultimatum on the 16th to the Governor in Gongju as Commander-in-Chief of the two Corps. The 2nd Division was also dispatched to Jimyeongjang(芝明場) to counter the staunch military base Jinnamyeong(鎭南營) in Cheongju(淸州). As Jeon’s Division at Nonsan(論山) headed north for Noseong(魯城) on the 19th to attack on Gongju, Son at Cheongsan also led his forces westward to Okcheon(沃川). Jeon sent a note directing Son to join the entry operation to Gongju on the 24th. On the 23rd when Jeon’s Division attacked on Yiyin(利仁) in the southern suburb of Gongju without success, Son’s troops also marched to a field near Handari(大橋). The next morning a half of the government battalion in Gongju crossed the Geum, and turned eastward to Handari, and expelled the 1st Division. led by Son Jeon’s Division fought all day against the defending forces at the east mountain pass(陵峙) of Gongju waiting for Son’s 1st Division, but they could not come due to the defeat at Handari. In the evening the main wing of the Japanese Westway Company(西路軍) led by Captain Morio(森尾雅一), and the government forces led by the Commander-in-Chief Yi Gyu-Tae(李圭泰), crossed the Geum and entered into Gongju. In the early morning of the 25th, the Japanese Captain Morio stationed at the east mountain pass. Jeon’s Division launched a series of attacks, but the defending army fought back successfully. Son’s Division also confronted with Yi’s forces near the North Gate all day, and launched an abortive surprise attack in the evening. There was virtually no strategic alignment between the two Divisions. On the 26th Jeon’s Division retreated to Gyeongcheon(敬川). Son’s Division retreated to Yiyin(利仁) the next day. On the 28th Jeon’s and Son’s Divisions conducted ceremonies respectively marking the birthday of Choe Je-Wu(崔濟愚) the founder of Donghak(東學). The next day they launched attacks on Gongju, and almost entered into it in the late afternoon. but they had to retreat in the evening due to the storm. The two generals met at Nonsan(論山) for the first time in early 11th month, and set up a Unified Command On the 8th-12th of the 11th Month, Jeon’s Division along with the 2nd Division of the North Corps launched series of entry operations to the south mountain pass(牛禁峙) etc. without success. Son’s 1st Division also did the same through the pass of the west mountain (鳳 ...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발라즈와 크라카우어의 20년대 영화문화 비평

        이상면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03 독일언어문학 Vol.0 No.19

        In den zwanziger Jahren der Weimarer Repbulik (1919-32), da der Film die Goldene Zeit erreichte und Film als "Kultur der Massen" verbreitet worden war, kam der Filmjournalismus auch zur Blu¨tezeit. In dieser Zeit wurden die kulturellen Bedeutung und soziale Funktion des neuen Mediums von den Filmkritikern entdeckt. Unter ihnen galten Be'la Bala'zs (1884-1949) aus Ungarn und Siegfried Kracauer (1889-1966) als "serio¨se und unabha¨ngige Kritiker" und haben durch ihre hellsichtigen Rezensionen und Schriften zur Entwicklung der Filma¨sthetik im wesentlichen Teil beigetragen. Be'la Bala'zs, der Kritiker des Wiener 'Tags', hob die kulturelle bedeutung des Films in seinen Bu¨chern, 《Der sichtbare Mensch oder die Kultur des Films》 (1942) und 《Der Geist des Films》 (1930) hervor, indem er mit dem Film den Beginn der "visuellen Kultur" betonte. Durch den Film entdeckte er den Wechsel von der Schriftkultur zur Kultur des "Sehens", wobei nicht nur das Gesicht und der Ko¨rper der Menschen erstmals "sichtbar", sondern auch das Gefu¨hl neben der Vernunft anerkannt wurden. Auβerdem fand er die Internationalita¨t im Film, wo univerale Kommunikation durch die Ko¨rpersprache verwirklicht wird und den Welthumanismus, der u¨ber den Kulturimperialismus hinaus gehen kann. Siegfried Kracauer, der in den zwanziger Jahren fu¨r die 'Frankturter Zeitung' schrieb, betrachtete im Grunde den Film als das konservative Medium, weil er von der kapitalistischen Wirtschaftsstruktur abha¨ngig ist, weil er von den groβen Unternehmer der Filmindustrie produziert wird. In 'Durchschnittsfilmen' erkannte Kracauer "Tagtra¨ume der Masse", die "ungefa¨hrliche" kurze Illusion der Kleinbu¨rgertums und sah hierin den "Fluchtversuch", der zum Eskapismus tendiert. Seine Filmschriften aus dieser Zeit, wie sie sich in 《Kino, 1974》, 《Das Ornament der Masse, 1963》und 《Der verbotene Blick, 1992》zeigen, sind als Gesellschaftskritik an damaligen Kulturpha¨nomena zu lesen. Bala'zs' Schriften in den 20er Jahren sind zwar hauptsa¨chlich auf den Stummfilm gerichtet und wurden wegen des fragmentarischen Charakters kritisiert, aber verlieren ihern Wert nicht in dem Sinne, dass sie die Filma¨sthetik der Nachfolger nachhaltig beeinflusste. Spa¨ter, im amerikanischen Exil erbrachte Kracauer fruchtbare Leistungen in seinen soziopsychologischen Kritiken an den deutschen Filmen in der Weimarer Republik, 《From Caligari zu Hitler》(1947). Zudem in den sechziger Jahren wurden Kracauers ideologiekritische Filmschriften als Vorbild fu¨r die Zeitschrift "Filmkritik" angeseh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