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현악 전공 학생들의 교육과정에 관한 인식조사 및 전공 교육과정 비교 : 서울 소재 음악대학을 중심으로

        이보아라 성신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관현악 전공 학생들의 교육과정에 관한 인식조사와 전공 교육과정 비교를 통하여 학생들이 진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전공교육과정이 사회변화에 맞게 적절하게 구성되어있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함이다. 또한 진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어떠한 교육과정을 필요로 하는지를 알아봄으로서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관현악 전공 학생들이 좀 더 폭넓은 안목을 통해 보다 나은 진로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에 따라 관현악 전공자들이 사회 진출에 있어서 필요한 교육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현악을 전공하고 있는 고학년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전공 만족도 및 희망진로, 전공 교육과정과 진로선택, 전공 교육과정 개선방향에 대한 의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음악대학과 관현악전공의 교육목표와 전공 교육과정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관현악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관현악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은 본인의 전공을 선택한 것에 대해 대다수가 만족하고 있었다. 절반 이상의 학생이 졸업 후 진로 계획을 세웠으며 졸업 후 희망하는 진로 분야는 <전문 연주자>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음악교육자>로 전체 학생의 87.1%가 자신의 전공 또는 음악과 관련된 분야의 진로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현악 전공 교육과정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나 진로계획을 세우는 데는 전공 교육과정의 도움 정도가 보통이거나 도움이 안 된다고 하였다. <타 전공과의 교류 불가>와 <연주자만을 위한 교육과정>, <심화된 전공실기 수업 부족>을 졸업 후 진로를 선택하는데 있어 문제점이라 보았다. 또한 직업선택의 폭이 좁은 관현악 전공의 특성과 전공 교과과정이 취업분야와 관련이 낮은 것을 졸업생의 실업원인으로 꼽았다. 현대사회 발달과 변화에 따라 전공 교육과정과 교육목표도 변화가 필요하며 <장래 직업 선택을 위한 전문 직업교육>, <전문 연주가 양성을 위한 기능 발달 교육>, <음악 지도자적 자질 양성을 위한 교수법 및 인성교육>을 지향해야 한다고 하였다. 진로선택을 위한 관현악 전공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며 졸업 후 전공 관련 취업을 위한 <문화 현장과의 연계수업>과 <실용적인 음악 관련 수업의 개설>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이에 대해 지향해야할 이론과목으로는 <음악과 경영>, <음악 감상과 비평>, <음악과학 분야에 관한 연구>, <공연예술 및 무대에 관한 연구>를 선택했으며 실기과목으로는 <오케스트라 레퍼토리 실습>, <음악교육법>, <현대음악실습>과 <고음악 실습>등이 진로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관현악 전공 교육과정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울 지역 음악대학 및 관현악 전공의 교육목표를 비교한 결과 모두 전문인 양성을 기본 목표로 하고 있으며 다수의 보편적 교육목표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음악관련 영역의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8개 대학 관현악 전공의 학사제도의 편성 및 운영현황을 비교해본 결과 성신여자대학교를 제외한 7개의 대학에서 복수전공, 부전공 제도를 허가하고 있었으며 상명대학교와 성신여자대학교를 제외한 6개의 학교에서 교직과정 이수가 가능하였다. 조기졸업제도는 이화여자대학교만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하였으며 나머지 7개의 대학은 이에 따른 학교 제도적 규제는 없지만 관현악 전공 교육과정의 특징으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활용 불가능한 제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각 대학별 전공 이수학점을 비교한 결과 졸업에 필요한 최소 이수학점은 130-140학점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전공 최소이수학점이 가장 높게 나타난 대학은 64.7%이며 대부분의 대학이 53%이상의 전공영역을 이수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전공과목을 영역별로 분석 해보면 개인 전공실기 실습 영역은 세분화되고 깊이 있는 실습이 부족하며 합주 및 앙상블 실습 영역은 비중이 높아 다른 선택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음악 이론영역은 대부분의 교과목이 명칭만 다를 뿐 유사한 과목들이 개설되어 있으며, 음악교수법 영역은 교직이외에 다양한 음악교수법 과목의 개설을 필요로 하며 전공 외 음악영역의 경우 학교별로 특징적인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이 비슷한 종류의 교과목들이 개설되어 있어 전공 선택 영역의 자유로운 선택과 다양한 교과목의 개설을 필요로 하고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urriculum perceptions of students specializing in orchestral music, compare orchestral music curriculums, and examine whether the orchestral music curriculums were appropriately organized according to social changes to help them choose their careers. The study also aimed at looking into the students' practical curriculum needs in the process of choosing a career, proposing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and assisting them in making better career choices with a broader viewpoint. A survey was taken with juniors and seniors specializing in orchestral music to see what kind of curriculum they needed to build a career in society. The survey results were us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goals and curriculums of the orchestral music major. The survey responses from orchestral music majors were as follows: A majority of orchestral music majors we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choice, ad 87.1% of the students hoped to have a career related to their major or music after graduation. The respondents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 orchestral music curriculum and said the curriculum provided average or no assistance for them to make a career plan. They identified "no exchanges with other majors," "a curriculum only for performers," and "lack of advanced practice lessons of the major" as problems with choosing a career after graduation. According to them, the graduates fail to get a job because of the limited scope of career choice for orchestral music majors and the low connections between the orchestral music curriculum and fields of employment. The students also pointed to a need for the curriculums and educational goals of the orchestral music major to chang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modern society, saying that the major should seek after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to help the students make a good career choice" and "functional development education to produce professional performers." The biggest number of them said that the school should provide "lessons connected to the field of culture" and "practical music lessons" to help the students pick a career related to their major after graduation. They chose "music and management,"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and "research on music and science" as the theoretical courses for the major to pursue. They believed that such practice courses as "practice of orchestra repertoires," "music pedagogy," "practice of contemporary music," and "practice of early music" would have some influence on their career choices. The examination results of orchestral music curriculums were as follows: Music colleges and orchestral music majors in Seoul were compared for educational goals. As a result, they had many universal educational goals and provided no curriculum designed to bring up talents across many different musical fields. Eight universities were compared f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orchestral music major system. The results reveal that seven of them allowed for double major and minor and six of them provided teacher training courses. Most of them put no institutional restrictions on the early graduation system, but the curriculum characteristics of the orchestral music major made it impossible for the students to take advantage of the system. The analysis results of orchestral music courses in each college by the areas show that the segmentation of personal major practice areas, lack of profound practice, and high proportion of concerts and ensembles reduced opportunities to select other elective courses. The areas of musical theories mostly included similar courses, and there were no various courses on music teaching methods. Most of the schools provided courses of similar kind for the musical areas other than the major with some offering characteristic courses for the areas, which raises a need to allow the students to freely choose the elective major areas and offer diverse 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