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日本)의 고상식(高床式) 건축(建築)에 관(關)한 연구(硏究)

        이병건,Lee, Byeong-Gun 한국건축역사학회 2003 건축역사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character of the upper risen architecture(高床式 建築) in Japan. There are few upper risen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remains in Korea. Until now most of Korean researcher recognized that the upper risen architecture is southern regions' form. But there are a few numbers of upper risen buildings in northern regions of Korea and China. Therefore we need to compar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s' upper risen architecture. The scope of this study is architectural remains, sites and present buildings about upper risen architecture in Japan. The period of this study is from third to eighth centur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he analyses of site plan(the ratio of front and side length) and construction about Japanese Architecture. And then this study compare Japanese with other countries in Korean and Chinese upper risen architecture. Results of the study are below. 1. In Japan, upper risen architecture was introduced into southern regions(southern China and southeast Asia) with rice farming culture. 2. After introduced upper risen architecture, they were influenced many architectural technique of Korean and Chinese. 3. There were many technical improvement(such as foundation stone standing method, high technical wooden frame structure and adaptable triangle frame wall at moisture) the Japanese upper risen architecture in Nara Period(奈良時代). 4. As the results, I found out that there were many similarity Korea and Japan in upper risen architecture. I think that we will try continuous to study another regions' upper risen architecture in order to define conclusion.

      • KCI등재후보

        발해 사찰유적의 건축형식 연구

        이병건(LEE Byeong-gun) 고구려발해학회 2006 고구려발해연구 Vol.22 No.-

        This is the research of the architectural form on the buddhist Relics in Palhae period. The first thing to do is to find out layout plan, unit plan and Structure form of the buddhist relics in Palhae period. On the base of tile result, tile purpose of this result is to make comparison with Palhae s, Chinese(Dang, 唐) and Korean(Three KingdomㆍUnit Shilla, 三國ㆍ統一新羅) architecture. This research treats Palhae period(Late 7CMid 10C) and corresponds to the northeast area in present china and tile north area in korea. The method of this research proceeds on tile study of the reference book including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and the remains achieved by exploration. The main subjects of each chapters are as follows : Ⅱ. The summary of buddhist architecture in Palhae 1. The summary of buddhist relics 2. The main relics Ⅲ. The form of buddhist architecture in Palhae 1. Layout plan and unit plan 2. Structure form Ⅳ. The comparison of Palhae's buddhist architecture with chinese and korean 1. Layout plan and unit plan 2. Structure form Ⅴ. Conclusions.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1. The method of buddhist architecture layout plan is disposed gate(南門)ㆍpagoda(塔)ㆍmain hall(金堂)ㆍauditorium(講堂) straight such as the 6th buddhist architecture relics in Sang Kyeong castle(上京城). 2. It is particular that bell tower(鍾樓) and book tower(經藏) are disposed at the right and left side of main hall such as the first buddhist architecture relics. This is for shortening the monk's line of activity, and putting outer line of activity into inner because it is very cold at winter. 3. Unit plan is consisted of inner space and outer space in the rectangular plane except a little buddhist architecture relics. This unit plan form was seen in BulkwangSa temple(佛光寺, 唐). In korea, most of old buddhist architecture was considered as nearly rectangular plane. 4. In china when podium was built, mainly it was used "Hang t' u technique"(?土技法) since the ancient societ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material used for Hang t' u technique is soil. But korea and Palhae have built up podium using stone and soil. That is caused the material varied with the condition of natural circumstances respectively. 5. Column base is square form with engraved Juzwa(柱座). In order to camber at the column, column base is declined about 2 degrees to the inner and installed internally toward the center for the building in order to be seen flexibly. The flexibility is about 10㎝ in the first buddhist architecture relics, and 4 ~ 9㎝ in the 9th buddhist architecture relics. 6. The exact form of column in Palhae not known because me column has not existed. But compared with pagoda at me second buddhist architecture relics in Sang kyeong castle, it was made by entasis at the 2/5 spot in the pillar. While the diameter is the biggest point at the 1/3 spot in korean, 2/3 spot in chinese. And so the entasis in Palhae is considered similar to ours. 7 In Palhae, the roof form in the buddhist architecture is considered Half-hipped roof, Hip roof, Pavilion roof, Octagonal roof. In 8th century, the roof form is similar to the present.

      • KCI등재후보

        경주지역 석괴적층식 모전석탑에 대한 건축적 연구

        이병건(LEE, Byeong Gun) 유라시아문화학회 2024 유라시아문화 Vol.10 No.-

        연구의 대상인 경주 남산동 동삼층석탑,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 경주 남산 용장계지곡 제3사지 삼층석탑은 기단부를 일정 형태와 크기의 돌을 두 단으로 쌓아 올려 기단을 구성하고 각 층별로 탑신과 옥개 부분을 한 돌로 층층이 올려 완성한 석괴적층식 모전석탑이다. 한반도 내 국가유산으로 지정된 이러한 유형의 석탑은 경주에 있는 3기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3기의 석탑을 대상으로 입지조건, 방위, 높이, 석탑재료, 기단부의 적층방식, 탑신부의 탑신석, 옥개석, 옥개받침수, 낙수면수, 건립시기 등을 상호 비교하여 한반도 내 석괴적층식 모전석탑의 건축적 특징을 규명해 보았다. 석괴적층식 모전석탑은 한반도 내에서도 매우 희귀한 사례이다. 규모는 전형적인 석탑이나 석탑계 모전석탑보다 약간 작았다. 자리한 곳은 평지나 산악 구릉지를 구별하지 않았다. 세 탑 모두 8개의 돌덩이(석괴)를 쌓아 기단을 구성하고, 각 층별로 탑신과 옥개 부분을 한 돌로 만들어 층층이 쌓아 올려 탑을 완성하였다. 옥개받침과 낙수면 수를 보면 일반적인 벽돌탑의 경우 옥개받침 보다 낙수면이 1단 많아야 일정하게 줄여나가 층을 구성하는데 무리가 없다. 그러나 대상 석탑에서는 그러한 일정한 비율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전탑을 모방했다 하더라도 일정 크기의 벽돌이 아닌 돌을 마름질하여 탑을 구성하다 보니 규칙적인 가감 방식은 필요 없었던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는 전탑이 매우 귀한 국가유산이다. 이를 대신하는 모전석탑 수 또한 그리 많지 않다. 이번 연구대상인 석괴적층식 모전석탑은 국내에서 3기 밖에 없는 귀한 문화유산인 만큼 보다 정밀한 조사로 한국 탑파 연구에 좋은 사례가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stack style brick-like stone pagoda(石塊積層式 模塼石塔) of Namsan-dong, Seoak-dong, and Namsan Jigok-valley located in Gyeongju. This three pagoda have in common as follows. First, the base was composed of two stages of stone with a certain shape and size. Second, it was three floors. Third, each floor was made of one stone to build a pagoda body and roof part. Only three stone pagodas of this type designated as a national heritage site on the Korean Peninsula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 argeting the three pagodas, this study analyzed as the following. Location conditions, orientation, height, stone pagoda material, the method of stacking the base, pagoda body, roof stone, number of roof support, number of falling water, and the time of construction. Through the analysis,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pagoda stacked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identifi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one pagoda is a very rare example even within the Korean Peninsula. Second, the scale was slightly smaller than the typical Silla three-story stone pagoda or brick-like stone pagoda. Third, the place where the tower was built did not distinguish between flat land or mountain hilly areas. Fourth, in all three towers, eight stone blocks were stacked to form a base. Fifth, the pagoda body and roof were made of one stone for each floor and stacked in layers. Sixth, the method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upport of roof stones was not as constant as typical brick-like pagoda or stone pagoda. In Korea, pagoda is a very precious national heritage. There are also not many brick-like stone pagoda. The stone pagoda,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with only three stone pagoda in Korea. I hope it will be a good example for the study of Korean pagoda with more precise investigation.

      • KCI등재

        북한의 발해건축 관련 연구와 향후 우리의 과제

        이병건(LEE Byeong-gun)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1 No.-

        본 연구는 발해유적과 유물을 대상으로 북한에서 수행된 발해건축과 관련된 연구결과를 학술지논문, 단행본, 발굴조사보고서 및 묶음집을 대상으로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이후 2010년대 현재(2018년)까지 년대별로 나누어 정리해 보았다. 이를 다시 주제별로 분류하여 해당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제별 분석을 통하여 북한의 연구결과를 비판해 보고, 앞으로 우리의 연구방향과 향후 어떠한 주제를 발굴 · 개척해 나가야 할지를 제시해 보았다. 연구를 시작한 1960년대부터 2018년 7월까지 조사 · 분석된 발해건축 관련 학술지논문을 주제별로 분류해 보면 ㉠발해유적 총론 및 계승관계(8편), ㉡발굴간보 및 평가 관련(6편), ㉢성곽 · 도성 · 궁전유적 관련(29편), ㉣사찰유적 관련(2편), ㉤살림집유적 관련(5편), ㉥24개돌유적 관련(3편), ㉦유물 관련(15편), ㉧교통로 관련(5편)으로 총 73편에 이른다. 북한의 발해건축 관련 연구 가운데 가장 많이 차지하는 주제가 성곽 · 도성 · 궁전건축이다. 고고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유적에 비해 많이 알져져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북한의 발해건축 관련 연구를 분석해본 결과 공통적으로 읽히는 흐름이 있다. 연구주제와 논리전개가 획일적이며 단순하다는 것이다. 유적현황을 소개한 다음 고구려와 대비하고, 이를 양자 간 계승관계로 귀결시키는 논법이 거의 모든 논문과 단행본의 전개방식이다. 또한 인용되는 서적이 중국이나 조선족 학자의 글들을 주 대상으로 하였다. 최근 풍부한 연구 성과가 나오고 있는 한국의 논문과 국내 여러 공공기관과 발해전공 개별연구자들이 중국, 러시아의 발해유적 현지를 활발하게 조사한 결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 최근까지 신냉전기에 들었다가 2018년 봄 남북한 사이 따뜻한 온기가 스며들고 있다. 인도주의적 부분과 함께 한민족 역사 부분에 대한 공동 작업이 다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research fruits of North Korea in relation to Balhae Architecture and our future research subject. This study treats Balhae period and corresponds to the northeast area in China, the north area in Korea and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in Russia. The main subjects are the architecture of capital city, palace, temple, housing, the relics of 24 stone`s, brick pagoda, stone lantern, roof tile and etc. The method of this study proceeds on the study of the reference book including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and the relics achieved by exploration. Followings ar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The North Korea research fruits about Balhae architecture has focused on its relationship to Goguryeo in excess. They suggest that Balhae architecture has succeeded to Gogureyo`s. But after proceeding study, Balhae has general cultural characteristics in northeast area as well as special cultural ones as seen in many it`s cultural relics. The right way of studying Balhae architecture is understanding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relics objectively from Balhae point of view.

      • KCI등재

        발굴보고서로 탐구해 본 신라와 발해의 건축기술 동질성

        이병건(LEE Byeong-gun) 고구려발해학회 2017 고구려발해연구 Vol.58 No.-

        본 연구는 지금까지 취해 왔던 접근방식이 특정 주변국가(민족)와의 관계에만 몰입되어 발해건축의 정체성을 올바로 설정하지 못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이에 공식적인 왕래가 별로 없었던 신라와의 건축방면 동질성을 주제로 몇 가지 단서들을 제시하였다. 글은 우선 발해와 신라의 대외관계를 고찰해 보았고, 이어 발해와 신라의 건축기술 동질성을 밝힌 기존 연구성과를 정리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했으며, 마지막으로 새롭게 발견한 양국 간 동질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건축요소로 돌못과 합각선을 제시하였다. 첫째, 발해 상경성 제2궁전지에서 돌못을 사용한 것을 근거로 이와 동질적으로 볼 수 있는 증거를 신라 땅 경주에서 찾아냈다. 남산신성 중창터 축대, 감은사지 남문 밖 축대, 불국사 대웅전 영역 축대, 월정교 문루 밑축대, 일정교 문루터 에서도 돌못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돌못을 발해는 수직으로 사용한 반면, 신라는 수평으로 사용한 것이 다른 점이었다. 둘째, 발해 상경성 제2궁전지 본채 옆 서액문지 바닥 퇴박석 모서리 판석과 훈춘 팔련성 제1호건물지 바닥지대석에서 모서리를 날렵하게 보이기 위해 사용했던 합각선을 사용한 것을 근거로 이와 동질적으로 볼 수 있는 증거를 마찬가지로 경주에서 찾아냈다. 창림사지 건물터 바닥 귀틀석, 사천왕사 단석지 방형 주춧돌, 불국사 청운·백운교 난간 모서리 갑석에서도 합각선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발해를 바라보는 입장은 당시 그 주변국이었던 당과 그리고 발해를 탄생시킨 고구려와의 상관성에만 몰입되어 국경을 맞대고 있었던 신라와의 동질성은 무시된 오류를 범하였다. 지금부터라도 이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was the homogeneity of construction techniques within Silla and Balhae in relation to architectural point of view. This study was progressed as the following. First, how was the interrelationship of Silla and Balhae each other at the political point. Second, what was the study results about architectural homogeneity. Until now most of results are due to North Korean. Third, It was proposed the new homogeneity facts between Silla and Balhae’s architectural technique. The new ones are stone stud(돌못, 石釘), grable line(합각선, 合角線) Through the study, it was found out there are many common architectural point between Silla abd Balhae as well as special cultural ones as seen in many of its cultural relics. we should study interchange relation between Silla and Balhae now. The right way of studying the Balhae architecture is to understand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relics objectively from the Balhae’s point of view. The East Asian states tend to interpret their histories from self-centered perspectives. In conclusion, we need to consider history as shared heritage rather than a property of individual states.

      • KCI등재

        渤海 上京城의 建築 造營과 形式

        李秉建(LEE Byeong-gun) 고구려발해학회 2013 고구려발해연구 Vol.45 No.-

        본 연구는 비교의 대상이 아닌 독자적인 시각으로 발해가 인식되어야 한다는 당위성 아래, 발해의 수도였던 상경성의 조영 당시 모습이 어떠했으며, 여기에 반영된 건축 형식은 어떠했는지를 추정하여 발해건축의 진정한 모습을 찾아보고자 했다. 제Ⅱ장에서는 상경성의 건축 조영 당시 모습을 발굴결과를 기초로 재현해 보았으며, 제Ⅲ장에서는 상경성의 건축 형식에 대한 고찰을 모양새에 해당되는 배치와 평면, 짜임새에 해당되는 구조(기초·기단, 주춧돌, 바닥, 기둥, 벽, 공포, 지붕), 꾸밈새에 해당되는 장식, 기술, 의장 등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상경성은 외성과 내성의 두 영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고, 외성, 황성, 궁성의 세 영역으로도 구분할 수 있다. 외성은 동서로 긴 장방형인 반면 내성은 남북으로 긴 장방형이다. 궁성에는 남문을 시작으로 전각들이 제1궁전부터 제5궁전까지 중축선상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었다. 상경성에 채택된 건축 구조적 특징을 보면 기둥에서 조절하는 안쏠림을 주춧돌부터 안쪽으로 미리 기울여 놓았고, 모서리 기둥 보다 가운데 있는 주춧돌을 안쪽으로 약간씩 들여놓는 안허리 기법을 적용하여 건물의 네 모서리가 예각이 되어 보다 날렵하게 보이도록 하였다. 발해 상경성에는 건물의 의장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건축 자재들이 많이 활용되었는데, 보상화무늬나 인동무늬의 아름다운 전돌(벽돌)이 바닥에 깔리거나 쌓였으며, 화려한 공포가 벽과 지붕 사이를 장식했으며, 1m에 달하는 치미가 용마루 끝을 장식하였으며, 추녀마루에 입체적인 용두를 장식해 건물의 격식을 드높였다. 또한 기둥밑치레라는 발해만의 독특한 기둥 밑 장식재를 씀으로써 발해건축의 독자성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aims to find out what was the architectural form and construction of Balhae(Bohai, 渤海) Sang-gyeong castle(上京城). Merely, Balhaekook(渤海國) sets identity as a assumption. In the second chapter, it was seen the shape of Sang-gyeong castle at that time by the result of relics excavation. In the third chapter, it was studied architectural form such as site and planning and construction such as footing·stylobate, foundation stone, floor, wooden column, wall, bracket system, roof shape, decoration, techniqu eand design sense. Through the study, it was found out that Balhae had general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northeast area as well as special cultural ones as seen in many of its cultural relics. The right way of studying the Balhae architecture is to understand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relics objectively from the Balhae’s point of view. The East Asian states tend to interpret their histories from self-centered perspectives. In conclusion, we need to consider history as shared heritage rather than a property of individual states.

      • KCI등재

        발해 영광탑과 한강이남 전탑의 건축형식 비교연구

        이병건(LEE Byeong-gun) 고구려발해학회 2010 고구려발해연구 Vol.38 No.-

        본 논문은 발해시기에 건립된 영광탑을 한강이남 지역에 남아있는 순수 전탑인 안동 신세동 7층전탑, 안동 동부동 5층전탑, 안동 조탑동 5층전탑, 칠곡 송림사 5층전탑, 청도 불령사 전탑,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과 비교하여 발해 전탑의 건축적 특징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전탑을 비롯한 발해의 불교문화가 중국 중원지역에서 유입된 것이라는 중국 측 주장에 문제가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또한 발해 전탑이 갖는 건축사적 의미를 도출하여 한국건축사 연구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도성과 산성, 궁궐, 사찰, 살림집, 24개돌유적 등 발해건축이 고구려를 비롯한 주변지역 문화를 자연스럽게 계승ㆍ발전시킨 발해의 독자적인 건축문화임을 증명하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영광탑과 한강이남의 6개 순수 전탑으로 국한하였다. 비교 항목은 전탑 재료, 평면과 입면형식, 구조형식이다. 구조형식은 다시 무덤칸, 기단부, 탑신부(탑신 부분, 옥개 부분), 상륜부로 나누었다. 글의 전개순서는 제Ⅱ장에서는 영광탑과 6개의 한강이남 전탑 현황을 다루었으며, 제Ⅲ장에서는 두 지역 전탑의 건축형식을 비교해 보았다. There are a few many brick pagoda in Korean peninsula. Most of brick pagoda is stone made one in stead of real mud. The academic circles of Korean has recognized that brick pagoda is remained south of Han River. But there are remained brick pagoda relics in the northeastern provinces of China. They were the dominion of Goguryo and Balhae’s. Young-Gwang pagoda is remained perfectly. He is estimated Balhae’s rel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at Balhae’s the originality of architectural culture wasn’t come under the one side influence of China. First, the range of space is the northeastern China. Until now, it could be seen pagoda relics except there. The south of Han river area is included Dae-gu, An-dong and Yeo-ju and the central districts of Korean peninsula. We would like to concentrate real pagoda such as Song-lim-sa brick pagoda that is compared Balhae’s one. Second, the range of contents is conditions of location and the beauty of shape in field of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hey are material, unit plan, standing plan and construction method. Third,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architectural meaning of Balhae’s in field the history of architecture throughout compare to the south of Han river brick pagoda. Fourth,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At first, we investigate the result of existing study and architectural form. we prepare to comparative method of theoretical basis throughout each area pagoda. Finally, we examin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Balhae’s brick pagoda throughout compare each area brick pagoda. The Chinese research fruits about Balhae brick pagoda relics has focused on the Tang dynasty culture in exceed. After proceeding study, Balhae has general cultural characteristics in northeast area as well as special cultural ones as seen in many it’s cultural relics. The right way of studying Balhae culture is understanding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relics objectively from Balhae point of view. The East Asian states each interpret history from a self-centered perspective. In the final analysis, we have to consider history as shared heritage rather than a property of individual states.

      • KCI등재

        건축적 관점에서 본 발해유적에 대한 한국의 연구동향

        이병건(LEE Byeong-gun) 고구려발해학회 2011 고구려발해연구 Vol.41 No.-

        본 글은 건축적 관점에서 발해유적에 대한 한국의 연구동향을 관련 학위논문, 학술지논문, 단행본, 발굴조사보고서, 도록집을 대상으로 살펴보았고, 연구된 논문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그 결과를 평가해 보았다. 이를 통해 어떠한 주제에 어떠한 점이 부족한지,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분야가 어디인지를 살 펴봄으로써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발표된 연구논문을 주제별로 분류해 보면, ① 발해유적에 대한 각 국가별 연구사 ② 발해유적 분포현황 ③ 발해유적 총론 ④ 발해 성곽·도성·궁전유적 ⑤ 발해 사찰유적 ⑥ 발해 살림 집유적 ⑦ 발해 24개돌유적 ⑧ 영광탑을 비롯한 발해 전탑유적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연구주제 가운데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것이 ① 발해유적에 대한 각 국가별 연구사였다. 중국 측 연구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북한이었다. 중국과 북한이 대부분의 발해유적을 점유하고 있고, 유적 접근도 쉽지 않아 유적의 현황 파악을 위해서는 두 국가의 선행연구 검토가 중요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많이 연구된 주제가 성곽과 도성유적이다. 다른 유적에 비해 형태와 구조적 특징 파악이 비교적 무난하다는 점 때문이다. 그러나 궁전유적에 대해서는 아직 초보단계에 있다. 최근 발해의 도성유적 발굴이 끝났고 발굴조사보고서도 속속 나오고 있다. 발해국이 존재했던 같은 시기 한국, 중국, 일본의 도성이나 궁전과의 비교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겠다. 발해 사찰유적과 24개돌유적에 대해서는 국내에서도 어느 정도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살림집 유적에 대해서는 그 어느 나라도 이렇다 할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다른 시기에 비해 발해시기로 편년되는 유적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고구려와의 계승관계 설정에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이니만큼 북한보다 좀 더 객관적인 시각으로 연구에 임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연구된 것들은 대부분 유적 발굴결과를 기초로 한 것들이었다. 발굴에 의존하는 연구 이외에 다른 하나의 방향은 건축물이 아닌 유물 즉, 영광탑이나 상경성 제2절터 석등과 같이 현존하는 것을 대상으로 당시의 건축적 특징을 유추해 내는 것이다. 영광탑은 일부 연구되었지만 석등은 그렇지 못하다. 또한 연구된 주제 이외에 장성유적, 공공건물유적, 정원·정자유적, 다리유적, 우물유적, 무덤·벽화, 건축구조 및 장식유물 등 많은 부분들이 남아있다. 앞으로 고고학적 연구결과와 함께 연구 인력의 증가로 발해건축 연구에 나가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aims to find out what was studied in the past and what should be done in the future by investigating the Korean research trends on Bahae relics in the architectural point of view. The articles referred to are dissertations, academic journals, books, research reports of excavations and photograph collections. The topics of the papers published in Korea on Balhae relics are ①History of study by country, ②Distribution of relics, ③Introduction about relics, ④Castle, Capital city, Palace, ⑤Temple, ⑥Housing, ⑦24-Stones, ⑧Brick pagoda such as Young-gwang pagoda. The majority of the topics are about the histories of the studies by country on Balhae relics. China conducted the most studies, followed by North Korea because most of the Balhae relics are located in these countries. As South Korea does not have Balhae relics,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studies of the two countries. The topics next to the history are castles and palace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s and shapes could be easily understood. However, the studies on the palace relics have been rarely done. Lately, the excavations on Balhae palaces have been completed and the reports are being published. A comparative study has to be made in terms of the architectures of the castles and palaces in Korea, China and Japan where Balhae existed at the same period of time. Many studies were carried out on Balhae temples and 24-Stones in Korea, but not on the housing among the three countries because the number of relics is quite few compared to other periods. This topic could be significant for understanding the inherited relation between Balhae and Koguryo. In this respect, a more objective research is needed than the one of North Korea. Most of the studies conducted so far were based on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relics. There is another way to study than to excavate. It is to carry out the study by investigating remains not architectures, as we can estimat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with the remains. There are some researches on Young-gwang pagoda, however, none about the stone lantern of the Sang-gyeong capital city.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on the subject. We have several topics for future studies particularly on great castle, public building, garden, pavilion, bridge, well, grave, architectural structure and decoration remains. Based on the archaeological results, more active studies are needed about the Balhae architecture with manpower increase. The Korean research trends about Balhae architectural relics focus on the research history of each country, especially China and North Korea. Through the study, it was found out that Balhae had general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northeast area as well as special cultural ones as seen in many of its cultural relics. The right way of studying the Balhae architecture is to understand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relics objectively from the Balhae"s point of view. The East Asian states tend to interpret their histories from selfcentered perspectives. In conclusion, we need to consider history as shared heritage rather than a property of individual states.

      • KCI등재

        연변지구 내 추정 요금시기 평지성의 조영과 성곽시설 고찰

        李秉建(LEE, Byeong-gun) 고구려발해학회 2016 고구려발해연구 Vol.56 No.-

        본 연구에서는 연변지구 내에서 축성기법이나 출토유물이 요금시기로 특정된 평지성의 유적조사를 통해 첫째, 성의 입지 및 평면형태 그리고 규모는 어떠하였는지? 둘째, 축성 재료와 방법은 어떠하였는지? 셋째, 성곽시설은 어떠한 것이 있었으며, 그 조영방법은 어떠하였는지를 건축적 관점에서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제Ⅱ장에서는 연변지구 전역에서 치가 있는 7개소의 평지성 유적(훈춘 영성자고성, 훈춘 비우성, 왕청 나자구고성, 화룡 동고성, 안도 만보고성, 돈화 마권자고성, 돈화 흑석고성)의 건축적 특징을 분석해 보았고, 제Ⅲ장에서는 연구대상인 요금시기 4개소의 평지성 유적(비우성, 나자구고성, 동고성, 만보고성)의 현황을 현지조사를 통해 기존조사 결과를 수정・보완하였다. 내용은 평지성의 주변환경 및 입지조건, 성격(용도), 방위, 평면형태, 규모, 축성 재료 및 방법, 현재 유적상태, 성곽시설, 건축적 특징, 출토유물 등을 정리하였다. 마지막 제Ⅳ장에서는 앞의 결과를 기초로 건축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사항들을 목단강지구의 연구결과와 비교해 가며 분석해 보았다. 대상은 성의 모양새에 해당되는 평면형태와 규모, 성의 짜임새에 해당되는 축성 재료와 방법, 성곽의 주요 시설인 성문+옹성, 치, 각루, 해자의 존재 여부와 구조이다. 주요 성곽시설인 성문+옹성, 치, 각루, 해자 가운데 각루와 해자는 고구려, 발해, 요금, 그 이후이든 초축 시기와 관계없이 대부분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1940년대 일본의 조사결과와 그 이후 중국의 조사 및 연구결과를 보면 옹성과 치는 발해시기까지는 없었고, 요금시기 이후 돼서야 성곽에 개설되기 시작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옹성의 경우 발해시기에만 사용된 평지성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반면 치의 경우 연변지구 내 평지성에서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목단강지구의 경우도 동일한 결과를 얻은바 있다. 그러나 목단강지구와 연변지구의 산성에서는 고구려와 발해시기에도 치가 있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 두 지구를 떠나 고구려의 도읍이었던 집안의 국내성 성벽에도 치가 있었으며, 발해의 남경남해부 소재지였던 청해토성 남쪽 성벽에도 치가 존재했었다. 따라서 고구려와 발해시기에는 치가 없었다는 주장은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치는 고구려 → 발해 →요 → 금나라 그리고 그 이후로 계속 유지되어 왔던 것이다. 다만 요와 금나라는 주 활동무대가 초원지대인 만큼 평지성을 포기하면 그 다음 대안이 없어 최후의 방어지 개념으로 견고하고 조밀하게 치를 개설한 반면, 고구려나 발해는 평지성을 포기하더라도 산성이라는 별개의 방어라인을 구축하고 있었기 때문에 요금 보다는 치에 큰 공력을 들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대상인 연변지구 요금시기 평지성도 이러한 요금의 성곽조영원리가 적용된 결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the first is what was the geographical conditions, site & planning form and size, the second what was the construction material and method, the third is what was the castle facilities and how to using of flatland fortress relics with Liao-Jin period in Yanbian. This study is in relation to architectural field. This study was progressed as the following. In chapter Ⅱ, it was analyzed the architectural characters of flatland fortress relics having impregnable fortress tower(甕城), basting(稚), pavilion(角樓) and moat(垓字) in Yanbian. The object of study are 7 relics such as 琿春 營城子古城, 琿春 斐優城, 汪淸 羅子溝古城, 和龍 東古城, 安圖 萬寶古城, 敦化 馬圈子古城, 敦化 黑石古城. In chapter Ⅲ, it was investigated 4 relics such as 斐優城, 羅子溝古城, 東古城, 萬寶古城 at the beginning construction in Liao-Jin period. The investing contents are surrounding environment, geographical conditions, using, direction, site & planning form, size, the material and method of construction, relics state, castle facilities, architectural characters and excavated relics. Finally in chapter Ⅳ, it was compared architectural characters between Yanbian and Mudanjiang’s one. The contents are site & planning form and size, the construction material and method and the castle facilities & how to using of flatland fortress relics. There are several kinds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y results. China assert that there had no basting(稚) facility in Balhae’s period. But there are basting facility another area such as mountain fortress and the Balhae relics(靑海土城) of Korean Peninsula. Even the basting was existed in Goguryeo period. But there were many advances be the Liao-Jin(遼金) dynasty in field of the castle construction technic. Especially technology predictions have been building the basting(雉) and curved wall(甕城). The East Asian states tend to interpret their histories from self-centered perspectives. In conclusion, we need to consider history as shared heritage rather than a property of individual states.

      • KCI등재후보

        考古學을 通해서 본 中國의 渤海文化 硏究

        이병건(Lee Byeong-gun) 고구려발해학회 2006 고구려발해연구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Chinese research trends of Palhae Culture in according to archaeology field. This study treats Palhae period(late 7C~mid 10C) and corresponds to the northeast area in China, the north area in Korea and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in Russia. The main subjects are architecture, engineering, tomb, art, and handicrafts relics. The method of this study proceeds on the study of the reference book including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and the relics achieved by exploration. Followings ar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The Chinese research trends about Palhae culture has focused on its relationship to their own countries. China is going on the China's Northeast Asian Project(東北工程). Until now China suggests that Palhae had come under the influence of Tang(唐) Dynasty and most of Palhae culture was belong to Tang's. But after proceeding study, Palhae has general cultural characteristics in northeast area as well as special cultural ones as seen in many it's cultural relics. The right way of studying Palhae culture is understanding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relics objectively from Palhae point of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