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후기구석기의 초기(IUP) 호모사피엔스계 ‘신종 의기류’의 등장과 ‘호모사피엔스문화의 알타이바이칼→흑수백산 중심론’

        정경희(Jung, Kyung Hee) 유라시아문화학회 2024 유라시아문화 Vol.10 No.-

        IUP 알타이지역에서 호모사피엔스계 의기류가 첫등장한 이래 후기구석기 알타이바이칼지역으로 확산되었고, 다시 신석기를 맞아 흑수백산지역으로 옮겨졌으니, 이를 ‘호모사피엔스문화의 알타이바이칼→흑수백산 중심론’으로 개념화해보게 된다. ‘호모사피엔스문화의 알타이바이칼→흑수백산 중심론’의 관점으로 데니소바 IUP층 의기류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석기 흑수백산지역, 특히 소남산 의기류로의 전일적 계승 관계이다. 데니소바 IUP층에서는 소남산 의기류의 4대 기종이 모두 나타났다. 특히 가장 중요한 기종이었던 벽류를 기준으로 볼 때, 후기구석기와 신석기라는 차이에도 불구하고 벽문화의 대체가 큰 변동없이 지속되었다. 둘째, 중기구석기 의기류와의 차별화이다. 데니소바 IUP층의 의기류 4기종은 한결같이 호모사피엔스계 신기종이었다. 호모사피엔스의 의기류는 호모사피엔스의 달라진 세계관을 충실히 담아낼 수 있도록 고안된 새로운 상징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셋째, 호모사피엔스계 신종 의기류의 중심인 ‘벽류⋅관류⋅태아형기류’ 중에서도 벽류의 다양한 형태와 절대적 위상이 시사하는 바, ‘하늘의 근원적 생명’을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생명관의 등장이다. 넷째, 호모사피엔스계 신생명상징의 요체인 ‘원⋅방⋅태아’ 상징에 나타난 바, ‘원(하늘)⋅방(땅)’을 배경으로 살아가는 주인공 ‘태아(생명체)’의 ‘한생명 또는 공생’적 삶의 방향성에 대한 인식의 등장이다. 벽류⋅관류의 원⋅방 상징이 ‘하늘의 근원적 생명을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생명인식’의 등장을 보여주었다면, 태아형기의 태아 상징은 여기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모든 생명체가 ‘원(하늘)⋅방(땅)’ 안에서 ‘한생명 또는 공생’의 상태로 살아가고 있다는 삶의 본질 또는 방향에 대한 인식의 등장을 보여주었다. IUP 알타이지역의 호모사피엔스는 초기 호모사피엔스와 달리 ‘하늘의 근원적 생명’에서 더 나아가 ‘한생명-공생’이라는 삶의 방향까지 인식하고 있었으니, 이러한 세계관의 변화, 또 이와 연동된 삶의 방식 변화를 이른 바 ‘호모사피엔스 인지혁명(인간성의 등장)’의 요체로 바라보게 된다. 마지막으로 데니소바 의기류의 잘 갖추어진 형식성이 대변해주는 바, 호모사피엔스의기류문화의 좀 더 이른 발생의 가능성이다. 데니소바 의기류는 기종⋅형태⋅조합⋅상징 등 여러 측면에서 형식성을 잘 갖추어 좀 더 이른 시기에 이러한 의기류문화가 시작되었을 것임을 시사해주었다. Since Homo sapiens’s ritual goods of the IUP period first appeared in the Altai region, they spread to the Altai⋅Baikal region in Upper Paleolithic Age. Then again moved to ‘the Heuglyong River⋅Mt. Baekdu(黑水白山)’ region in the Neolithic age. Thus these can be conceptualized as ‘the Homo sapiens’s cultural center succession theory from Altai⋅Baikal region to the Heuglyong River⋅Mt. Baekdu region’. From this theoretical point of 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tual goods in the IUP stratum of Denisova sit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y show direct successive relationship with the Neolithic Heuglyong River⋅Mt. Baekdu region, especially with the ritual goods of Sonamsan Culture(小南山文化). In Denisova site’s IUP stratum, all the four models of Sonamsan ritual goods appeared. In particular, based on the most important model Byeog(璧), despite the periodic change from the Upper Paleolithic Age to the Neolithic Age, the essence of Byeog culture was succeeded without much change. Second, they are differentiated from ritual goods of the Middle Paleolithic Age. The four models of ritual goods in Denisova site’s IUP stratum were new models made by Homo sapiens without exception. Homo sapiens’s ritual goods had a new symbolic system designed to express the changed world-view of Homo sapiens fully. Third, among ‘Byeogs⋅Tubes⋅Embryos’ which are the centers of the new ritual goods of Homo sapiens, the various forms and absolute status of Byeogs show the emergence of a new life-view based on the fundamental life energy, ‘One Ki(氣) Energy of Sky’. Fourth, the essence of Homo sapiens’s new life symbols ‘Circle⋅Squre⋅Embryo’ show the emergence of awareness of life direction, which tells one life(embryo, protagonist) under the background of Circle(Sky) and Squre(Earth) should live for ‘One Ki energy’ or ‘Coexistence’. While ‘Circle ⋅Square’ symbols of ‘Byeogs⋅Tubes’ showed the emergence of a new life perception based on ‘One Ki energy of Sky’, ‘Embryo’ symbols went one step further to show all the lives are living in ‘Circle(Sky)⋅Squre(Earth)’ in the state of One Ki energy and Coexistence. It was appearance of new awareness for the nature of life or the direction of life. Unlike early Homo sapiens, Homo sapiens in the IUP Altai region, not just knowing ‘One Ki energy of Sky’ but recognized the direction of life to live for ‘One Ki energy – Coexistence’. So this change of world-view and changed way of life linked to it are viewed as the essence of so-called ‘The Cognitive Revolution of Homo sapiens(The emergence of humanity)’. Finally, the well-equipped formality of Denisova site ritual goods tells the possibility that Homo sapiens’s ritual goods culture had been developed earlier. The ritual goods of Denisova site were well formalized in many aspects such as models, shapes, combinations and symbols, suggesting these ritual goods culture might have begun earlier.

      • KCI등재후보

        경주지역 석괴적층식 모전석탑에 대한 건축적 연구

        이병건(LEE, Byeong Gun) 유라시아문화학회 2024 유라시아문화 Vol.10 No.-

        연구의 대상인 경주 남산동 동삼층석탑,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 경주 남산 용장계지곡 제3사지 삼층석탑은 기단부를 일정 형태와 크기의 돌을 두 단으로 쌓아 올려 기단을 구성하고 각 층별로 탑신과 옥개 부분을 한 돌로 층층이 올려 완성한 석괴적층식 모전석탑이다. 한반도 내 국가유산으로 지정된 이러한 유형의 석탑은 경주에 있는 3기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3기의 석탑을 대상으로 입지조건, 방위, 높이, 석탑재료, 기단부의 적층방식, 탑신부의 탑신석, 옥개석, 옥개받침수, 낙수면수, 건립시기 등을 상호 비교하여 한반도 내 석괴적층식 모전석탑의 건축적 특징을 규명해 보았다. 석괴적층식 모전석탑은 한반도 내에서도 매우 희귀한 사례이다. 규모는 전형적인 석탑이나 석탑계 모전석탑보다 약간 작았다. 자리한 곳은 평지나 산악 구릉지를 구별하지 않았다. 세 탑 모두 8개의 돌덩이(석괴)를 쌓아 기단을 구성하고, 각 층별로 탑신과 옥개 부분을 한 돌로 만들어 층층이 쌓아 올려 탑을 완성하였다. 옥개받침과 낙수면 수를 보면 일반적인 벽돌탑의 경우 옥개받침 보다 낙수면이 1단 많아야 일정하게 줄여나가 층을 구성하는데 무리가 없다. 그러나 대상 석탑에서는 그러한 일정한 비율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전탑을 모방했다 하더라도 일정 크기의 벽돌이 아닌 돌을 마름질하여 탑을 구성하다 보니 규칙적인 가감 방식은 필요 없었던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는 전탑이 매우 귀한 국가유산이다. 이를 대신하는 모전석탑 수 또한 그리 많지 않다. 이번 연구대상인 석괴적층식 모전석탑은 국내에서 3기 밖에 없는 귀한 문화유산인 만큼 보다 정밀한 조사로 한국 탑파 연구에 좋은 사례가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stack style brick-like stone pagoda(石塊積層式 模塼石塔) of Namsan-dong, Seoak-dong, and Namsan Jigok-valley located in Gyeongju. This three pagoda have in common as follows. First, the base was composed of two stages of stone with a certain shape and size. Second, it was three floors. Third, each floor was made of one stone to build a pagoda body and roof part. Only three stone pagodas of this type designated as a national heritage site on the Korean Peninsula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 argeting the three pagodas, this study analyzed as the following. Location conditions, orientation, height, stone pagoda material, the method of stacking the base, pagoda body, roof stone, number of roof support, number of falling water, and the time of construction. Through the analysis,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pagoda stacked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identifi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one pagoda is a very rare example even within the Korean Peninsula. Second, the scale was slightly smaller than the typical Silla three-story stone pagoda or brick-like stone pagoda. Third, the place where the tower was built did not distinguish between flat land or mountain hilly areas. Fourth, in all three towers, eight stone blocks were stacked to form a base. Fifth, the pagoda body and roof were made of one stone for each floor and stacked in layers. Sixth, the method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upport of roof stones was not as constant as typical brick-like pagoda or stone pagoda. In Korea, pagoda is a very precious national heritage. There are also not many brick-like stone pagoda. The stone pagoda,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with only three stone pagoda in Korea. I hope it will be a good example for the study of Korean pagoda with more precise investigation.

      • KCI등재후보

        개성상인 복식부기 장부에 나타난 공생경영

        허성관(Huh, Sung Kwan) 유라시아문화학회 2024 유라시아문화 Vol.10 No.-

        개성상인 박영진가 복식부기 장부에는 공생경영을 실천한 내용이 반영되어 있다. 투명하고 정확하게 장부를 기록하고, 장부가치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고, 신용을 중시하여 공생을 위해 필수적인 신뢰를 구축했다. 개성 공동체 공생 기반인 차인제도와 시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활용했다. 종업원과 공동 사업자와 이익을 균등하게 배분하여 공생경영을 실천했다. 박영진가 공생경영은 오늘날 ESG 경영과 공생이라는 지향점이 같다. 그러나 박영진가 공생경영은 외부의 강제 없이 자율적으로 실천했지만, ESG경영의 공생은 지구적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자본주의적 기업 경영의 폐해를 치유하자는 반성에서 제기되어 대세가 되었고 강제적 규제를 통해 구현하려고 세계가 노력하고 있다. ESG 경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경영자가 공생을 소중하게 여기는 정신이 중요하다. 경영자의 공생정신 함양이 ESG 경영의 성공 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 Park Young-jin, a Gaeseong merchant, practiced symbiotic management as reflected in his double-entry bookkeeping record. Transparent and accurate bookkeeping, consistent book value, and credit-oriented management enhanced essential trust for symbiosis among stakeholders. He actively participated in and utilized the chain system and sibyoun which were bases to realize symbiosis of the Gaeseong community. Symbiotic management was also practiced by evenly distributing net income with employees and joint business partners. Park Young-jin’s symbiotic management has the same goal as ESG management today. However, while Park Young-jin’s symbiosis was practiced autonomously without external coercion, ESG management for symbiosis became a trend in reflection to heal the harmful effects of capitalist corporate management that threaten global sustainability, and is trying to implement it through compulsory regulation. For ESG management to be successful, it is important for managers to value symbiosis. The inclusion of managers’ symbiotic spirit is bound to be a success factor in ESG.

      • KCI등재후보

        낙랑군 군현의 변천 과정

        윤병모(Yoon, Byoung-mo) 유라시아문화학회 2024 유라시아문화 Vol.10 No.-

        낙랑군 호구부 중에 1구역의 조선과 남감, 증지, 점제, 사망, 둔유까지 6개현과 3구역의 수성, 누방, 혼미, 패수, 탄열 5개현, 4구역의 동이와 부조현을 제외한 동이, 잠태, 화려, 사두매, 전막 5개현 등 16개현이 통합 낙랑군 이전부터 있었던 본래 의미의 낙랑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낙랑군 호구부 4구역의 6현과 3구역 일부 또는 전부가 임둔군의 잔현이라는 주장은 『삼국지』 예전에 산천에 의해 각자 영역을 나눈다는 기사와 정면 배치되는 문제가 있다. 4구역에 임둔군으로 동이현 하나 밖에 나타나지 않는다면 임둔군은 4구역에 설정되기 어렵다. 설립 당시 최초의 임둔군은 낙랑군 호구부에서 표현되는 지역의 밖에 있었다고 판단된다. 최초의 진번군과 임둔군이 황해도와 동해안쪽에 설치되었다면 낙랑군은 설 자리가 없고 위만조선의 방수천리도 구성되지 않는다. 낙랑군 호구부 4구역이 임둔군이라는 주장을 인정한다면 22만구에 3개의 현을 거느린 현도군과 15개 현을 가진 임둔군이 하나의 지역에 두 개의 군현이 겹쳐져 있는 현상을 초래한다. 기원전 128년에 설치되는 창해군이 동해의 예 지역에 설치되었다고 주장하며 창해군이 그 후 20년 만에 같은 지역에 설치되면서도 전혀 다른 이름인 현도와 임둔군이라 한 것도 문제가 된다. 단단대령 이동의 협소한 지역에 28만구의 창해군과 22만구의 현도군, 15개현으로 이루어진 임둔군이 20년 간격으로 이중삼중으로 설치될 이유는 전혀 없다. 동이현은 호구수와 인구수가 매우 축소된 형태로 4구역에 이동, 배치된 옛 임둔군의 한 현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From the house and population register of Lelangjun, six xians including Chosun, Namhan, Zengdi, Nianchan, Siwang, and Tunyou in District 1, five xians Suicheng, Roufang, Hunmi, Peishui, and Guilie in District 3 , and Dongyi and Fuzuxian in District 4 are excluded. In that case, the 5 xians of Dongyi, Cantai, Huali, There are also claims that the house and population register of Lelangjun include 6xian in District 4 and some or all of District 3 as the remaining xian of Lintunjun. However, this directly contradicts the fact that in the first half of Hui’s Sanguozhi, each territory is divided by mountains and rivers. If only Dongyixian appears as Lintunjun in Zone 4, it is difficult for Lintunjun to be set in Zone 4. It is believed that at the time of its establishment, the first Lintunjun was located outside the Lelangjun home and area represented in the population register. If we accept the claim that District 4 is Lintunjun, Xuantujun with 3 xians and Lintunjun with 15 xians in a population of 220,000 result in the phenomenon of two junxians overlapping in one community. It is claimed that Canghaijun, established in 128 BC, was established in the Yae region of Donghae. It is also problematic that Canghaijun claimed completely different names, Xuantu and Lintunjun, even though they were installed in the same area 20 years later. There is absolutely no reason for Canghaijun with a population of 280,000, Xuantujun with a population of 220,000, and Lintunjun, consisting of 15 xian, to be established in a small area east of Dandandaeryeong in double or triple form at 20-year intervals. The remaining xian in District 4, Buer, Huali, Xietoumei, Cantai, and Qianmo, can be said to have originally belonged to the original Lelangjun. It can be seen that Dongyixian is just one xian of the old Lintunjun who was moved and placed in District 4 with a greatly reduced number of households and population.

      • KCI등재후보

        환웅의 홍익인간 이념 재해석과 생태학적 공생 가치

        임재해(Lim, Jae Hae) 유라시아문화학회 2024 유라시아문화 Vol.10 No.-

        기존의 홍익인간론의 문제를 지적하고 이념의 주체인 환웅의 행적을 근거로 홍익인간 이념을 재해석하는 가운데, 생태학적 공생의 가치를 본풀이사관의 시각에서 주목하고 그 유용성을 포스트휴먼 시대까지 적용한다. 환웅이 홍익인간 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인간세상에 내려왔으므로, 환웅이 지상에서 활동한 행적을 추적해서 분석하면 홍익인간의 진정한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환웅본풀이 사료의 서사에 따른 총체적 해석과 구체적 행적에 따른 분석적 해석으로 나누어서 논의를 진행한다. 총체적 관점에서 보면, 환웅본풀이에 등장하는 신과 인간, 동물은 상대적으로 존재하되 서로 오고가며 전환하는 순환적 존재이다. 신이 인간이 되는가 하면, 동물이 인간이 되기도 하고 인간이 신이 되기도 해서 인간과 신, 동물 사이의 경계를 서로 넘나든다. 그러므로 인간과 신, 동물은 차별적 존재가 아니라 서로 공생하는 대등한 존재라는것이 홍익인간 이념의 구체적 함의라 할 수 있다. 분석적 관점에서 보면, 환웅은 대내적으로 비바람을 다스려 기후에 적응하고 자연과 공생하는 농경생활을 하며, 지상에 머물러 살면서 지구촌을 지킴으로써 지속 가능한 공생 정신을 실천한다. 대외적으로 보면, 곰과 범으로 상징되는 이민족이 찾아왔을때, 환웅은 기꺼이 그들의 편에서 그들의 이익을 실현하는 데 이바지할 뿐 아니라, 곰네[熊女]가 결혼을 요구했을 때도 인간으로 화하여 그 소원을 들어줌으로써 신과 동물의 장벽을 넘어서 진정한 공생에 이른다. 홍익인간에 내포된 공생의 가치를 일반화하면 지구촌의 삼라만상을 널리 이롭게 하는 ‘홍익지구촌’ 이념으로 확대된다. 지구촌은 지금 ‘인류세’의 생태위기와 더불어 ‘특이점’의 기술위기에 직면해 있다. 곧 닥치게 될 특이점에 이르면, 인간의 능력으로는 초고도의 인공지능을 제어할 수 없는 비상사태에 이른다. 특이점과 함께 인공지능을 장착한 포스트휴먼 시대의 출현이 필연적이다. 포스트휴먼인 사이보그 인간과 안드로이드 인간이 등장해서 활개 치게되면, 상대적으로 지능이 떨어지고 육체적으로 허약한 인간은 일자리에서 추방될 뿐 아니라, 사이보그와 안드로이드의 지배를 받게 될 위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불행한 사태를 막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이 공생을 최고의 가치로 실현하는 일이다. 인간이 다른 생명들과 공생하는 보기를 실천함으로써 인공지능도 이것을 보고 딥 러닝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인공지능은 인간이 추구하는 가치를 스스로 학습하는 까닭이다. 따라서 안드로이드를 하인처럼 부릴 것이 아니라, 인격권을 부여하고 전자인간(electronic personhood)으로서 대등하게 공생하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므로 인간과 신, 동물이 서로 대등하게 공생하는 홍익인간 이념은 생태위기를 극복하는 가치관이자, 포스트휴먼 시대의 전자인간과 공생을 실현하는 대안철학으로 가꾸어가야 마땅하다. This study aims to point out several problems in the existing theory of Hongik Human (humanitarianism) and reinterpret the humanitarian ideal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Hwanwoong, the main agent of this ideology. Further, the study identifies the value of ecological symbiosis from the perspective of bon-puri (Korean shamanic narratives or mythology) concept of history, and applies its usefulness to the post-human era. Since Hwanwoong, the son of the king of heaven, descended from heaven to earth to practice the spirit of humanitarianism. By retracing and analyzing his activities on earth, the true meaning of humanitarianism can be interpreted. The meaning will be discussed through both holistic interpretation based on the narratives of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the Hwanwoong bon-puri and analytical interpretation based on his specific activities. From a holistic point of view, gods, humans, and animals in the Hwanwoong bon-puri exist relatively, but are all cyclical beings whose existence alternates between the three categories of entity. In the next life, the god may live as a human; an animal may live as a human; and a human may live as the god, freely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three entities. Therefore, the essence of humanitarianism is that humans, gods, and animals are not differential but equal in relations by interacting with one another in a symbiotic manner. From an analytical point of view, Hwanwoong practiced the spirit of sustainable symbiosis by adapting to the changing climate while controlling the wind and rain, doing farming in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 nature, and protecting the globe as a global village where all living creatures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foreign immigrants, symbolized as the bear and tiger, came to Hwanwoong, not only did he help them get what they wanted on their side, but even when Ungnyeo (bear woman) asked him to marry her, he granted her wish after transforming into a human being, ultimately achieving a true symbiosis by breaking the barrier between the god and the animal. The generalization of the value of symbiosis implied in humanitarianism expands to the idea of ‘humanitarian global village’: dedicating yourself to benefit all things in heaven and earth. Our global village is now facing a technological crisis in the context of ‘Singularity’ as well as an ecological crisis in the context of ‘Anthropocene’. If the crucial point of Singularity is reached in the future, considerable advances in artificial intelligence(AI) would far surpass human abilities; thus, humans could no longer keep AI under control. This state of emergency would inevitably lead to the advent of post-human era during which AI would be the dominant influence. The number of post-human populations, such as cyborgs and androids, would be growing quickly, and thus humans, who are of relatively low intelligence and physically weak, would inevitably give way to post-humans. Humans might be driven out of their jobs and get under the control of cyborgs and androids. In that sense, the only way to prevent such a grim future for humanity is to realize symbiosis as the highest value. Humans’ pursuit of symbiosis with other living creatures can be applied to deep learning for AI because AI can learn the values sought by humanity. Therefore, instead of treating androids like servants, we should provide them with personality rights and find ways to have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 them as electronic personhood. Consequently, the ideology of humanitarianism, where symbiosis among humans, gods, and animals is valued, should be developed as an idea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as well as an alternative to practice symbiosis between humans and electronic personhood in the future post-human era.

      • KCI등재후보

        고대 한일 출토 철경의 역사적 성격 – 신라와 왜의 교섭관계 이해를 위한 기초적 검토

        홍인국(Hong, In Gook) 유라시아문화학회 2024 유라시아문화 Vol.10 No.-

        이 글은 3~7세기 한반도와 일본열도에서 출토된 철경을 분석하여 한일교섭을 살피고자 한다. 이 시기 발견된 철경은 비록 출토사례는 적지만, 외교적 교섭을 위한 표식물이라는 관점에서 의미가 있다. 주지하듯이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철정 등 철제무기류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는 실정이다. 하지만 일본열도로 제철기술이 전달되기 이전에 철경의 출현은 신라와 왜 양국의 특성을 반영한 위세품으로 외교적 교섭을 방증하는 자료임에 틀림이 없다. 특히 가공기술에 주목하여 두께나 문양장식 등을 통해 제작지와 출토지 정치세력간의 외교적 관계설정도 가능하다고 본다. 여기에는 고구려의 남진정책으로 백제에 의해 형성된 신라와 왜의 관계개선에 따른 외교적 결과로 해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한반도의 철경 출토사례와 특성을 파악한 후 일본열도 자료와 비교 검토를 통해 특히 신라, 왜의 교섭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5세기 당시 왜에 있어서 선진문물의 유일한 공급원이 백제가 아니라는 점에 주목하여 나제동맹 이후 신라와의 우호적 관계 속에서 왕급 무덤에 부장된 철경이 갖는 의미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선소미유⋅미상문견(先所未有⋅未嘗聞見)’이라고 『일본서기』에 기록된 백제와 신라로부터 받은 귀한 보물의 하나로써 철경을 통해 신라와 왜의 새로운 외교관계의 표식물로 해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negoti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by analyzing iron suture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in the 3~7th century. Although there are few cases of excav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iron mirror discovered during this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being a marker for diplomatic negotiations. As is well known, research is being conduct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Japan, focusing on iron weapons such as ironingots. However, before the steel technology was delivered to the Japanese archipelago, the emergence of the iron mirror was a prestige produc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both Silla and Japan, proving diplomatic negotiations. In particular, by paying attention to processing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production site and the political forces of the exporting land through thickness or pattern decoration. This is intended to be understood as a bargaining product for the improvement of relations between Silla and Wa due to Baekje in preparation for the southward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herefore, after grasping the cases and characteristics of ironclad excav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I would like to examine the negotiations between Silla and Wa, especially through comparative review with data from the Japanese archipelago. Above all, I would like to examine the meaning of Iron mirror buried in the royal tomb amid friendly relations with Silla after the Naje alliance, noting that Baekje was not the only source of advanced culture in Wa during the 5th century. As a result, it is interpreted as a symbolic sign of new diplomatic relations connecting Silla and Wa through Iron mirror, one of the precious treasures received from Baekje and Silla recorded in Nihonshoki.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