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수적합화를 통한 장애아동의 통합체육 단일대상연구

        이만석(ManSeokLee),이한주(HanJLee)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통합교육현장에서 장애아동을 성공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통합체육 교수적합화 (instructional adaptation)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3학년 체육교과 교수적합화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중재한 후 장애아동의 신체활동수준, 문제행동, 수업참여행동의 변화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경기도 G시 G초등학교의 3학년 장애아동 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ch)의 한 방법인 ABAB 반전설계(reversal design)로 진행하였다. 자료는 비디오자료, 문제행동 사전 검사자료, 면담자료, 반성일지, 문서자료 등을 수집하였고, SOFIT과 부분간격기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험조건에 따른 범주별 신체활동수준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체육교과 교수적합화 프로그램 중재를 통한 통합체육수업은 장애아동의 신체활동수준(MVPA)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교과 교수적합화 프로그램 중재를 통한 통합체육수업은 장애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교과 교수적합화 프로그램 중재를 통한 통합체육수업은 장애아동의 수업참여행동 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통합체육교육현장에서 장애아동의 일반교육 과정으로의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접근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develop a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 using instructional adaptation and (2)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three third grader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n elementary school. Instructional adaptation PE program for a ball game unit was developed for the participants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capability. Then,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examined by observing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level, problematic behavior, and class participating level. A single subject research of a reversal design was emplo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VPA of students with a mental disability, (2) the program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the reduction in problematic behaviors of students with a mental disability, and (3) the program promoted the class activity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a mental disability. Implication of this action research in a school setting was discussed.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학생운동선수와 일반학생의 일상생활경험 비교

        이만석(ManSeokLee),신형교(HyeongKyoShin),이한주(HanJ.Lee),권자연(JaYounKwon)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운동선수와 일반학생의 일상생활경험을 조사하는 것이다. 한국대학교(가명) 체육학과학생 78명(학생운동선수 42명, 일반학생 3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경험표집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빈도분석, 교차분석, 단일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운동선수와 일반학생의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주요 활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생운동선수는 여가활동, 생활유지, 운동, 학업활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반학생은 생활유지활동, 여가활동, 학업활동, 운동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운동선수와 일반학생의 일상생활 활동 중 활동 공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생운동선수는 생활유지 공간, 학교, 공공장소, 운동관련 공간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반학생은 학교, 생활유지 공간, 공공장소, 운동관련 공간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운동선수와 일반학생의 일상생활 중에 경험하는 내적 심리상태는 주요 활동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 공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llege student athletes’ and non-athletes' daily time use patterns. Research question was how student athletes’ time is distributed across different activity contexts? Seventy eight undergraduate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large urban are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ample consisted of 42 student athletes and 36 non-athle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utin. Time use patterns were measured using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ESM). Participants carried a small booklet of self-report forms and completed self-report forms when signaled over the course of one week. The ESM self-reported form contained open-ended questions, such as “What were you doing just before you were signaled?” Responses to this question were categorized into five broad categories of activities: schoolwork (i.e., classwork, homework), discretionary activities (i.e., socializing, leisure), maintenance activities (i.e., eating, resting), sport activities (drill or practice related to sport), and other activitie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 athletes spent 43.1% in discretionary activities, 32% in maintenance activities, 16.3% in sport, 4.5% of their waking hours in schoolwork, and 4.1% in other activities. Non-athlete student spent 33.2% in maintenance activities, 26.1% in discretionary activities, 24.7% in schoolwork, 9.8% in other activities, and 6.2% in sport. Both student athletes and non-athletes experienced more positive affect and motivation during discretionary activities, whereas more negative emotional states during schoolwork. Findings suggested that differences in student athletes’ and non-athletes’ daily life activity experience might lead to difference in socialization outcomes.

      • KCI등재

        협동학습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ADHD 중학생의 교우관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여향

        마승연(SeungYeonMa),이만석(ManSeokLee),이한주(HanJLee)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협동학습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ADHD 중학생의 교우관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서울 소재 H중학교 1학년 중 ADHD 학생이 포함된 2개 학급(n=66)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ADHD s남학생 2명이 참여하였다. 협동학습 모형 중 학생 팀-성취배분(STAD)을 적용하여 중학교 1학년 핸드볼 단원 수업을 8차시에 걸쳐 진행하였다. 교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우관계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심동적, 인지적 영역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하였다. 교우관계는 연결망 분석기법 중 하나인 UCINET6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핸드볼단원 수행평가를 사전·사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협동학습 체육수업은 ADHD 중학생의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일반학생들의 ADHD 학생에 대한 비선호도가 감소되었으며, ADHD 학생들 모두 반 친구들과 상호작용을 시도하려는 노력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동학습 체육수업은 ADHD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ADHD 학생들은 심동적, 인지적 영역에서 향상을 보였다. 협동학습 체육수업을 통해 ADHD 학생들의 교우관계와 학업성취도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CL) on peer relationships of stud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Two male students with ADHD and 65students without ADHD in the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handball unit of seventh grader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exposed to the CL with student teams-achievement division instruction for eight weeks. This study employed one group pre-test and post test design. Peer relationship was measured by friendship-network instrument. Psychomotor and cognitive domain of learning was assessed for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L changed the students'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ADHD students' relationship with their classmates was improved and the CL helped them keep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Also,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ADHD was improved positively. Implication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for furthe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