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습조건과 실제조건의 유사성이 운동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만령 한국스포츠리서치 2007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8 No.6

        연습조건과 실제조건의 유사성이 운동학습에 미치는 영향이만령(경인여자대학 레저스포츠과)본 연구의 목적은 연습조건과 기준검사 조건의 유사성이 학습전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고 훈련계획의 고안자 또는 현장 지도자들에게 기준검사의 수행에 내재되어있는 처리과정을 이해하고 유사한 처리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체 40명의 피험자들은 타이밍과제를 수행하였으며, 4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적으로 배정되었다. 각 집단의 피험자들은 목표동작 시간이 고정되어 있고 움직여야 할 동작거리가 변화된 연습조건에서 집단별로 15번의 시행을 1분단으로 90회 반복 시행 측정하는 4×6 (연습조건×연습시행(분단)) 요인설계하에서 실험이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은 목표동작 시간에서 벗어난 피험자의 동작 수행에 대한 시간오차였다. 실험결과 전이조건과 유사한 연습조건에서 수행한 집단 1이 가장 작은 시간 오차를 기록하여 연습과 전이처리과정의 유사성과 관련된 이전연구결과 내용들과 일치하였으며, 연습조건 속에 내포되어 있는 처리활동이 기준검사의 조건과 유사한 활동으로 진행될 때 가장 효율적인 운동 수행 결과를 나타냈다.

      • KCI등재

        결과지식의 정밀성이 운동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만령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992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기술 학습에 있어 결과지식의 정밀성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전체 48명의 피험자는 매우 빠른 共時的 調時(coincident timing)課題를 수행했으며 결과지식의 정밀성 형태는 두 가지로 제시되었다; 양적인 결과지식(quantitative KR)과 질적인 결과지식(qualitative KR). 양적인 결과지식의 경우 피험자들은 반응오차의 크기와 방향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수적으로 제공받았으며 반면에 질적인 결과지식의 조건에서 피험자들은 단지 수행된 동작의 정확성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었다. 실험에서 독립변인은 결과지식의 정밀성 형태와 연습시행이었으며, 결과지식의 정밀성 형태는 연습시행에 전반적으로 양적이거나 또는 질적인 결과지식이 제시된 경우와, 연습단계에 따라 양적인 결과지식 형태와 질적인 결과지식 형태를 다르게 제시하는 조건의 4집단별로 10회 시행을 1분단으로 하여 반복시행 측정하는 4×10(결과지식의 정밀성 형태×연습시행(분단)) 요인설계 하에서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은 제시된 시각정보에 따른 피험자의 동작수행에 대한 시간오차였다.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특히 본 실험에서와 같이 피험자가 매우 빠른 조시과제를 수행하도록 요구될때 운동수행에 있어 결과지식의 정밀성 효과는 연습단계에서 혼합되여 결과지식의 정밀성이 제시되는 경우(연습단계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지식 정밀성 형태가 제공되는 조건)보다는 전적으로 질적이거나 또는 양적인 결과지식이 제공하는 경우가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cision of KR(knowledge of results) n motor skill learning. Forty eight subjects were tested with a rapid coincident timing task. The forms of KR precision were of two types; quantitative KR and qualitative KR. In the case of quantitative KR, the subjects were offered correct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response error as well as the respons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s in qualitative KR condition were offered only correctness of movement executed. The results showed that KR effect on earning was more significant when one kind of KR, either qualitative or quantitative, was provided throughout the practice period than when a combined KR(qualitative in early practice phase and then quantitative later in learning phase or vice versa) was presented, especially when the tasks required subjects to process in short time all informations necessary for motor skill learning.

      • The Effect of the Decrease of Relative Frequency of Knowledge of Results to Motor Skill Learning on Executing Self-paced Skill

        이만령 한국스포츠리서치 2007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조기술의 대표적인 예가되는 골프퍼팅과제 연습에서 결과지식의 상대빈도 감소가 운동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운동학습에서 각 시행들 사이의 결과지식의 유용성 및 기능을 설명하는 안내가설의 일반성을 입증하는데 있다. 전체 30명의 피험자는 70회의 골프퍼팅과제를 수행했으며 결과지식의 상대빈도는 조건별로 100%, 50%, 10%의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각 집단의 피험자들은 연습시행 후 직선오차 정보를 언어적으로 제공 받았으며, 3집단별로 10회의 시행을 1분단으로 70회 반복시행 측정하는 3×7(결과지식의 상대빈도 조건 × 연습시행(분단)) 요인설계 하에서 실험이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은 제시된 거리 오차 정보에 따른 피험자의 동작 수행에 대한 거리오차였다. 실험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실험에서와 같이 자기 스스로의 의지에 따라 타이밍을 조절해야 하는 운동기술의 경우 결과지식의 상대빈도에 따른 효과는 결과지식을 너무 자주 주거나, 너무 가끔 주는 경우보다는 결과지식의 적정제공빈도를 결정하는 것이 학습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체육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수행동이 학습자의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만령 한국체육과학회 2006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with physical teacher's personality type and teaching behavior. The o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the 259 students of 9 middle schools included in Seoung-Buk office of Convenience Sampling. Those students were surveyed thorough questionnaire, which were appropriate to the aim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using the SPSS WIN. 1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s for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a physical class could fin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sex. Secondly, as for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with a physical class depending on the classes of different school could fin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evaluation. Thirdly, as for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with a physical class depending on the grades could find out meaningful difference in a physical teacher and the condition of class. Fourth, the personality type of physical teacher's were significant effect on Extroversion-Introversion(β=.564, F=189.862), Sensing-Intuition(β=.317, F=106.929) and Judgement-Perception(β=.187, F=73.113) to physical class for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p<.05). Also, the teaching behavior of physical teacher's were significant effect on Encourage behavior(β=.467, F=145.582) and Society Behavior(β=.193, F=85.814) to physical class for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p<.05).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보육교사의 e-헬스리터러시, 정서, 및 웰니스에 미치는 효과

        이만령(Lee, Man-ryung)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e-헬스 리터러시, 정서 및 웰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여대 보육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여대생 30명에게 6차시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 2번의 설문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토대로 SPSS 26.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 후, 예비보육교사의 e-헬스 리터러시는 수업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 후, 예비보육교사의 부정적 정서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 후, 예비보육교사의 웰니스 지표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웰니스를 제외하고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직업적 웰니스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학 정규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온라인 건강증진 교육 수업은 건강한 보육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유용한 수업전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nline health-promoting education program on e-health literacy, affect, and wellness i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30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t the K women’s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online health promoting education program for 6 week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paired t-test conducted using SPSS 26.0 program based on the pre and post data. After participating in online health-promoting education program, e-health literacy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negative affect.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hysical wellness, emotional wellness, cognitive wellness, job wellness with the exception of social wellnes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nline health-promoting education classes in regular college class curriculum a useful teaching strategy for fostering healthy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 KCI등재

        운동 자기-도식 형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경험적 탐색

        이만령 ( Manryung Lee ),박인경 ( Inkyoung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9 No.1

        목적: 국내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운동 자기-도식은 신체활동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변인이며, 이의 형성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운동 자기-도식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성인 남, 여 200명이 개방형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운동 숙련자 및 운동 전문 지도자 10명이 개별 면담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원자료에 대한 빈도분석과 질적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운동 자기-도식의 영향요인으로 운동효과 측면, 신체상태 측면, 행동적 측면, 인지적 측면, 심리적 측면 그리고 환경적 측면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운동 자기-도식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신체활동의 참여와 지속을 위한 중재전략에 적용하면 유용할 것이라 생각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e factors of exercise self-schema. Self-schema is domain-specific cognitive structures formed from past experiences that are thought to guide both information processing and behavior. So the formation of exercise self-schema is important and the finding of influence factors of exercise self-schema is significant. Mothods: To explore the construct, 200 respondents answered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open-ended questions and 10 respondents answered a interview. The raw data was then subjected to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Results revealed that influence factors were body condition, exercise effect, behavioral aspect, cognitive aspect, psychological aspect, environmental aspec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create a program based on this result. Also, the strategy to enhance exercise self-schema should be involved in the training program for non-exerciser and exercis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