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 프레젠테이션과 관람객 커뮤니케이션에 의한 중소형 전시부스 디자인 연구

        이란표(Lee, Ran-Pyo),김현중(Kim, Hyun-Joong) 한국상품학회 2009 商品學硏究 Vol.27 No.4

        기업의 전시부스는 그 기업의 고유한 이미지에 부합되게 혹은 기업 고유의 이미지의 쇄신을 통해 현실의 마케팅 사안을 실현시키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따라서 부스디자인은 무역박람회의 부스마케팅과의 관련 속에서 기업 이미지 묘사,제품과 서비스의 프레젠테이션,방문객과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세 가지 기본 과제들을 수행하여야 한다.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자의 선행논문에서는 기업이미지 묘사에 집중하여 이미지 묘사의 지표들을 규정하고 사례들을 분석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이러한 작업을 기초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특히 중소형부스의 부스유형별 적용가능성 측면에 집중하여 제품 및 서비스의 프레젠테이션,방문객과의 커뮤니케이션 등의 각 주제의 목표에 부합하는 사안들을 제시하고 개별 분석지표들을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중소형부스에 가장 효과적인 전시부스디자인 가능성 조건들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전시품,서비스,기술력 프레젠테이션의 측면에서는 다양한 시각매체의 활용,공간 내의 공간이라는 공간적 효과를 내기 위한 건축적 형태의 사용,그래픽과 장식의 효율적 배치 등이 주요 가능성 조건들로 도출되었으며,방문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의 측면에서는 자연적 요소들의 인위적 배치를 통한 ‘인위성의 자연적 효과’,공간의 합리적 구분을 목표로 한 ‘공간에 의한 공간화’,그리고‘개방적 디자인’등이 주요한 가능성 조건들로서 도출되었다. The exhibition booth of a corporation plays a role of the medium, through which the marketing aims can be accomplished according to the proper image of the corporation or on the basis of the renewing efforts. Because of that the booth design should carry out the tasks such as the delineation of the corporate image, the presentation of the products and the service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visitors in consideration of the booth marketing. In this thesis it is purposed to come up with the design solutions which correspond on the one hand to the individual aims of the presentation of the products and the services and on the other to the aims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visitors. With these works it is attempted to indicate the possible conditions for the most effective small exhibition booth design by analyzing the booth design cases with the individual analyzing indicators. As the consequences of the study it can be in two ways formulated : from the aspect of the presentation of the products and the services the main possible conditions such as 'the use of various visual media', the use of the architectural forms for the spatial effect', the effective arragement of the graphic and the cornaments' are considered. And from the aspect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visitors the three possible conditions such as 'the naturalizing effect of the artificial through the artificial arragement of the natural elements', 'the spatialization through the spaces aimed at the rational differentiation of space', 'the open design' are induced from the analysis.

      • KCI등재

        전시부스디자인에서 셰넌-위버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한계와 확장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란표(Ran Pyo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현재의 커뮤니케이션 상황은 다원적이고 다차원적이며, 감성적이고 감각적인 측면들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부합되게 전시부스 디자인에서도 다원적이고 다차원적인 공간적 이미지의 구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로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에 부합되는 전시커뮤니케이션 모델이 정립되지 못하는 실정이며 이에 대한 정립은 필수적이라고 하겠다.이를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우선 기존의 전시디자인에서 기본적인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원형으로 사용되어온 셰넌-위버 커뮤니케이션 모델이라는 발신자-수신자모델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 모델내에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모델로의 확장 가능성을 모색해본다. 여기에서 분석사례로 제시되는 내용은 기존의 단선적 전달모델에 부합되는 2003년 독일 ISPO 전시회의 ``Metzler Design``이라는 전시부스와 확장된 모델에 부합되는 2006년 독일 하노버의 Domotex의 ``Armstrong Booth``이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모델들의 가장 단순화된 모델인 셰넌-위버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이론적으로 검증하는 방식이다. 연구범위는 셰넌-위버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부합되는 사례를 분석하며, 그 확장가능성과 이러한 확장가능성에 부합되는 사례를 분석하는 것에 한정된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이해가 획득 될 수 있었다. 즉 건축적 언어와 기호들이 전시품과 전시공간그리고 전시디자이너와 방문객들이 서로 관계하는 가운데 총체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 같은 커뮤니케이션은 즉각적이고 감각적인 현대인들에게 전시에 대한 응축된 관점을 제공해줄 뿐 아니라 전시대상과의 상호작용 역시 가능케 해준다. 셰넌-위버 모델의 확장은 전시부스 디자인에서 이 같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실현가능성들 중의 하나를 제공해준다. In the contemporary communications are the multidimensional and emotional aspects of importance. Corresponding to this situation trade fair booth designers consider that the multiple construction of the spatial images must be indispensably made in the booth design. In spite of that it is not yet developed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model, which is in the moment in urgent need. This study is foremost purposed to analyze and to understand the procedures and core substances of the ``Shannon-Weaver Model`` as the framework of the communication models in the existing trade fair design. Moreover it is tried to grope for the extendability of the model and to arrange the ground for establishing the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model for the contemporary trade booth design. The analysis examples are ``Metzler Design`` as a lineal transmitting model of information that has been exhibited at ISPO in Germany in 2003, and ``Armstring Booth`` as an extension of the lineal model that has been exhibited at Domotex Hannover in Germany in 2006. The method of research follows the accurate analysis and the theoretical inspection of the ``Shannon-- Weaver Model`` as the most simplified model of the existing communication models. The range of research is limited to the comprehension of the ``Shannon-Weaver Model`` and the analysis of its expandability and a concrete example for that. This study results in the following understanding: in the contemporary trade fairs in which architectural languages and signs are expressed into space and form it exhibition products, exhibiting space, exhibition designer and visitor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trade fair communication as a form of total communication furnishes the spontaneous and sensitive contemporaries not only a condensed perspective to the exhibition but also possibilities of the interaction with the exhibited. The extension of the Shannon-Weaver Model can bring one of the realizabilities of the new communication model in the trade fair booth design.

      • KCI등재

        전시부스 디자인을 위한 다차원적 커뮤니케이션 모델작용 연구

        이란표(Ran Pyo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의 문제와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공간구성양태들 중의 하나로서 전시커뮤니케이션의 모델구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다차원적 커뮤니케이션 모델과 그 실제적 공간구성양태라고 할 수 있는 전시커뮤니케이션 간의 결합 고리로서 ‘뷜러(Karl Buhler)’의 오르가논 모델이 전시커뮤니케이션 논의를 위한 다차원적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기본구조로서 상세히 고찰된다. 이와 더불어 다차원적커뮤니케이션 모델이 전시커뮤니케이션에 직접 적용될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구체적인 사례분석 작업이 이루어진다. 방법론적으로는 이론적 작업들의 재전유와 실제 영역들에서의 분석검증방법이 사용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호화 작용, 전시마케팅 작용, 의미소통 작용이라는 세 가지 지표들의 공통적인 작용은 ‘전달’, ‘정보’, ‘이해’의 다차원적 연결망의 성립을 가능케 해주며, 이를 통해 독자적인 의미생성의 공간으로서 총체적 커뮤니케이션의 작용공간인 이미지공간이 만들어진다. ‘결합성(connectivity)’이라는 가장 단순하면서도 가장 함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이미지공간은 자기조절적이고 자기지시적인 의미연관으로서 공간지각 이미지들의 무한한 그물망적 계열들의 연결망의 형태를 갖는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offer the theoretical fundamental and system of the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for the exhibition booth design and its expressional elements especially by shedding light on the ‘Organon-Model’ of Karl Buhler as an grounding model of the multi-dimensional trade fair communication and by clarifying the model construction and the modalities of the multidimensional trade fair communication. The research rang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reappropriation of the Organon Model as the typical of the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and the phenomenology of the inter-subjectivity of Husserl as the fundamental theory of the Organon Model, and also to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to the exhibition communication and the case analysis. Methodologically the ways of the theoretical reappropriation and the practical verification are carried into execu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resumed as follows: Through the common functioning of the signifying, the exhibition marketing and the communication is formed a multi-dimensional network of ‘transmission’,‘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and based on this an image space as an independent meaninggenerative communication space is made up. The image space that has a simple and implicative structure of ‘connectivity’ is characterized as the network of endless series of the images of the space perception, which is self-regulative and self-referentia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요제프 알버스의 색채이론에 관한 연구

        이란표(Lee, Ran Pyo) 한국색채학회 2017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1 No.3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of the color idea of Josef Albers by elucidating the philosophical, scientific, and art psychological contexts that are inherent in his work Interaction of Color. In this study, as the preconditions for the coherent outcome, it is to demonstrate the core contents of the philosophical, scientific, and art psychological theories at the end of 19th century and in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and to explain, how these were penetrated in the color idea of Josef Albers. And also the methodological ideas of the ‘Vorkurs’ which Albers has designed in the days of the Bauhaus will be analyzed as the backgrounds for the discussion of the work Interaction of Color. According to Albers, color is the most relative medium in art. Therefore one must recognize that color deceives continually to use colors effectively. The same color can bring about innumerable readings. It is important to achieve distinct color effects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interaction of colors. To develop an eye for color, it must be groped for seeing color action as well as feeling color relatedness. In the end one must figure out the interdependence of color with form and placement. Through discussion of these core contents Albers has arrived a result that the aim of his laboratory trial is development of creativeness,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produce the desired color effects. Though his theory of color was not generally formulated, its ideas imply that the monistic color theory which puts together the physical and the psychic can be constituted and this would be appropriated as the foundation of the modern perceptual color idea.

      • KCI등재

        바우하우스 `기초과정`에서의 색채론 연구

        이란표(Ranpyo Lee)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3

        현대 디자인의 이정표 역할을 하였던 교육기관이자 예술양식이었던 바우하우스에서 색채라는 테마는 바우하우스에서 교육을 담당하였던 화가들의 색채론만이 아니라 다양한 공방들에서 이루어지는 작품생산에 대한 영향과도 관계되는 중요한 테마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73년 클라크 폴링(Clark V. Poling)의 박사논문이래로 바우하우스에서의 색채이론과 관련된 집중적인 연구들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색채론의 고전적 대가였던 독일의 괴테로부터 시작하여 19세기 말 물리학자 오스트발트에 이르기까지 바우하우스 예술가교사들의 색채론 논의들은 철학적이고 자연과학적인 입장들을 전유하여 현대 디자인 이념의 기초가 되는 색채론의 기초를 마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으로 다뤄지지 못했던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바우하우스 내에서 상징적이고 주관주의적인 전통을 대변하였던 이텐과 클레 그리고 칸딘스키의 색채론의 핵심적 근간을 분석하여 그 현재적 함의를 규명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본 연구는 일정한 맥락을 형성하였던 이텐, 클레, 칸딘스키가 바우하우스 기초과정에서 색채론을 연구하고 교육한 내용들을 대상으로 하여 색채론의 중심대상, 토대, 기본원리, 효과 등의 기본 지표들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색채론의 중심은 철학적이고 생리학적이며 심리학적인 대상으로서의 인간이다. 둘째, 색채론의 토대는 공감각적 작용공간이었다. 셋째, 색채론의 기본원리는 비위계적 질서를 이루는 차이와 대립의 원리이다. 넷째, 색채론의 효과는 공감각적 다성성이라고 할 수 있다. 바우하우스의 창조적 디자인 개념의 형성에서 적지 않은 역할을 하였던 기초과정의 색채론의 현재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우하우스 색채론은 이미지 언어 내지 비주얼 언어체계의 기초정립에 기여한다. 둘째, 바우하우스 색채론은 ‘디자인의 문법’ 정립에 기여한다. 셋째, 바우하우스 색채론은 환경디자인을 위한 보편언어로서 기능할 수 있다. In the Bauhaus that had played a role of a milestone of the modern design the theme "color" had been considered as an impetus not only in the workshops (Werkstatten) but also in the conceptualizations. In spite of that it has been almost not intensively researched with an exception of the dissertation of Clark V. Poling. Influenced by the various kinds of color theory from the theory of color of Goethe in the german classicism to the physical theory of color of Ostwald in the end of 19th century, the artist teachers of the Bauhaus have contributed to the founding of the modern theory of color as the ground theory of the design theory. But so deepened researches have never been devoted to the explication of the color theories of the Bauhau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elucidating of the core elements of the color theories of J. Ittem, P. Klee, and W. Kandinsky and their contemporary connotations. The color theories of Ittem Klee, and Kandinsky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aspects of the central target, the working foundation, the basic principle, and the final effect, and the following consequences resulted in: 1. the central target of the color theories is "the ganze Mensch"(the whole Man) as the philosophical,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object. 2. the working foundation the color theories is the synesthetical working space. 3.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lor theories is the principle of difference and confrontation that conforms to the non-hierachical order. 4. the final effect of the color theories is "synesthetical polyphony". The contemporary connotations of the color theories of the Bauhaus follow as such: 1. the color theories of the Bauhaus can contribute to the founding of the visual language system. 2. the color theories of the Bauhaus can contribute to the founding of ‘the grammar of design". 3. the color theories of the Bauhaus can function as the universal language for the environmental desig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