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젖산 생성능이 우수한 김치 유래 젖산균의 분리 및 두유 발효 특성

        이란숙(Lan-Sook Lee),정경희(Kyung Hee Jung),최웅규(Ung-Kyu Choi),조장원(Chang-Won Cho),김경임(Kyung-Im Kim),김영찬(Young-Cha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1

        본 연구는 경기도 일대의 배추김치로부터 젖산 생성능이 우수한 젖산균주 분리 및 두유 발효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먼저 0.01% bromocresol green이 첨가된 MRS 한천 배지에서 clear zone의 size 측정을 통하여 우수한 젖산 생성능을 갖는 균주를 선발 후 탄수화물 이용성 조사 및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으로 L. plantarum Gk04, Ped. pentosaceus Gk07, L. brevis Gk35 및 L. curvatus Gk36이 동정되었으며 특히 99%의 상동성을 갖는 L. curvatus Gk36을 두유발효를 위한 최종균주로 사용하였다. L. curvatus Gk36과 시판 균주 L. actobacillus에 의한 두유 발효 결과 pH는 L. actobacillus에서 유의적으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균수 및 산도 측정 결과 두 균주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L. curvatus Gk36 균주는 두유발효 등 발효 제품 제조를 위한 젖산균 균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Lactic acid bacteria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lactic acid producing ability from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Among the initial screening of over 150 strains selected from the sample, 27 strains were selected as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and 4 strains were finally selected based on their ability to produce relatively high levels of lactic acid. The four strains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L.) plantarum Gk04, Pediococcus pentosaceus Gk07, L. brevis Gk35 and L. curvatus Gk36 by the conventional morphological, cultur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by 16S rRNA sequence analysis. Among the identified lactic acid bacteria, L. curvatus Gk36 was used for soymilk fermentation. The viable cell counts and acidity values measured for the L. curvatus Gk36 were comparable to the commmercial L. acidopillus. Thus, the L. curvatus Gk36 is a potential probiotic strain to prepare fermented soy products, such as kephir, yogurt, tempeh and soy sauce.

      • SCOPUSKCI등재

        차광재배 가루녹차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이란숙(Lan-Sook Lee),박종대(Jong-Dae Park),차환수(Hwan-Soo Cha),김종태(Jong-Tae Kim),김상희(Sang-Hee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6

        대차12호와 야부기다 품종을 녹차를 85% 차광률로 15일간 재배한 후 제조한 가루녹차를 대상으로 카테킨, 카페인, 테오브로민, 테아닌, 루테인, 클로로필 및 색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총카테킨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비 gallate형 카테킨 함량은 대차12호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1). 개별 카테킨 함량은 2종류 가루녹차 모두 EGCG, EGC, ECG, EC, GCG, GC 및 C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테아닌 함량은 대차 12호가 2.99 g/100 g, 야부기다 2.27 g/100 g으로 대차12호에 32%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카페인 함량 또한 대차12호에 14%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p<0.01). 루테인 및 클로로필 분석 결과 대차12호가 루테인은 약 15%, 총클로로필 함량은 약 28% 더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p<0.001). 색도 분석 결과 L값은 야부기다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5), 녹색도를 나타내는 a의 음의 값과 b값은 대차12호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p<0.01). 본 실험결과, 대차12호는 기존 말차용 품종인 야부기다와 비교하여 카테킨 함량은 낮고 그 외 녹차성분인 테아닌, 카페인, 테오브로민, 루테인 및 클로로필 함량과 녹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차12호는 가루녹차 제조용 녹차 품종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Daecha-12 and Yabukita varieties of powdered green teas were grown under 85% shade-cultivated condition,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Total catechin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non-gallated catechin content in Daecha-1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Yabukita. Theanine (32%), caffeine (14%), lutein (15%) and total chlorophyll (28%)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aecha-12 than those in Yabukita. The results of a color analysis showed that the lightness L-value of Yabukita was higher than that of Daecha-12 but, that the greenness negative a-value and b-values of Daecha-12 were higher than those of Yabukita. The Daecha-12 cultivar had lower catechin content but higher content of theanine, caffeine, theobromine, lutein, chlorophyll, and a negative a-value than those of the Yabukita cultivar. Thus, the Daecha-12 cultivar is suitable to prepare a high-quality powdered green tea product.

      • KCI등재

        효소를 이용한 녹차 생엽에서 고품질 녹차 추출물 생산

        이란숙(Lan-Sook Lee),차환수(Hwan-Soo Cha),박종대(Jong-Dae Park),이성훈(Sung-Hun Yi),김상희(Sang-H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8

        녹차 생엽으로부터 고품질의 녹차 추출물을 얻기 위해 복합효소 Rapidase TF를 이용하여 효소처리 농도, 효소처리 시간 및 효소처리 온도를 달리하여 실시한 후 80oC에서 30 min 간 가열한 추출액의 이화학적 성분 특성을 조사하였다. 효소처리에 의해 유리당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glucose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최대 7.2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아미노산은 효소처리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었으며, 카페인 함량은 효소처리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총폴리페놀 및 총카테킨함량은 효소 첨가량이 증가하고 효소처리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카테킨 조성은 효소처리 조건에 관계없이 EGC, EC, ECg 및 EGCg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Gallic acid 함량은 효소처리 농도 0.04%, 효소처리 온도 45℃까지 증가하다 그 이상에서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증열 처리된 녹차 생엽에 복합효소 Rapitase TF를 0.08~0.1% 첨가 후 37~45℃로 180~240 min 처리함에 의해 기존의 복잡한 가공공정을 거치지 않고 생엽에서 바로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공정이 간단하고 녹차성분 추출률이 향상된 새로운 형태의 차 추출물 제조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Fresh green tea leaf extracts were prepared by different enzyme treatment conditions, such as concentration, treating time and treating temperature using complex enzyme, Rapidase TF, and then extracted for 30 min at 80℃ to investigate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results showed that free sugar content in every sample tended to increase, especially glucose content was increased up to 7.25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Total amino acid was barely affected by the enzyme treatment and caffeine content was increased with reaction temperature. Total polyphenol and total catechin content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nzyme added and reaction temperature. Regardless of enzyme treatment conditions, composition of catechins were epigallocatechin, epicatechin, epicatechin gallate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by descending order of the content. Gallic acid content increased up to 0.04% and 45℃ with no further significant changes thereafter. From the results above, we could conclude that a simple and new method to extract green tea materials directly from fresh green tea leaves with improved extract ratio may be introduced by adding 0.08~0.1% of Rapidase TF to heat treated fresh green tea leaves and keeping temperature at 37~45℃ for 180~240 min in order to skip existing complicated procedures.

      • SCOPUSKCI등재

        국내 시판 가루녹차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이란숙(Lan-Sook Lee),박종대(Jong-Dae Park),차환수(Hwan-Soo Cha),이유민(You-Min Lee),박재웅(Jae-Woong Park),김상희(Sang-Hee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1

        본 연구는 국내 시판 가루녹차 및 일본 가루녹차(말차)를 대상으로 입도, 색도, 클로로필, 카테킨, 카페인 및 테아닌 등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국내산 가루녹차의 평균입도는 14.63-25.39 μm의 범위로 일본산 가루녹차 15.46-21.02 μm와 유사하였다. 가루녹차 표면의 색을 측정한 결과 녹색을 나타내는 a의 음의 값은 해남산 차광 재배 녹차인 HN-1이 -9.51로 가장 높았고, 색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일본산 상품인 JA-1을 기준으로 TCD값을 구한 결과 국내 시판 가루녹차 중 HN-1의 값이 3.71로 일본산 고급 가루녹차 색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클로로필 분석 결과 국내산 차광 재배 가루녹차의 총클로로필 함량은 339-592mg/100 g으로 무차광 재배 가루녹차의 170-340 mg/100 g 보다 1.5-2배 정도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녹색도가 높을수록 클로로필 a가 클로로필 b 보다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가루녹차의 색도 a값은 클로로필 a, b 및 총클로로필 함량과 모두 유의적인 역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가루녹차의 녹색은 클로로필 a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의 주요성분인 카테킨, 카페인 및 테아닌 분석결과 국내산 가루녹차의 총카테킨 함량은 14.679-20.128 g/100 g, 카페인 함량은 1.496-3.237 g/100 g, 테아닌 함량은 0.926-1.977 g/100 g 함유되어 있었으며 카테킨 함량은 산지 및 차광유무에 따른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카페인과 테아닌 함량은 차광 재배한 가루녹차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본 실험결과 국내산 가루녹차의 품질은 차광 재배한 녹차의 경우 일본산 중품에 해당하는 값을 나타냈으나 전체적으로 일본 가루녹차에 비해 품질이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wdered green teas produced in Korea and Japan including particle size, color, chlorophyll, caffeine and theanin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Korean powered green tea (14.63-25.39 μm) was similar to that of Japanese powdered green tea (15.46-21.02 μm). The surface color of shade-cultivated Haenam Green Tea (HN-1) had the highest negative ‘a’ value, which represents ‘green’ color. When the TCD (total color difference value) was measured in the samples, HN-1 was most similar to the premium powdered green tea of Japan (JA-1). Domestic shade-cultivated powdered green teas had 1.5? times greater chlorophyll content than powdered green teas produced from plants that were not cultivated in the shade. The presence of chlorophyll a resulted in a higher intensity of green color than the presence of chlorophyll b.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also observed between the color and the chlorophyll a, chlorophyll b and total chlorophyll contents. Specifically, chlorophyll a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green color of powdered green tea. The content of catechins, caffeine and theanine in Korean powdered green teas ranged from 14.679-20.128, 1.496-3.237 and 0.926-1.977 g/100 g, respectively. The caffeine and theanine contents were high in shade-cultivated powdered green teas. Based on the above results, domestic powdered green teas cultivated under shaded conditions had a quality similar to that of medium-quality green teas produced in Japan, and the overall quality of Korean powdered green tea was poorer than that of Japanese powdered green tea.

      • SCOPUSKCI등재

        국내 시판 잎차 형태 녹차의 이화학 특성 및 산화방지 활성

        이란숙(Lan-Sook Lee),김상희(Sang-Hee Kim),박종대(Jong-Dae Park),김영붕(Young-Boong Kim),김영찬(Young-Chan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4

        제주, 보성, 하동산 차엽의 우전, 세작, 중작 및 대작 상품명을 쓰고 있는 시판 잎 녹차의 색은 녹차 등급이 높을수록 즉 채엽시기가 빠를수록 L값과 녹색도인 ?a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산 녹차가 보성 및 하동산 녹차에 비해 L값과 b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테킨 분석 결과 EGC 함량은 차엽 산지에 관계없이 채엽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카테킨, GCg, ECg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카테킨류 중 EGCg 함량이 95.39-116.25 ㎎/g으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보성산 녹차가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카페인, 테오브로민 및 테아닌 함량은 모든 차엽에서 채엽시기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제주산 우전의 카페인, 테오브로민 및 테아닌 함량은 각각 33.43, 17.84, 20.84 ㎎/g으로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산화방지 활성은 측정방법에 상관없이 등급이 높은 우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 및 하동산 녹차의 경우 채엽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보성산 녹차는 채엽시기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녹차의 주요 산화방지 성분인 개별 카테킨 함량과 산화방지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DPPH 활성은 EGCg, ECg 및 총카테킨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BTS 활성은 EGC 함량과는 음의 상관관계 그리고 카테킨, GCg 및 ECg 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 variety of commonly consumed commercial green tea. Green tea samples with the same commercial name produced at different regions were analyzed. High-grade tea samples showed higher values of lightness (L) and greenness (?a). Additionally, compared to other varieties of teas, high-grade tea samples showed higher levels of catechin, gallocatechin gallate (GCg), epicatechin gallate (ECg), theanine, and methylxanthines and a lower level of epigallocatechin (EGC).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was also investigated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radical assays. High-grade teas were observed to have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atechin content, such as EGCg, GCg, and ECg levels, was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 KCI등재

        도정도에 따른 쌀가루 및 쌀국수의 품질 특성

        이란숙(Lan-Sook Lee),김창희(Chang-Hee Kim),최은지(Eun-Ji Choi),성정민( Jung-Min Sung),최현욱(Hyun-Wook Choi),최윤상(Yun-Sang Choi),금준석(Jun-Seok Kum),박종대(Jong-Dae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2

        추청벼를 5분도미, 10분도미, 12분도미로 도정하여 쌀가루를 제조하였으며, 도정도에 따른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생면 쌀국수를 제조한 후 색도, 물성, 조리 특성 및 기호도 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도정도에 따른 쌀가루의 평균 입도는 13.14~14.14 μm로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색도 L 값은 12분도미 쌀가루가 91.51로 가장 높았고, 황색도 b 값은 5분도미에서 6.1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차 주사 열량계에 의한 호화개시온도, 호화정점 온도 및 호화종결온도는 도정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호화엔탈피는 12분도미에서 11.18 J/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쌀가루의 미세 형태는 모든 시료에서 다각형 전분 입자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정도가 높아질수록 쌀 전분 고유의 다각형 입자가 많이 노출되어 있었다. 쌀국수의 조리 후 중량, 수분흡수율 및 부피에 대한 조리 특성은 도정도에 따른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국수 색도 측정 결과 5분도미는 10분도미와 12분도미에 비해 명도가 낮고 황색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조리전과 후의 각 색도 값에 대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a 값과 b 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조리 과정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기계적 조직감에서 경도와 씹힘성은 5분도미 쌀국수에서 가장 높았으며 부착성, 탄력성 및 응집성 값은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관의 기호도는 5분도미 쌀국수가 5.00으로 가장 낮았으며 맛에 대한 기호도는 도정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 기호도는 5분도미에서 4.25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10분도미와 12분도미는 각각 5.50 및 6.25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flour at different degrees of milling (DOM) and their influence on cooking, color,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rice noodles. Higher DOM flour resulted in higher value of lightness and lower value of yellowne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rice flour were not significant, whereas the enthalpy of gelatinization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milling degree. Rice noodles were prepared with rice flours of DOM, and their quality and sensory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Cooking properties of rice noodles were not affected by DOM; however, color values were affected by DOM. In textural properties, values of hardness and chewiness of rice noodl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with an increase in milling degree. The sensory scores for overall acceptability, appearance, and texture were highest in higher DOM noodles (DOM 10% and DOM 12%)

      • SCOPUSKCI등재

        검은 콩 및 노란 콩의 품질 특성 및 콩 부위별 항산화 활성

        이란숙(Lan-Sook Lee),최은지(Eun-Ji Choi),김창희(Chang-Hee Kim),김영붕(Young-Boong Kim),금준석(Jun-Seok Kum),박종대(Jong-Dae Park)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6

        검은 콩 흑태, 서리태 및 노란 콩 백태를 대상으로 백립중, 색도 등 물리적 특성과 종피 제거 전과 후의 각 부분에 대한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백립중은 서리태가 39.1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체 종실에 대한 자엽의 무게 비는 백태가 94.4%로 가장 높았다. 콩 표면의 종피 색은 백태에서 그리고 자엽 표면에 대한 색은 흑태와 백태에서 L, a, b 값 모두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서리태 자엽의 a 값은 ?5.66으로 자엽 표면의 색이 녹색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었다. 총 페놀 화합물은 서리태 종피에서 25.2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안토시아닌 함량 또한 서리태 종피에서 6.4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측정 방법에 상관없이 서리태의 종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콩 부분별로는 자엽에서 그리고 콩 종류별로는 백태에서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과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상관계수 값은 0.9 이상으로 높은 양의 상관 관계(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총 안토시아닌 함량과 DPPH 활성과의 상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0.997). 따라서 검은 콩 및 노란 콩 각 부분에 대한 항산화 성분과 활성에 대한 이상의 연구 결과는 건강 증진을 위한 콩제품 개발시 콩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contribution to antioxidant activity in the seed coats, dehulled and whole black and yellow soybeans. The total phenolic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s were analyzed. FRAP, DPPH and ABTS assay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activities. The 100-seed weight and color values were also analyzed. Black seed coats had significantly greater total phenolic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s as compared to whole beans, dehulled beans, and yellow seed coats. Moreover, black seed coats exhibi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mong the samples, regardless of the utilized method. The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in all assay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phenolic (0.980≤ r ≤0.991) and anthocyanin contents (0.990≤ r ≤0.997) as well as among themselves (0.992≤ r ≤0.996). It is anticipated that th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is study will help support the development of soybean products for improving health.

      • KCI등재후보

        위조시간에 따른 차의 주요 성분 변화 및 향기패턴 분석

        이란숙(Lan Sook Lee),박종대(Jong Dae Park),김영붕(Young Boong Kim),김상희(Sang Hee Kim) 한국차학회 2016 한국차학회지 Vol.22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withering time on the major phytochemical components and aroma pattern of tea leaves during tea manufacturing. The total amino acid and theanine contents decreased, whereas the gallic acid content increased.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catechins, except for (+)-catechin gallat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articular, the decrease in the content of cis-catechins was higher than that of their corresponding epimers, trans-catechins. Moreover, the aroma patterns obtained using the electronic nose based on gas chromatography with a surface acoustic wave sensor showed that new peaks occurred from 2 to 6 sec in the 20 h withered tea.

      • KCI등재

        인삼 첨가 발효두유의 사포닌 조성 및 항산화 활성

        이란숙(Lan-Sook Lee),정경희(Kyung Hee Jung),최응규(Ung-Kyu Choi),홍희도(Hee-Do Hong),김영찬(Young-Cha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0

        본 연구에서는 인삼 추출물이 용수로 사용된 두유를 Lactobacillus 5가지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 인삼두유를 제조하였으며, 발효 균주에 따른 두유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인삼두유에서의 젖산균 생장은 L. acidophilus KCTC 3168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젖산균의 산 생성에 따른 pH 변화는 L.kefir ATCC 35411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관능검사 결과는 신맛이 강하면서 쓴맛, 콩비린내 및 쉰내 등이 비교적 약하게 평가된 L. kefir ATCC 35411이 가장 높게 선호되었다. 두유제조에 사용된 인삼의 기능성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총 진세노사이드는 L. casei ATCC 393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발효홍삼에 주로 존재하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Rg2, Rg3 및 Rh1 함량 또한 L. casei ATCC 393에서 가장 높게 정량되었다. 인삼두유의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활성과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발효두유에서 발효하지 않은 인삼두유에 비해 각각 2~4배 및 4~5배 정도 항산화 활성이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L. kefir ATCC 35411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인삼두유는 젖산균 발효에 의해 관능적, 기능적 측면에서 우수한 두유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발효균주로서 L. kefir ATCC 35411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lect an effective microbial strain to enhance the sensory qualities and functionalities of fermented ginseng soymilk. For this purpose, soybean were ground with water extracts of ginseng and fermented with five Lactobacillus strains. All strains grew well in ginseng soymilk, and viable cell counts reached greater than 8 log CFU/mL after 18 h of fermentation. The contents of total ginsenosides were higher in soymilk fermented with L. casei ATCC 393 than those in the other strains. The sensory qualities of the fermented soymilk were observed to increase with the intensity of sourness and showed the best sensory acceptability of soymilk fermented with L. kefir ATCC 35411. Moreov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by 2~4 and 4~5 time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non-fermented soymilk. In particula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fermented soymilk by L. kefir ATCC 35411 were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This result suggests that soymilk fermented by L. kefir ATCC 35411 allowed obtaining a soymilk with enhanced sensory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able to contribute to the health benefit.

      • KCI등재

        녹차를 이용하여 재배한 팽이버섯의 이화학적 특성

        이란숙(Lan-Sook Lee),차환수(Hwan-Soo Cha),박종대(Jong-Dae Park),장대자(Dai-Ja Jang),김상희(Sang-H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2

        팽이버섯 배지에 녹차 분말 또는 녹차 조카테킨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팽이버섯 자실체를 형성시킨 후 자실체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버섯의 수확량은 무첨가구에서 최고의 수량을 보였으며 녹차분말 10% 첨가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낸 반면, 경도는 무첨가구에서 가장 낮았고 녹차 분말 5% 및 10% 첨가구와 녹차 조카테킨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카테킨 및 카페인 함량 분석은 팽이버섯 추출물을 용매분획한 후 HPLC로 정량한 결과, 모든 시험구에서 카테킨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 또한 각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카테킨등 폴리페놀성 물질의 팽이버섯으로의 이행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카페인은 팽이버섯으로 이행되어 녹차분말 무첨가구는 2.12 ㎍/g, 녹차분말 10% 첨가구는 196.23 ㎍/g이 검출되었다.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패턴 분석 결과는 녹차 첨가에 의해 머무름 시간 3초와 6초 사이에 새로운 peak가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녹차 10% 첨가구에서는 뚜렷한 향기의 변화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팽이버섯 배지에 녹차분말 또는 녹차 조카테킨 추출물 첨가에 의해 버섯의 경도가 증가되었으며 녹차 성분 중 카페인이 이행되어 새로운 기능성 버섯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되었다.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green tea component enriched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were investigated. The yield of mushroom was highest with green tea powder untreated sample and the yield was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However, hardness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Analysis of catechins and caffeine in mushrooms showed that catechins were not transferred into mushrooms, whereas caffeine content was increased.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in mushroom was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and crude catechins. Analyses of aroma patterns using the electronic nose based on GC with SAW sensor showed that new peaks occurred from 3 to 6 sec in green tea added mushroom. This study showed that functional components and quality of mushroom were possibly improved by incorporating green tea powder in growth medi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