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위된 상완골 원위부 과간 골절에서 재건 금속판 및해부학적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의 비교

        이동주 ( Tong Joo Lee ),김영태 ( Young Tae Kim ),권대규 ( Dae Gyu Kwon ),박주용 ( Ju Yong Park ) 대한골절학회 2014 대한골절학회지 Vol.27 No.4

        목적: 성인의 전위된 상완골 원위부 과간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재건 금속판 및 해부학적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 및 합병증 등에 대해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2002년 8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상완골 원위부 과간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재건 금속판을 이용하여 고정한 20예의 환자들을 A군으로, 해부학적 잠김 금속판을 이용하여 고정한 20예의 환자들을 B군으로 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Cassebaum 평가 척도와 Mayo 주관절 기능 평가 척도,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점수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결과: Mayo 주관절 기능평가 점수는 A군에서 우수 8예, 양호 10예, 보통 2예였으며, B군에서는 우수 12예, 양호 7예, 보통 1예였다. 그 외 수술 후 운동범위가 90도 굴곡부터 120도 굴곡까지 획득된 시기는 A군의 경우 평균 8.3일(6-15일), B군의 경우 평균 5.5일(5-9일)로 두 군 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4). 이 중 골밀도가 낮은 환자 2예에서 나사 이완의 고정소실이 발생하였는데 모두 재건판을 이용한 경우였다.결론: 전위된 상완골 원위부 과간 골절에서 해부학적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치료는 나사 이완의 합병증을 줄이면서 조기 관절 운동이 가능하여 좋은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result of a conventional reconstruction plate (CRP) fixation and locking compressive plate (LCP) fixation on the surgical treatment of an adult’s displaced intercondylar fracture of humeru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0 patients enrolled in the study were treated between August 2002 and May 2012. Fixation with a CRP was performed in 20 patients (group A) and anatomical locking compression plate fixation was performed in 20 patients (group B). The clinical and functional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and Cassebaum classification of elbow range of motion (ROM),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 Results: The Mayo elbow functional evaluation scores, eight cases were excellent, 10 cases were good, and two cases were fair in group A, and 12 cases were excellent, seven cases good, and one case fair in group B; both groups showed satisfactory results. The durations of attaining 90 to 120 degrees of the ROM of joints postoperatively were 8.3 days on average (6 to 15 days) in group A and 5.5 days on average (5 to 9 days) in group B, demonstr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4). Although the correlations of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bone mineral densities (BMD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p=0.35), loss of fixation occurred due to loosening of screws in two patients with low BMDs in whose operations reconstruction plates were used. Conclusion: The use of locking compressive plate on the surgical treatment of an diaplaced intercondylar fracture of humerus have a good clinical results because that permits early rehabilitation through good fixation and reduces the complications such as loosening of screws.

      • KCI등재후보

        양측으로 대퇴골두 골절을 동반한 외상성 양측 고관절 전후방 탈구

        문경호(Kyoung-Ho Moon),이동주(Tong-ju Lee),박영하(Young-Ha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3

        고관절 탈구는 전체 관절 탈구의 2-5% 정도를 차지하며 외상에 의해 양측 고관절이 동시에 발생된 달구는 매우 드물게 보고되어, 그 발생 빈도는 모든 관절 탈구의 0.025에서 0.050%이다. 양측성 고관절 탈구가 한쪽은 전방으로 한쪽은 후방으로 발생한 경우는 더욱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교통사고로 양측 고관절에 동시에 탈구가 발생한 23세의 여자환자로 우측 고관절은 전방 탈구, 좌측 고관절은 후방탈구되어 있었으며 양측 모두 대퇴골두 골절이 발생되었다. 환자의 우측 고관절 탈구 방향은 우측 비구의 전하방이었고, 좌측 고관절 탈구는 후상방이었으며, 양측 대퇴골두 골절이 골두 중심와 상방에 동반되었다. 치료로 즉각적인 비관혈적 도수정복 후 피부견인을 하였다. 6주 침상 안정 후에 부분적으로 체중부하를 시작하였고, 10주째에 완전한 체중부하를 하였다. 추시 중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및 외상 후 관절염 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Hip dislocation represents 2 to 5% of all joint dislocation whereas bilateral hip dislocation occurring as a result of trauma is rarely reported, accounting for 0.025 to 0.050% of hip dislocation cases. It is known that the simultaneous occurrence of traumatic dislocation with one anterior and the other posterior is even rarer. The case described showed a bilateral hip dislocation which occurred anteriorly at the right hip and posteriorly at the left with both femoral heads fractured as a result of a traffic accident. The right hip of the patient was dislocated in the anteroinferior direction of the right acetabulum, and the left hip in the posterosuperior direction of the left acetabulum. Both hip fractures were accompanied by fragments above the fovea centralis. The patient was treated by immediate reduction followed by skin traction. Partial weight bearing was performed after 6 weeks of bed rest and full weight bearing began on the 10th week. No complications such as avascular femoral head necrosis or traumatic arthritis occured.

      • KCI등재

        대단지신근(Extensor Digitorum Brevis Magnus)

        박명훈(Myung Hoon Park),김낙철(Nak Chul Kim),이동주(Tong Ju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6

        Extensor digitorum brevis manus (EDBM)는 수술이나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검사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손등폄근의 변이형이다. EDBM은 폄근 지지띠 아래의 손목 주머니에서 발생하여 2, 3번째 손가락의 첫마디뼈의 자뼈 측에 삽입되는 경우가 많다. 이 사례 보고의 목적은 손 및 손목의 증상을 동반한 덩이가 있을 때 영상학적인 검사를 통해서 양성종물과 EDBM을 구분해야 한다는 데 있다. 또한 EDBM의 치료에 있어서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다면 수술적 치료가 고려되어야 한다. Extensor digitorum brevis manus (EDBM) is a rare variation of the extensor muscle of the dorsum of the hand, which is found incidentally during surgery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EDBM arises from the wrist capsule inferior to the extensor retinaculum, which frequently goes into the ulna side of the basis of the proximal phalanx between the 2nd and 3rd fingers. The aim of this report is evaluate to investigate the symptomatic mass on the dorsum of the hand and wrist using an image study (MRI or ultrasonography) to confirm whether it is a tumor or EDBM. Surgical excision was chosen as a treatment.

      • KCI등재

        국소골과 단일 케이지를 이용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 및 편측 후측방 유합술의 결과

        윤영현(Young-Hyun Yoon),조규정(Kyu-Jung Cho),박승림(Seung-Rim Park),문경호(Kyung-Ho Moon),이동주(Tong-Ju Lee),박해봉(Hae-Bong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1

        목적: 국소골과 단일 케이지를 이용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 및 편측성 후측방 유합술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자가 장골을 이용한 후측방 유합술과의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단일 분절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척추경 나사못 기기 고정술을 시행한 50명의 환자 중 자가 장골을 채취하지 않고 국소골과 단일 케이지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26명은 cage군으로, 자가 장골을 사용하여 후측방 유합술을 시행한 24명은 PLF군으로 하였다. 방사선 사진에서 골유합, 요추 전만도, 분절간각 및 추간판 간격을 비교하였고, 임상적 결과는 Oswestry Disability Index로 평가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T-test 및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골유합률은 cage군이 80.8%, PLE군이 83.3%로 나타났다. 추간판 간격은 cage군에서 더 많이 회복되었으나 PLF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10). 수술 실혈량은 cage군이 평균 565 ㎖, PLF군이 567㎖로 차이가 없었고, 수술 시간은 PLF군이 길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146.7분 vs 134분)(p=0.16). 이식골 공여부 통증이 PLF군에서 술후 초기 22예에서 나타났고, 그 중 5예에서 6개월 이상 지속되었다. 결론: 국소골과 단일 케이지를 이용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은 자가 장골을 이용한 후측방 유합술과 비교하여 유사한 골유합율을 보였다. 가장 큰 장점은 이식골 공여 부위의 합병증이 없다는 점이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using a single cage and unilateral posterolateral fusion (PLF) with local bone, and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ith those of posterolateral lumbar fusion (PLF) with autologous iliac bone. Materials and Methods: Fifty patients with single segment degenerative lumbar disease were treated with spinal fusion. Twenty six patients, who underwent PLIF with single cage and local bone without autologous iliac bone, were classfied as the "cage group". The other 24 patients, who underwent PLF using autologous iliac bone, were classified as the "PLF group". The fusion rate, lumbar lordortic angle, segmental angle, and intervertebral disc height were compared in the radiograph between the two groups. Th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by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T-test and Chi-Square test. Results: The bony fusion rate was 80.8% in the cage group and 83.3% in the PLF group. The intervertebral disc height was restored better in the cage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10). Average intraoperative blood loss was similar in the two groups (565 ㎖ in the cage group vs 567 ㎖ in the PLF group). The average operation time was longer in the cage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146.7 min vs 134 min). In the PLF group, 22 patients experienced pain at the iliac graft donor site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that persisted for more than 6 months in 5 patients. Conclusion: PLIF using a single cage and local bone for single segment degenerative lumbar disease produced satisfactory bony fusion with none of the donor site morbidity at the iliac b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