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라마계 천왕문의 수용 및 전개에 대하여 -천왕문의 배치와 사천왕 배열에 관한 문제-

        이대암,Yi, Dae-Am 한국건축역사학회 2007 건축역사연구 Vol.16 No.6

        $Lokap{\bar{a}}las$ are understood as the deities of four directions in Buddhism: $Dhrtar{\bar{a}}stra$ in the East, $Vir{\bar{u}}dhaka$ in the South, $Vir{\bar{u}}p{\bar{a}}ksa$ in the West and $Vai{\acute{s}}ravana$ in the North respectively. Their common name is, therefore, called as the "Four Guardian Kings", whose function is to prevent demonic forces from entering into its sacred world. Although the position of $Lokap{\bar{a}}las$ is to the lowest level in the hierarchy of the minor deities in Buddhism, the cult of $Lokap{\bar{a}}las$ was widely spread and prominent in the countries of Northern Buddhism. It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erms of the state-protecting Buddhism, on behalf of it's esoteric and magic power. More than 20 Gateways of the $Lokap{\bar{a}}las$ and $Lokap{\bar{a}}la$ statues were still well preserved in Korea, and they were believed to be constructed after the Japanese attack in 1592. After war, monks had concentrated on restoring ruined temples and building many new Gateways of the Four Guardian Kings over the Korean peninsular. Under such circumstances, even though the $Lokap{\bar{a}}las$ played a significant role as the subject of cult in Korean Buddhism. they might have a small chance to be taught traditional Lama iconography exactly.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relation of orientation of the Gate way of $Lokap{\bar{a}}las$ and allocation of each Kings inside the gate.

      • 인공조건에서 장수하늘소 생활사 규명

        이대암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0

        2008년 8월, 중국을 통해 도입된 장수하늘소 1쌍으로부터 인공교미를 시켜 산란을 유도한 결과 총 42개의 알을 확보하였다. 교미와 동시에 산란목에 산란된 알은 30일이 경과된 후, 수거하여 각각 인공사료로 채워진 독립된 용기(온도 20℃, 상대습도 60%, 0L/24D)에서 무휴면 상태로 Growth chamber (SANYO MLR-351H)에서 인공증식을 시도하였다. 총 42개의 알에서 95%(40마리)의 부화율을 나타내었다. 부화한 40마리의 장수하늘소 유충은 1년 후에 32마리(80%), 2년 후에 19마리(59%), 3년 후에 8마리(42%)가 생존하였다. 동일한 사육조건하에서도 장수하늘소의 유충들은 체장과 두폭, 체중 등 각 개체 사이에 상당한 성장력의 차이가 나타났다. 가장 성장이 빠른 그룹 중 3마리의 경우, 2012년 3월초부터 섭식을 중단하고 전용단계에 들어간 후, 2012년 4월 중순에 번데기가 될 때 까지 총 3년 7개월의 기간이 소요되었다. 실험결과 장수하늘소의 1세대는 무휴면 상태에서 난기간은 약 14~20일, 유충기간은 약 1350~1360일(약 3년 7개월), 용기간은 약 21~28일, 성충기간 약 30~37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장수하늘소의 알에서 성충까지의 최단 발육기간은 상기 실험 조건하에서 총 3년 9개월에서 10개월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Newly developed fungal diet for artificial rearing of the endangered long‐horned beetle Callipogon relictus (Coleoptera: Cerambycidae)

        이대암,Alexander V. KUPRIN,이용훈,배연재 한국곤충학회 2017 Entomological Research Vol.47 No.6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velop an artificial diet to effectively rear the endangered long‐horned beetle Callipogon relictus Semenov to facilitate restoration efforts for this species. Fungal mycelia of the white‐rot fungus Pleurotus florida (Eager) were, for the first time, provided as an artificial diet for the larvae of C. relictus. The experiment started on August 11, 2015 with 53 larvae being provisioned with the fungal diet under laboratory conditions (25°C, 60 % RH, L:D 0:24) without diapause. During the first year, 11 adults (4 males and 7 females, 20.8 % of the 53 larvae) emerged between September 10 and October 1, 2016. The body length of the largest male was 106.8 mm, and three of the four males exceeded 100 mm in length. These results show that a fungal diet for rearing C. relictus is useful not only for reducing the larval period to approximately 1/6 of the normal larval period in nature, but also for producing large adults. Thes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fungus may provide nutritional benefits during the larval development of C. relictus, and also indicate that this species is fungivorous.

      • 특집 - 예술과 건축 : 시간예술로서의 건축 ( Architecture as a Temporal Art )

        이대암 대한건축학회 1995 建築 Vol.39 No.9

        역사적으로 시간은 건축과 무관하지 않았다. 고대 종교건축에서 시간은 평면을 통해 개입되었으며 중세건축에서는 단면을 통해, 그리고 현대건축에서는 입면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들 건축에서 우리는 플라톤의 시간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 그리고 칸트가 말하는 시간을 느낀다. 우리는 또한 건축을 통해 시간을 느낄 뿐 아니라 표현할 수도 있다. 재료의 발달과 구조기술의 진보는 우리의 욕망을 가능케 하고 있다. 키네틱 건축이나 하이테크 건축을 통한 노력을 통해 우리는 변화하는 시대의 정신에 부응하는 건축가의 목표를 찾을 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사찰건축의 악기 심볼리즘 소고- 조선후기 사찰의 천장 주악도를 중심으로 -

        이대암 한국음악사학회 2007 한국음악사학보 Vol.39 No.-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meaning of musical iconology in Buddhist temples as architecture. It aims to explore the lore and origin of musical instruments used as symbols in traditional temples, especially in the Korean peninsula, that connected the early Mahayana Buddhism from the Chinese continent to the Japan Islands. Beside any doctrinal differences in Buddhism between Mahayana and Hynayana, musical allegory in Buddhist paintings in architecture may be one of the Mahayana’s particular qualities. This is because music is not only a symbol of Paradise in Northern Buddhism, but also a means of service to the Buddha as well. This tradition has been an implicit success for almost two millennia, and has never been scholarly enlightened with an iconological point of view so far. As the main theme of musical allegory in temples was believed to be a genuine heritage of Buddhism, the influence from the Confucian and Taoistic ideas of celestial music and the cosmic notion of musical instrument seems to have been overlooked. In this paper some literal evidences in musical iconology will be examined in terms of musical cosmology and cosmogony. 본 연구는 한국 전통사찰의 법당 천장에 그려진 음악관련 도상, 특히 주악도 형식의 천장 별화(別畵)에 관한 의미론적 연구이다. 불교에서 음악은 곧 부처의 공덕에 대한 찬탄의 상징일 뿐 아니라 부처에 대한 10종 공양(供養:pjan) 중의 한 가지였기 때문에 단순한 엔터테인먼트 이상의 위치를 차지한다. 법당은 곧 부처의 법을 전하는 장소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중생이 법문을 경청하며 부처의 덕을 찬송하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전통적으로 종교건축에서 천장은 하늘을 상징하기 때문에 법당의 천장에 묘음(妙音)과 천상의 음악을 그려 넣어 부처가 삼매(三昧)에 든 순간을 도상적으로 표현하려는 시도는 법화경을 중시하는 북방불교의 교리상 지극히 자연스러운 발상이며, 오늘날까지 그 명맥이 양식화되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사찰의 천장에 그려진 주악비천도나 악기도는 마치 전적으로 불교만의 전통 요소로 이루어지고 변천해 온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이미 한반도에는 불교가 유입되기 전부터 장생불사를 기원하는 신선사상이 민간신앙으로 굳게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한 보다 근원적 추적을 위해서는 불교는 물론, 도교, 유가의 음사상까지 폭넓은 검토를 필요로 한다. 음악은 삼국시대부터 범우주적인 속성이 중시되었고, 소리를 만드는 악기는 신비적이고 초자연적인 신성의 표상이었으며 이러한 음악의 우주적 개념은 조선시대까지도 그 명맥을 잃지 않고 이어갔다. 물론 조선시대 사찰건축의 천정에 그려진 주악도와 악기도들은 부정잡예(不淨雜穢)가 없는 청정한 불국토, 즉 서방극락정토를 염원하는 정토사상의 구현을 위해 그려진 도상들임에 틀림없다. 사찰건축에서의 이 같은 음악상징과 악기 심볼리즘은 법화경이 설하는 극적인 장면의 시각적 구현과 청각적 효과를 기대하는 것 외에도 악기와 음악에 부여한 깊고 심오한 형이상학적 정신세계가 표출되어 있다.

      • KCI등재후보

        수산자원보호구역 관리체제 구축을 위한 어장환경 예비진단

        이대,박달수,전경,엄기혁,박종수,김귀영,Lee, Dae-In,Park, Dal-Soo,Jeon, Kyeong-Am,Eom, Ki-Hyuk,Park, Jong-Soo,Kim, Gui-You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5 No.2

        본 논문은 수산자원보호구역의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관리방향에 대한 정책수립 지원라 체계적인 어장환경실태조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전 진단적 연구접근으로서 수산자원보호구역에서 계절별로 장기적으로 모니터링된 국가해양환경측정망 등의 자료를 이용해서 어장환경의 실태와 변화를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어장환경은 오염이 진행되었거나 진행 중인 것으로 진단되었는데, 각 영역별로 수질과 저질 오염특성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서 오염원과 이용실태 및 지형적 특성 등 제반 환경요소를 고려한 맞춤형 수질관리방안 수립이 요구되었다. 또한, 보호구역의 지정면적은 점차적으로 변화되어 왔는데, 2003년도와 처음 시정시의 면적을 비교해 볼 때, 총 면적변화는 $-22.9{\sim}2.4%$ 범위로 완도 도암만은 약 2.4% 정도 미미한 증가를 보였지만, 전체 구역은 평균 약 6.4%가 감소하였고, 한산만이 가장 큰 비율로 감소하였다. 전체 면적 중 육역이 약 6.1%, 해역이 약 6.6%가 감소되었지만, 2008년 시 군별로 고시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지정면적의 감소는 대부분 육역인 것으로 사료 되었다. 보호구역의 환경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효과적인 관리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실효적인 수질관리방안 뿐만 아니라 개발 및 이용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와 데이터(정보)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해역별로 종합 관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각종 관련 법률을 정비 보완해서 조사, 평가, 협의 등 관리방향과 관련된 요소를 일관성있고 체계적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For preliminary diagnosis on current fishing ground environment and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ment of effective and rational management policy in fisheries resources protection area, water and sediment quality and changes of total area in the 10 marine protection areas designated for fisheries resources management in Korea were assessed. Results showed that environmental quality in these areas has been degraded by pollution sources, coastal utilization and development stress, etc. The pattern and degree of contamination differed by protection areas,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for optimum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total designated area of protection areas in 2003 changed by $-22.9{\sim}2.4%$, on average -6.4%, compared with the first year of designation; Wando-Doam Bay showd the highest increase rate (2.4%), and Hansan Bay has the highest decrease rate (-22.9%) Decrease rate of land and sea in total area showd 6.1% and 6.6%. An integrated management of environmental data in protection areas is required for systematic assessment. Therefore, the suitable environmental and information management is needed specifically considering th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conditions of land and sea area Furthermore, bemus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reats the junctions of the protection areas, authorized ministry (MIFAFF) should develope and establish monitoring and management procedures based on the related laws.

      • 장수하늘소 증식․복원 연구

        박선재,이대암,서홍렬,김기경,안능호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장수하늘소(Callipogon relictus)는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급 및 천연기념물 제 218호로 지정된 곤충이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중국 동북부와 극동 러시아에만 한 정되어 서식하는 대형하늘소로서 70년대 말까지만 해도 경기도 광릉숲에 상당량 의 개체수가 확인되었으나, 그 뒤로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는 거의 절멸상 태에 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수하늘소의 우리나라 서식 가능성 조사를 위해 환 경부는 2006년부터 오대산 등이 포함된 전국조사를 실시하였으나 서식 여부는 지 금까지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에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해외 종의 도입을 검토 하고 향후 증식․복원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2009년부터 <장수하늘소 증식․복원 연 구>를 시작하여 서식지 추가조사와 함께 인접국 서식 장수하늘소와 국내산 장수하 늘소간의 유전적 동일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그러나 추가 서식지로 예상되었던 점 봉산에서도 장수하늘소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유전자조사도 샘플 미확보로 검증 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추가노력을 통해 2010년에 우리나라 장수하늘소 개체군과 북한 개체군, 중국 개체군 간에 유전적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고, 향후 인공복원 에 활용하기 위해 중국산 5개체(암2, 수3)를 들여와 유충 증식에 성공하였다. 2011 년에는 증식기법을 고도화 하면서 동시에 국내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Pilot-Site 후보지를 오대산으로 선정하였다. 2012년에는 연구사업을 통해 실내에서 사육되 던 개체들 중 한 쌍이 3년 9개월만에 성충 우화에 성공하면서 장수하늘소의 생활사 를 국내에서 최초로 밝혀냈으며, 인공증식을 위한 매뉴얼을 완성하였다. 2013년에 는 장수하늘소의 현지 적응 실험을 위해 오대산에 통제된 케이지를 설치하고 자연 상태에서의 생활사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케이지 실험을 통해 확보한 자연상태에 서의 장수하늘소 생활사 및 생태자료를 기반으로 향후 자연방사를 통한 복원을 추 진할 계획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