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해상난민 보호와 관련하여 해양을 규율하는 국제협약들의 역할 및 한계

        이기범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5 해양정책연구 Vol.30 No.2

        The matter of maritime refugees is one of the hottest issues whic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dealing with today. Some branches of international law, international refugee law and the law of the sea, in particular, may contribute to the settlement of the issue of maritime refugees. If refugees or asylum seekers succeed in entering into the territorial sea of a coastal State,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non-refoulement may prevent them from being sent to “the frontiers of territories where their life or freedom would be threatened on account of their race, religion, nationality, membership of a particular social group or political opinion”.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also helps to render assistance to any person in distress. However, ‘interception’ measures may be taken by a coastal State in its territorial sea in order to circumvent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non-refoulement. What is worse, some States are very reluctant to receive maritime refugees by taking full advantage of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SOLAS Convention or the SAR Convention under the cloak of rescue operations on the high seas. The legal regime of protecting maritime refugees has yet to be established. 본 논문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해상난민 보호를 위해 국제법, 특히 해양을 규율하는 국제협약들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그 한계는 무엇인지를 연구하였다. 해상난민이 어떤 연안국의 '영해'에 들어갈 수 있다면 국제난민법상 강제송환금지원칙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연안국들이 '영해'에서는 차단 조치라는 국내법적 조치를 통해 해상난민 보호를 회피하고자 할 것이며, '배타적 경제수역' 및 '공해'에서는 조난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 SOLAS협약 또는 SAR협약의 관련 규정들을 적용하여 해상난민의 제3국행을 추진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현재 해양을 규율하는 국제협약들이 적절히 규율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李白과 杜甫의 論書詩 硏究

        이기범 한국한문고전학회 2012 漢文古典硏究 Vol.25 No.1

        일찍이 중국문화에 있어서 글씨는 단순히 문자를 서사하여 기록을 전한다는 기능적인 측면과 글씨를 어떻게 아름답게 표현해 낼 것인가 하는 예술적인 측면이 공존해 왔다. 고대에 붓이 발명되어 서사문화가 생기면서부터 역사적인 기록물이든 문학작품이든 모필의 서사에 의하여 이것들은 기록되어져 왔다. 漢代에 서예가 예술로 인식되면서 전문적인 서예가가 출현하여, 이러한 문자의 기록을 보다 예술적으로 표현하려는 노력이 시작 되었다. 한편으로 서예는 문자를 매개로 하는 예술이기 때문에 서사의 대상이 되는 문장의 내용도 서사자의 서예에 많은 영향을 준다. 문학작품, 그 중에서도 詩의 경우는 어떤 대상물과 작자와의 교감을 통하여 그 정회를 쓴다는 것이 서예와 거의 일치하여, 여타의 장르보다도 부합되는 점이 많다. 당대는 시가 가장 중요한 문학적인 표현이었기 때문에 시를 짓고 그러한 감흥을 서예작품으로 쓰는 것은 역대로부터 내려온 당대의 일반적인 문화였다. 이렇게 당시 문인들에게 있어서 書藝라는 것이 그들이 지은 文章을 직접 書寫하는 방법이라는 점에서 示唆하는 바가 크다. 詩를 지은 당시에는 거의 모든 부분을 肉筆 의존해서 기록하고, 그 肉筆을 먼저 보고 詩를 감상해야하는 당시에는 詩의 내용보다도 우선 글씨가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글씨로 부터서 전해지는 情感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고 그런 情感이 詩의 내용과 잘 조화될 때, 詩를 감상하는 사람에게는 詩의 내용과 더불어서 感興이 배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요인들 때문에 당시의 유명한 시인들도 논서시 창작 대열에 합류하고 있고, 대시인 이었던 李白과 杜甫도 또한 예외는 아니었던 것이다. 이백과 두보가 남긴 17 수의 시를 형식과 내용으로 구분해 볼 때, 형식적으로는 후대의 논서시에 대하여 하나의 전형을 형성하였다. 그들의 논서시는 포괄적으로 첫째, 글씨를 품평한 시, 둘째, 서체의 형태미를 묘사한 시, 셋째, 서가의 성취를 묘사한 시, 넷째, 논서절구의 효시가 된 시로 구분할 수 있었다. 글씨를 품평한 시는 이백의「王右軍」이 대표가 되고, 서체의 형태미를 묘사한 시는 이백의「草書歌行」과 두보의「李潮八分小篆歌」가 모범이 되었다. 또한 절반에 해당하는 8 수의 시가 이에 하당하는 것은 당시의 서풍을 잘 반영해주는 현상이기도 하거니와 서체의 아름다움을 통하여 서의 본질을 추구하려는 그들의 경향이 나타난 것이기도 하다. 서가의 성취를 노래한 시는 이백의「送賀賓客歸越」이 대표작이며, 논서절구의 효시가 된 시는 두보의「戲爲六絶」이었다. 내용적인 분류인 논서시에 나타난 그들의 미학사상은 瘦硬美, 通神美, 尙古美이다. 수경미는 두보가 고래로부터 전해오던 ‘骨力’이나 ‘骨氣’의 개념을 자기만의 것으로 형상화 한 것이고, 통신미에서 글씨라는 것은 ‘神’해야 한다는 것은 이백과 두보가 가졌던 공통적인 미학사상이었다. 상고미는 현실의 정치적 불만족 자기이상과의 불일치를 바탕으로 한 상고이기도 하며, 이백은 왕희지를 추구하였고 두보는 篆隸의 추존이었다. 이상을 통해볼 때, 이백의 논서시는 주로 형식적인 면에서 표준이 되었고 두보의 논서시는 내용적인 면에서 표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의 논서시는 학시자들이 그들의 시를 표본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후 대대로 표본이 되었고, 송대 소식에 이르러 다시 한 번 논서시가 크게 부흥하는 ... Early in Chinese culture, the handwriting has been coexisted the functional aspect as saying of delivering a record by simply transcribing a character, and the artistic aspect on how beautifully a character will be expressed. As the narrative culture is created by being invented writing brush in ancient times, these things of either historical documentaries or literary works have been recorded by description in a writing brush. A professional calligrapher appeared while calligraphy in the Han Dynasty(漢代) was recognized as art. Thus, an effort for expressing a record in this character more artistically was begun. In the meantime, calligraphy is art that has character as medium. Thus, even the contents of sentence, which becomes the subject of description, have great influence upon calligraphy of Seosaja(書寫者:calligrapher for the painting). A case of poem even among those literary works is nearly consistent with calligraphy in writing its sentiment through sympathy between any object and writer, thereby having many points of being conformed even out of other genres. In the Tang Dynasty, a poem was the most important literary expression. Thus, what composes a poem and writes such inspiration as calligraphic work was the general culture in the Tang Dynasty, which had been come down from many generations. There is great suggestion in a sense that the so-called calligraphy in the contemporary writers at that time is a method of directly transcribing sentence that they composed. At that time of having composed poem, almost all the parts need to be recorded with relying upon handwriting. At that time of needing to appreciate poem with first seeing the handwriting, a character first jumps to the eyes rather than the contents of poem. Thus, sentiment, which is delivered from handwriting, is very important. And when such sentiment is well harmonized with the contents of poem, the inspiration is doubled along with the contents of poem as for a person who appreciates a poem. Due to these factors, the famous poets at that time are joining the line of creating Nonseosi(論書詩:Discussible Poetry). Lee Baek(李白) and Du Bo(杜甫) who had been great poets were not exceptional, too. Trying to divide 17 Su(首:piece)s of poetry, which had been left by Lee Baek and Du Bo, into form and content, one model was formally made on Nonseosi in future generations. Their Nonseosi could be divided comprehensively into first, a poem of having criticized handwriting, second, a poem of having depicted formative beauty in handwriting, third, a poem of having depicted achievement of Seoga(書家), and fourth, a poem of having become the beginning of Nonseo-Jeolgu(論書絶句). A poem of having criticized handwriting was represented by Lee Baek's 「Wangugun(王右軍)」. A poem of having depicted the formal beauty in handwriting was made an example by Lee Baek's「Choseogahaeng(草書歌行)」and Du Bo's「Ijopalbunsojeonga(李潮八分小篆歌)」. Also, what a poem with 8 Su(首:piece)s of corresponding to a half conforms to this is the phenomenon of well reflecting the contemporary calligraphic style, and is also what was shown their tendency of trying to pursue the essence of Seo(書:writing) through beauty of handwriting. A poem of having sung the achievement of Seoga(書家) was represented by a work of Lee Baek's 「Songhabingaekgwiwol(送賀賓客歸越)」. A poem of having become the beginning of Nonseo-Jeolgu(論書絶句) was Du Bo's「Huiwiyukjeol(戲爲六絶)」. Their aesthetic thoughts, which were shown in Nonseosi(論書詩) as the contextual classification, include Sugyeongmi(瘦硬美), Tongshinmi(通神美), and Sanggomi(尙古美). Sugyeongmi(瘦硬美) is what Du Bo embodied a concept of ‘Golryeok(骨力)’ or ‘Golgi(骨氣),' which had been come down from the ancient times as his own. What handwriting in Tongshinmi needs to be made 'Shin(神:divine)' was the common aesthetic thought that had been possessed by L...

      • 학습장애 초등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대한 어휘획득전략의 교수효과

        이기범,김윤옥 학습전략중재학회 2010 학습전략중재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어휘획득전략이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국어과 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C도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습장애 학생 3명이었다. 어휘획득전략 검사지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전략 활용 능력을 측정하였으며, 국어과성취도와 자기효능감도 함께 검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휘획득전략을 전략교수 8단계 과정을 통해 적용하였으며,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전략 교수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장애 학생들이 어휘획득전략을 완전학습 할 수 있었으며, 전략 훈련이 국어과 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