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헤겔과 브래들리

        이광모 ( Kwang-mo Lee ) 한국헤겔학회 2020 헤겔연구 Vol.0 No.48

        본 논문은 브래들리와 헤겔 철학의 차이를 서술한다. 영국 관념론을 대표하는 브래들리의 철학은 초기 분석철학자들에 의해 헤겔 철학의 아류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브래들리 스스로 헤겔주의자가 아니라고 말하듯이 두 철학 간의 차이가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브래들리의 철학에 대한 비판은 곧 헤겔 철학에 대한 비판으로 이해되었다. 따라서 두 철학의 차이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은 곧 영 미 권에서 오랫동안 왜곡되어왔던 헤겔 철학에 대한 이해를 교정하는 출발점이 된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먼저 당시에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던 헤겔 철학 내지는 관념론의 원리가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본 후, 브래들리가 이와는 구분되는 자신의 철학을 어떻게 전개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전개는 왜 헤겔 철학의 왜곡에서 비롯된 것인지를 서술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Bradley’s and Hegel’s philosophy. Bradley's philosophy, representing 19th century British idealism, was regarded as a subclass of Hegelian philosophy by early analytic philosophers such as Moore and Russell. However, despite the obvious difference between the two philosophies as Bradley himself says he is not a Hegelian, the critique of Bradley's philosophy was directly understood as a critique of Hegel's philosophy. Thus, reveal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hilosophies is a starting point for a work to correct the understanding of Hegelian philosophy which has been distorted for a long time in the Anglo-Saxon philosophy. For this work, this paper first examines what was the principle of Hegelian philosophy or idealism that was generally accepted at that time, and then how Bradley unfolds his philosophy that is different from Hegelian philosophy, and lastly how such development originate from the distortion of Hegelian philosophy.

      • 자연과 정신의 발생적 근거와 동일성철학

        이광모 ( Kwang Mo Lee ) 한국해석학회 2015 해석학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셸링의 ‘동일성철학’의 과제는 무엇이며 어떻게 수행되는지 그리고 그 한계는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이러한 고찰을 위해 셸링의 저작 중 특히 1804년 출간된 『종교와 철학』을 집중적으로 고찰하는데, 왜냐하면 이 저서 속에는 『선험적 관념론의 체계』 이후 제기되는 문제들이 가장 분명하게 그리고 압축적으로 제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셸링은 『선험적 관념론의 체계』에서 자아를 원리로 자연과 지성의 동일성을 증명하고자 한다. 그가 자아의 활동 속에서 그 동일성을 증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 이유는 자아의 근원적 활동은 무의식적 활동으로서의 자연과 의식적 활동으로서의 정신의 통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때 자아의 자기 의식적 활동은 끊임없이 이념적(정신적) 활동과 실재적(자연적) 활동으로 분리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만일 그 동일성이 증명되려면 어느 시점에선가 자아의 생산적 활동이 멈추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렇지 않으면 의식적 활동성과 무의식적 활동성은 여전히 분리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자아의 생산적 활동이 멈추는 곳에서 자연과 정신의 동일성을 파악하는 것은 ‘예술직관’이다. 하지만 문제는 예술직관에 의한 저 동일성의 파악은 단지 ‘어두운 미지의 힘’이 내리는 ‘은총’으로 이해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어두운 미지의 힘’으로부터 어떻게 자연과 정신이 유래하게 되는지가 해명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이 ‘어두운 미지의 힘’인 절대자로부터 어떻게 자연과 정신이 생성되는지 그리고 그때 제기되는 문제는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이 고찰 속에서 왜 셸링이 동일성철학의 끝에서 인간 자유의 본질을 구상해야 하는지가 제시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considering what the task of identity-philosophy is, and how the task is performed, and what its limit is. For this considering, one of the Schelling``s works, Philosophy and Religion published in 1804 is discussed in depth, because the efforts to resolve the problems raised after System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are most clearly and compressively presented in the work. Schelling tries to prove the identity of nature and spirit based on I in System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The reason why the proof is made based on I is that the primal activity of I is the unity of the nature as unconscious activity and the spirit as conscious activity. However, the problem at this time is that the activity of I as self-consciousness is constantly divided into ideal (spiritual) act and real (natural) act. Thus, in order to be proved the identity of nature and spirit, there should be some point in which the productive activity of I stops, because otherwise the unconscious activity and the conscious activity are continually to stay in the differentiation. what the identity of nature and spirit at that point grasps is the intuition of art. The problem is that the grasping of the identity by the intuition of art is taken for ‘grace’ of ‘the dark and unknown power’ to consciousness This means that it fails to explain how the nature and the spirit are produced from the ‘the dark and unknown power’. This study considers how the nature and the spirit are produced from ‘the dark and unknown power’ as the absolute, and what is the problem raised at that time. Through this consideration, it will be brought to light that the reason why Schelling cannot but plan to run a project for the essence of human freedom at the end of identity-philosophy.

      • KCI등재
      • 조선시대 흡연문화의 형성과정 연구

        이광모(Lee Kwang-Mo) 강원행정학회 2013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흡연문화의 형성과정에서 국가의 행정권은 어떤 기여를 했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결과, 16c말 처음 우리나라에 도입된 담배는 17c 중반까지 일반대중에게 급속히 확산되었다. 이는 담배에 관한 잘못된 상식과 믿음이 크게 작용하였으며, 국가는 경제적, 정치적 이유로 담배문제에 소극적이었기 때문이다. 조선기의 금연정책은 국가가 주도하였지만, 국가 공권력은 매우 미약한 상태였으므로 소극적 금연정책으로 대응하고 있었다. 조선의 엄격한 신분제 구조 하에서 흡연행위는 점차 신분상의 권위와 과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변화하면서 일반서민들은 양반 앞에서 함부로 흡연할 수 없도록 엄격히 통제되었다. 이처럼 조선기의 흡연문화는 양반들의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방편으로 형성되어 갔고, 이러한 과정에서 흡연문화를 주도하게 된 양반들은 이러한 규범을 일반백성에게로 확대함으로써 사회적 흡연규범은 보다 더 구체화되었다. 18세기 후반에는 흡연인구의 증가로 제례에서 조차 흡연이 국가권력에 의해 인정되기에 이른다. 한편, 국가권력은 양반사회의 흡연행위 자체를 문제 삼으며, 직접적으로 관여하여 통제하고자 했다. 그러나 신분제질서의 동요 속에서 국가권력의 양반사회에 대한 적극 개입은 오히려 서민의 일상생활로 확대되어 차별이 더욱 엄격한 흡연문화를 형성하게 된다. 결국 현재 우리의 흡연문화는 국가권력의 개입과 깊이 관련되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role of the nation"s administrational power in the formation process of smoking culture. Due to the general public"s misunderstandings and false believes, tobacco had been widely spreaded by 17c, since first introduced in late 16c. The government power in Chosun Dynasty was so weak at that time that its policy on smoking was passive. But smoking had changed to show the social power and authorities, so that working class were not allowed to smoke in face of the upper class. Eventually, smoking culture in Chosun Dynasty was formed to maintain the social orders for the noble class. In late 18C, since the number of smokers had increased, even smoking in ancestral ritual was allowed by the state power. Meanwhile, the state tried to directly control the smoking of the gentry, but it went beyond to the working class. State controled smoking of the general public more than the upper class. Finally, we could find out that smoking culture in Chosun Dynasty was closely concerned with the policy of the state power.

      • KCI등재

        일반논문 : 논증과 합리성 -하버마스의 논증이론에 대한 고찰-

        이광모 ( Kwang Mo Lee ) 한국헤겔학회 2011 헤겔연구 Vol.0 No.29

        본 논문은 하버마스의 논증이론을 고찰한다. 논증이란 하버마스에 따르면 첫째, 언어적 행위의 합리성에 대한 심급이다. 따라서 다양한 합리적 언어사용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그에 부합되는 다양한 논증유형이 있어야 한다. 둘째, 논증유형은 일상 언어에 대한 형식 화용론적 재구성을 통해 도출된다. 이러한 하버마스의 논증이론은 일상 언어에 대한 재구성을 통해 획득되는 한에서 수사학적 지평을 수용하는 것이며 동시에 형식 화용론적으로 도출되는 한에서 보편적 타당성을 잃지 않는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Habermas`s theory of argumentation. According to Habermas, first, argumentation is the criteria for evaluating rational linguistic action. In oder to explain diverse use of language, there must be the types of argumentation corresponding to that diversity. Second, the types of argumentation are resulted from the formal-pragmatical reconstruction of ordinary language. Habermas`s theory of argumentation accepts the rhetorical needs insofar as it is resulted from the reconstruction of ordinary language, and keeps the universal validity insofar as the types of argumentation are formulated by formal pragmatics.

      • KCI등재

        자연과 자유의 매개로서의 합목적성과 헤겔의 사변철학

        이광모 ( Kwang-mo Lee ) 한국헤겔학회 2021 헤겔연구 Vol.- No.50

        독일관념론은 칸트의 유산과 더불어 시작된다. 특히 독일 관념론자들이 철학을 ‘학문’으로 정립하는 것을 근본적인 과제로 삼았을 때, 그들 앞에 놓인 문제는 칸트가 ‘비판’을 통해 시도했지만 결국 미완으로 남게 되는 ‘체계’로서의 철학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칸트는 『판단력비판』에서 자연개념의 관할구역과 자유개념의 관할구역 사이의 단절을 극복하고 하나의 체계로서의 형이상학의 구축을 완성하고자 한다. 하지만 헤겔은 칸트의 이러한 작업을 회의적으로 비판한다. 왜냐하면 그 작업 속에서 이성인식의 원리들인 지성과 이성은 매개될지 몰라도 그 원리들에 의해 구성된 세계 간의 간극은 여전히 극복되지 않은 채로 남는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헤겔은 왜 그렇게 판단하는 것일까? 그리고 그 두 세계에 대한 참된 매개는 왜 사변철학으로 귀결된다고 주장하는 것일까? 본 글에서는 바로 이러한 물음들에 대한 헤겔의 대답을 고찰한다. 이러한 고찰을 위해서는 먼저 『판단력비판』에서 목적개념을 통해 자연개념의 관할구역과 자유개념의 관할구역을 통일하려는 칸트의 기획을 자세히 살펴본 후, 그에 대한 헤겔의 비판이 무엇인지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물론 이때 초점은 ‘체계’로서의 형이상학의 완성에 놓이게 된다. 왜냐하면 헤겔 사변철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칸트에게 미완으로 남게 되는 ‘체계’로서의 형이상학을 완성하는데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German Idealism begins with the legacy of Kant. In particular, when the German Idealists made it a fundamental task to establish philosophy as ‘science’, the problem before them was to construct philosophy as a ‘system’ that Kant tried through ‘criticism’ but ultimately remained incomplete. In Critique of Judgment, Kant tries to overcome the disconnection between the jurisdiction of the concept of nature and the jurisdiction of the concept of freedom, and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metaphysics as a system. However, Hegel is skeptical of Kant's work. This is because he judges that although understanding and reason, which are the principles of rational knowledge, may be mediated in his work, the gap between the worlds constituted by these principles remains unresolved. So, why does Hegel make such a judgment? And why does he claim that the true mediation between the two worlds results in a speculative philosophy? This article examines Hegel's answer to these questions. For this examination, it is necessary to first consider Kant's plans to unify the jurisdiction of the concept of the nature and the jurisdiction of the concept of the freedom through the concept of the purpose in Critique of Judgment, and secondly to look into Hegel's criticism against it. The focus here is obviously on the completion of metaphysics as a ‘system’ because the ultimate purpose of Hegel's speculative philosophy lies in completing the metaphysics as a ‘system’ that remains unfinished for Kant.

      • KCI등재

        행정학의 정체성 위기와 성찰적 대안

        이광모(Kwangmo Lee)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6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mphasize it is system thinking viewpoint of 『The Book of Change』 that possibility as methodology of new public administration. To accomplish this aim, identity crisis problem of public administration was critical reflection. Also, It was compared with the world view of 『The Book of Change』 and system thinking of the new science. The results found out that there are many similar side. Through in this study founded useful approach method that a point of view of system thinking the like intuitional, dialectical the thinking of form in 『The Book of Change』 and the theory of yin-yang, the theory of time-position, the theory of nature-man-union- vertue etc.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build of philosophical foundation in order to critical reflection and the practical on the habitual ac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of toda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