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험설계사 특성과 고용보험 적용 시 유의점

        이경희 ( Kyonghee Lee ),박진희 ( Jinhee Park ) 한국보험학회 2021 保險學會誌 Vol.126 No.-

        본고는 고용관계가 특수한 보험설계사의 노동시장 특징을 면밀히 분석하여 고용보험적용과정에서 정책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검토할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보험설계사 노동시장 분석이 가능한 국세청, 통계청, 보험설계사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확인하였다. 첫째, 국세통계상 과세대상 보험설계사는 원천징수대상자 50만명과 종합소득신고대상자 11만명을 합한 61만명이며, 보험설계사 내에 소득양극화 현상을 보이는 U자형 소득분포를 보인다. 둘째, 임금근로 보험설계사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상황에서도 실직 위험이 낮아 안정적인 취업상태를 유지하고, 근로시간에 대한 자기 결정권이 높아 일과 생활의 양립이 가능한 일자리로, 실근로시간이 짧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셋째, 보험설계사는 소득결정방식이 실적급이어서 전적으로 판매수수료에 의존하고 있어 보험설계사 내에서 소득 편차가 매우 크고, 경제상황에 따라 소득변동성이 매우 높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보험설계사 직종에 고용보험을 적용하여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개인 단위로 월 소득의 적시 파악이 필요하며 아울러 보험설계사 개인이 소득 흐름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어 도덕적 해이가 발생할 여지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보험설계사 직종의 경우 다른 직종의 특고종사자와 달리 보험료 산정 및 납부뿐만 아니라 소득하락 기준 등 실업인정 기준의 보편적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고용보험제도의 적용 및 운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of insurance agents with special employment relationships and to review matters that should be considered policy in the employment insurance application proces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Tax Service, Statistics Korea, and insurance company panel data, which can analyze the labor market of insurance agents: First, according to the national tax statistics, insurance agents were 610,000 people, including 500,000 people subject to withholding and 110,000 people subject to comprehensive income reporting, and U-shaped income distribution is showing polarization within insurance agents. Second, even during COVID-19, insurance agents maintain stable employment status due to low risk of losing their jobs, and have high self-determination of working hours, making them compatible with work and life, and have short working hours. Third, insurance agents rely entirely on sales commissions because their type of remuneration is performance-based, showing that income deviation within insurance agents is very large and income volatility is very high depending on economic conditions. The results show that applying employment insurance to insurance agents’ occupations requires timely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monthly income for stable operation. Also, individual insurance agents can lead to changes in income flow, which may lead to moral hazard. Therefore, it may be difficult to apply the unemployment recognition criteria, such as income reduction standards, as well as the calculation and payment of insurance premiums.

      •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가입자의 임금소득 불확실성이 위험자산 선택에 미치는 사례 연구

        이경희 ( Kyonghee Lee ) 한국연금학회 2018 연금연구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1개 대기업 사업장의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가입자(1,113명)를 대상으로 임금소득관련 불확실성이 위험자산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핵심 설명변수는 과거 5~8년 동안 개인별 임금상승률의 변동계수(표준편차/평균)이며 통제변수는 퇴직연금 운용관리 기록에 존재하는 개인별 특성변수(성, 연령)와 기타 변수(임금, 적립금, 가입연도)이다. 종속변수인 위험자산 선택 여부는 주식 투자 여부로 대리하였으며, 주식 투자 비중은 사용자가 제공한 상품의 주식 편입 비중과 가입자가 그 상품에 배분한 적립금 비중을 가중 평균하여 산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임금소득의 변동성(변동계수)이 높을수록 주식에 투자할 확률은 감소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에 비해 퇴직연금제도에 가입한 시점이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이 컸던 2008~2009년인 경우, 가입자의 위험자산 회피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임금소득의 불확실성과 위험자산 보유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표본이 정규직 중심인 1개 사업체의 운용관리기록으로 제한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향후 개인의 특성변수와 재무상태에 대한 주관적 인식, 주택 보유 여부 등을 통제한 상태에서 위험자산 보유에 대한 추가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rtfolio choice and wage risk in Korean defined contribution plan participants using a record-keeping data. We focus on individual wage risk and holding risky financial asset, i.e., equity.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the wage uncertainty, we measur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individual wage growth rates between 2006 and 2014, and calculat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standard deviation/mean). Equity asset allocation is calculated by weighted average of the proportion of equities within financial products and the allocated share of the products in accumulated asset. The regression result shows the probability of equity holding decreases as wage risk increase, however,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quity holding has a U shaped relationship with wage risk, and participants enrolled during the financial crisis (2008~2009) show a high tendency to avoid risky asset.

      • KCI등재

        세제비적격 일반연금 대비 변액연금 계약자의 특징 분석

        이경희 ( Kyonghee Lee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018 리스크 管理硏究 Vol.29 No.3

        대부분의 변액연금 관련 연구는 자료의 제약으로 인해 거시적인 분석에 국한된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입수하기 힘든 개별 자료를 이용하여 변액연금 계약자의 미시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1개 대형 생명보험회사의 개인연금보험 신규 가입 계약을 대상으로 일반연금 대비 변액연금 가입자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분석기간을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2007.9.1~2009.8.31)과 위기가 아닌 기간(2006.1.1.~2007.8.31., 2009.9.1~2011.3.31)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연금보다 변액연금을 더 선호하는 집단은 여성, 젊은 연령계층, 일시납 계약, 보험료 규모가 작은 계약이다. 금융시장 여건과 관련하여 주가 수준이 높고, 공시이율이 낮을수록 변액연금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 동안에는 일반연금 대비 변액연금에 대한 선호도가 글로벌 금융위기가 아닌 기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셋째, 글로벌 금융위기와 설명변수들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남성, 젊은 연령계층, 보험료 부담 능력이 낮은 계층에서 변액연금 선택을 회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연금보험 계약자들이 변액연금 상품에 내재한 투자 기능을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특정 집단에서 그 민감도가 더 크게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Whil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variable annuity have been focused to macro-level analysis due to data constraints, we attempt a micro analysis of the variable annuity buyers. We use individual tax-deferred annuity contracts offered by a large Korean life insurance company. It consists of two phases: Global Financial Crisis(September 2007 to August 2009) and non-Global Financial Crisis(January 2006 to August 2007 and September 2009 to March 2011). We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fixed annuity buyers and variable annuity buyers. The estimatio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mands of variable annuities are strongly correlated with 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Generally female, young people, and individuals with a small premium are more likely to choose variable annuity products rather than fixed annuity products. Variable annuities are preferred in the phase of higher stock price index and lower assumed interest rate. Second, the demand for variable annuities was lower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an non-Global Financial Crisis. Thir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ffected the less choice of variable annuities among specific groups, i.e., male, young people, and individuals with lower premium. Overall, the individual annuity policyholders have recognized the investment elements within variable annuities, and the recognition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roduct choice between fixed annuities and variable annuities.

      • 미국 변액연금 시장의 발전요인과 시사점

        이경희 ( Kyonghee Lee ),정하나 ( Hana Chung ),김치완 ( Chiwan Kim ) 한국연금학회 2016 연금연구 Vol.6 No.1

        국내 변액연금상품은 2002년 말 투자수단을 활용하여 노후소득을 마련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변액연금 시장은 도입 초반 급성장하였으나, 불완전판매 및 수익률 논란 등을 겪으면서 2011년 이후 지속적인 축소 국면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변액연금 시장이 발전한 미국의 경험과 발전요인을 고찰한 후 국내 시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미국 변액연금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은 보험사가 금융환경 변화 및 소비자 니즈에 적극 대응하여 상품의 경쟁력을 제고시켰기 때문이다. 국내 변액연금 사업자도 상품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고객-상품-채널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수익률에 민감한 국내 30~40대 변액연금 소비자의 실효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하이브리드 및 후취방식으로 설계된 상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지관리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는 유통채널을 발굴하고, 계약 유지율과 투자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보수방식을 모색해야 한다. Variable annuity was introduced in 2002 in Korean insurance market. Under low economic growth and aging environment, customers needed new investment vehicle to cover low interest rate and longevity risk. Variable annuity got some accomplishment for a while but with the issue of low expected return and incomplete sales, market has been collapsed. Low expected return issue also yielded controversy in the USA, but variable annuity market is still promising in the USA. Insurance companies added various customer-friendly minimum guaranteed benefit options on the products and changed the way of expense structures. Now variable annuity compete with other investment-type products such as mutual funds. After a review of experience and development factors of the US variable annuity market we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the domestic market as follows. Insurers need to establish Customer-Products-Channel strategy for responding customer’s needs and changing financial environ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 yield, insurer need to provide hybrid back-end loading designed product, because customers by 30s and 40s are sensitive to variable annuity yield. Insurer need to develop the distribution channels for enhancing the maintenance service. New compensation for sales charge also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maintenance rate of contracts and investment return.

      • KCI등재

        고연령 자동차보험 계약자의 사고위험 분석

        이경희 ( Kyonghee Lee ) 한국보험학회 2015 保險學會誌 Vol.104 No.-

        본고에서는 65세 이상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발생빈도와 사고심도에 대해 고찰하였다. 경찰청 사고통계(2000-2014)에서는 사고를 유발한 운전자의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1사고당 치사자수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사고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용 자동차보험 가입자의 대인배상담보 통계 역시 연령계층과 1사고당 손해액 간 U자형 곡선이 나타나 고령운전자의 고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 한정 특약은 65세 이상 집단의 사고빈도가 26-59세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지만, 사고심도는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운 자의 사고심도가 높다는 실증분석 결과는 교통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정부정책과 보험회사의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accident risk of older drivers aged 65 years and above. According to the Department of Police statistics, older drivers have experienced higher crash death rates per accident than all age categories since 2000. We use personal injury protection data during policy year April, 2006 to March, 2007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claim risk. We find a U-shaped curve, i.e. loss amounts per accident increase for younger and older drivers. Our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older drivers had significantly lower claim frequencies compared with ages 26-59, a reference group, however, the claims paid per accident among the older drivers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eference group. The results imply that Korean government agencies and non-life insurance companies should consider the safety policies for older drivers.

      • KCI등재

        사용자의 퇴직연금상품 제공개수가 가입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경희 ( Kyonghee Lee ),송인욱 ( Inwook Song ) 한국보험학회 2019 保險學會誌 Vol.119 No.-

        본고는 확정기여형제도를 운영하는 사용자가 라인업(line-up)한 상품개수가 가입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데이터는 2개 퇴직연금사업자로부터 입수한 467개 사업체 소속27,934명의 운용관리 기록이다. 467개 사업체의 사용자가 평균 443개 상품을 라인업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가입자는 4.38개(원리금보장형 1.15개, 실적배당형 3.23개)만 선택하였다. 원리금보장 형만 선택한 그룹은 1.4개, 원리금보장형과 실적배당형 모두 선택한 그룹은 9.8개, 실적배당형만 선택한 그룹은 2.7개를 선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제공하는 상품개수가 선택한 상품개수에 영향을 주는 메뉴 효과(menu effect)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만, 그 크기는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가 라인업 상품개수를 100개 늘리면 가입자는 단지 0.55개만 활용하는데, 이는 가입자의 선택상품 1개를 늘리기 위해 추가적으로 180여개 상품을 더 제공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는 투자옵션의 개수를 늘리는 것보다 상품특성에 대해 인지한 상태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 설계를 구조화하는 것이 더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enu effect in defined contribution plans. Using a cross section data of 27,934 individuals participated in 463 employers, we study how participants choose financial products given the line-up investment options. Typically, individuals choose in fewer than five products (principal-guaranteed type 1.15, risky product type 3.23). Participants with both principal-guaranteed and risky type choose more products (9.8) than individuals only principal-guaranteed chosen (1.4) and only risky type chosen (2.7). Although the size is very small (estimated coefficient: 0.0055), we find the significant plan menu effect. Participants tend to choose in more products when there are more products available, however, individuals use only 1 additional products for every 180 additional products available. Our results imply that the menu design is more important rather than increasing the number of line-up products to make effective choices.

      • KCI등재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가입자의 투자성과에 대한 사례연구

        이경희 ( Kyonghee Lee ),김혜성 ( Hyesung Kim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017 리스크 管理硏究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를 도입한 1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가입자의 실제 투자성과를 측정하였다. 2007년 4월부터 2015년 1월까지 32분기 동안 사용자의 부담금 납부 이력이 있는 367명에 대한 패널데이터(n=11,744)를 구축한 후 대상기간 동안의 투자수익률이 얼마인지, 시장수익률과 비교해서 초과수익률이 발생하였는지, 위험조정 후 초과수익률이 발생하였는지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가입자들은 연평균 4.5%의 수익을 달성하였는데, 이는 CD 수익률에 비해서는 1.1%p 높지만, 주식 및 채권 수익률에 비해서는 각각 1.0%p 정도 낮은 수준이다. Fama and French의 3요인과 국내 채권 수익률을 추가한 모형으로 가입자의 위험조정 초과수익률을 추정한 결과 알파 값이 -2.1%로 나타나 시장 대비 초과수익을 시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별 특성 및 투자행동을 설명변수로 추가한 회귀분석에서는 자산배분을 변경한 적극적 가입자의 초과수익률이 변경하지 않은 소극적 가입자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의 마켓 타이밍 역량 부족을 의미하는 것으로 확정기여형 상품 내에 자동 또는 전문가 주도 하의 자산 리밸런싱 장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investment performance of participants from one employer introducing the defined contribution plan. We consider absolute investment performance, relative performance to the benchmark and risk-adjusted performance using panel data over 367 individuals (n=11,744). The time frame of our analysis is based on 32 quarters for the period from April, 2007 to January, 2016. Participants earn average return of 4.5% per year, 1.1%p higher than the certificate of deposit rate but 1.0%p lower than both equity index return and bond index return, respectively. We estimate the risk-adjusted returns, alpha, using a four factor model consisting of the Fama and French`s three factors and domestic bond index. The result shows that the negative alpha over the investment period is -2.2%. The negative alpha confirms that the plan`s performance falls below the performance of comparable index. When we consider the characteristic and the investment behavior of each individual as explanatory variables, the regression model shows individuals who change their asset allocation performed poor compared to individuals with no change in the period. The result suggests that participants do not have positive market-timing abilities and therefore defined contribution plans need a mechanism to re-balance the fund automatically or by professional managers.

      • KCI등재

        퇴직연금 가입자의 추가 납입 행동에 대한 사례 연구

        이경희 ( Kyonghee Lee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017 리스크 管理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14년까지 가입자(1,238명×6년=7,428명)의 자발적인 추가 납입 행동을 분석한 것이다. 추가 납입 참가율, 추가 납입액 및 기여율에 대한 정태패널모형 분석 결과, 여성과 적립금 규모가 큰 근로자일수록 추가 납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태패널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당기 추가 납입은 전기 추가 납입과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여 행동의 지속성이 존재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2014년 추가 납입하는 퇴직연금 기여금에 대한 세제혜택을 소득공제방식에서 세액공제방식으로 변경하였는데, 이로 인해 추가 납입 참가율은 낮아졌으며, 추가 납입액 및 기여율(임금 대비 납입액)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세제혜택 부여방식을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전환한 정책으로 퇴직연금 가입자의 추가납입 행동이 위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of voluntary additional contribution decisions within the defined contribution plan members (n=7,428) using the administrative data of working place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2006 to 2014. We examine how workers use their voluntary additional contribution program with tax benefit using panel models. The results of static panel models show that female, income level, and accumulated asset size have a positive association with voluntary additional contribution behavior. Under the dynamic panel models, we find the persistency of contribution behavior over time. On the other hand, both contribution amount and contribution rate (contribution amount/wage) was reduced after the Korean government tax policy change from income tax deduction to tax credit. The results imply that the change of tax benefit scheme induced the overall shrinking of voluntary additional contribution behavior.

      • KCI등재
      • KCI등재

        전자 상거래에서의 쥬얼리 제품의 선호도와 구매의사

        이경희(Lee Kyonghee),정홍인(Cheng Hongin),조민정(Cho Minje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1

        In Korea E-business market has been considerably increased in 2007 with turnover 3 trillion 924billion won compared with 124.9% last year. It's forecasted that e-business will have more market power in the future. Product presentation methods and designs were comparatively studied by analyzing questionnaires and measuring EEG(electroencephalograph) of participants.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e-business for the jewelry produ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ciding purchase and preference for jewelry products on the mortar market and the On-line market. It will be significant to build customers reliability successful jewelry products sales on e-business. 전 세계적으로 전자상거래를 통해 거래되는 매출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7년 국내 전자상거래 총 거래액은 516조 5,140억을 기록하여 전년에 비해 2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전자상거래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쥬얼리와 같은 일부 제품들은 온라인 거래가 상대적으로 거래가 활발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기존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쥬얼리 제품의 전자상거래 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른 연구방법인 설문 조사와 과학적 연구방법인 뇌파 측정을 동시에 실시하여 쥬얼리 제품의 전자상거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서는 이미지로 봤을 때 쥬얼리 제품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사가 높았으나 뇌파 측정에 서는 이미지로 봤을 때와 실제 착용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이 선호도와 구매의사가 높았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쥬얼리 제품도 전자상거래에서 효과적으로 판매할 경우 충분히 시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설문 조사 결과와 뇌파 측정 결과의 차이를 통해 쥬얼리 제품을 전자상 거래로 판매하기 위해서는 보다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시함으로써 구매자가 안전하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신뢰를 주는 일이 중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