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서 가압 골시멘트 압박고나사 내고정시 대전자 안정화 금속판 보강의 효과에 대한 분석비교

        이경진 ( Kyung Jin Rhee ),이은상 ( Eun Sang Lee ),김태균 ( Tae Gyun Kim ),우영균 ( Young Kyun Woo ),권순용 ( Soon Yong Kwon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4

        목적: 골시멘트 보강 압박고나사(RCHS) 단독 내고정 및 대전자 안정화 금속판(TSP)을 병용한 내고정 방법으로 대퇴골 전자간부 골절의 치료 시, 두 술기에 대한 방사선 추시 결과 및 술 후 기능 평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단독 내고정 방법으로 수술한 23명, 23예 및 TSP를 병용한 내고정 방법으로 수술한 24명 2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적으로 골절의 분류, 골절 부위의 압박 정도, 하지 길이 단축 정도, 골절의 유합 기간을 평가하였으며, 술 후 기능평가는 Koval 분류를 이용하였다. 결과: 골절 부위 압박 및 단축 모두 단독 내고정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유합 기간의 차이는 단독 내고정군이 5.3개월 대전자 안정화 금속판을 병용한 군이 6.6개월 이었다. 보행 능력 평가 상 대전자 안정화 금속판을 병용한 내고정 군에서 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고정 실패는 단독 내고정 군에서만 1예 발생하였으며, 모든 예에서 수술 전 후 전신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부 골절의 치료 시, 단독 내고정 방법으로도 압박고나사의 골두 천공 및 해리는 방지할 수 있지만, 하지 단축을 초래하는 과도한 골절부의 압박은 불가피하다. 특히 심한 골다공증을 동반한 경우나 골절 부위 직경이 가는 경우, 잠재 골절이 있는 경우에는 대전자 안정화 금속판의 병용 사용이 권장된다. Purpose: We analyzed the radiologic and clinical outcomes of osteosynthesis using a Richard compression hip screw (RCHS) alone or RCHS with a trochanteric stabilizing plate (TSP) in patients with an intertrochanteric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08, 23 patients (23 cases) underwent osteosynthesis using only RCHS and 24 patients (25 cases) underwent osteosynthesis using RCHS and TSP. We evaluated the classification of fractures, the amount of collapse and shortening, and the duration of fracture union. We used a Koval classification for the evaluation of clinical outcomes. Results: The amount of collapse and shortening in the RCHS-only group was statistically greater than the amount in the RCHS-with-TSP group. The union duration of fracture was 5.3 months in the RCHS-only group and 6.6 months in the RCHS-with-TSP group. The clinical outcomes in the RCHS-with TSP-group were better than the RCHS-only group. We had one case of fixation failure in the RCHS-only group and none in the RCHS-with-TSP group. There were no perioperative systemic complications or death. Conclusion: In patients with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 can prevent the cut out of the lag screw or screw loosening with the use of pressurized PMMA-augmented RCHS. However, we cannot prevent excessive collapse and shortening, especially in patients with severe osteoporosis, a small diameter of the femur neck, or concealed fractures. In the case of these patients, we recommend you to use RCHS with TSP for the prevention of excessive collapse and shortening.

      • 골반문증 - 증례 보고 -

        선두훈,이승구,이경진,조성길,권순용,Sun, Doo-Hoon,Rhee, Seung-Koo,Lee, Kyung-Jin,Cho, Sung-Gil,Kwon, Soon-Y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5 No.2

        골반문증은 장관골의 골단 및 골간단에 다발성의 경화성 병변이 발생하는 매우 드문 골 이형성 질환으로 아직 원인이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며 대부분 무증상으로 단순방사선학적 검사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저자들이 경험한 증례는 전형적인 골반문증의 방사선학적 소견 및 임상적 특징을 보이고 있었고, 감별진단을 위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The osteopoikilosis is a rare disorder characterized by multiple radiodensities in the metaphysis or in the epiphysis of long tubular bones. The etiology and pathogenesis remain obscure, generally transmitted as an autosomal dominant fashion. The osteopoikilosis is asympotomatic and it is usually found radiologically as an incidental finding. Our case shows a typical clinical feature of the osteopoikilosis, and the biopsy was done to differentiate other disease from the osteopoikilosis.

      • KCI등재

        석창포의 부위, 추출용매 및 발효에 따른 주요 성분 변화 연구

        방태선 ( Tae Sun Pang ),이경진 ( Kyung Jin Lee ),함인혜 ( In Hye Ham ),부영민 ( Young Min Bu ),김호철 ( Ho Cheol Kim ),이재성 ( Jae Seong Rhee ),최호영 ( Ho Young Choi ) 대한본초학회 2008 大韓本草學會誌 Vol.23 No.4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 changes of β-asarone and α-asarone in A. gramineus according to its parts, extraction method, and fermentation. Methods: The change of β-asarone and α-asarone was analysed with GC/MS, IR, and NMR. Results: In A. gramineus, β-asarone and α-asarone in rhizome are 7 times and 4 times more than those in leaves respectively. And, in water extract of Acori Graminei Rhizoma, β-asarone was reduced to 77.8%-83.5%, and α-asarone was reduced to 69.4%-72.2% compared with 50% MeOH extract. The amounts of β-asarone and α-asarone were decreased apparently by 1 and 3 weeks fermantation with yeast activated solution. Conclusions: There was a change in the content of asarone pursuant to the medicinal part, extraction solvent, and fermentation. This result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contributing to the stability of A. gramineus according to an appropriate clinical application.

      • KCI등재후보

        대퇴골 전자간부 불안정 골절에 대한 골시멘트 보강 압박고나사의 내고정 치료

        권순용(Soon-Yong Kwon),정도현(Do-Hyun Chung),이경진(Kyung-Jin Rhee),우영균(Young-Kyun Woo),김용식(Yong-Si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골시멘트를 대퇴골두 내로 주입하여 보강한 후 압박고나사를 내고정하는 방법으로 치험한 대퇴골 전자간부 불안정 골절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5월부터 2002년 5월까지 골시멘트 보강 압박고나사 내고정 방법으로 치료하고 1년 이상 추시 가능 하였던 전자간부 불안정 골절 30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연령은 74.8세(51-89세), 추시 기간은 평균 16.8개월(12-36개월)이었다. 방사선적으로 골다공증의 정도, 내고정 후 경간각, 압박고나사의 골두 내 위치, 완전 유합시 압박고나사의 활강 정도(Doppelt’s method)와 하지길이의 단축, 골시멘트의 충진 정도, 방사선적 유합 시기 등을 평가하였고, 임상적으로는 보행 능력의 변화(Koval의 분류)를 평가하였다. 결과: 방사선적으로, 골절은 평균 7.6° 외반위 정복되었고 내반위로 정복된 예는 없었으며, 압박고나사의 골두 내 위치는 후하방 13예, 중앙 8예 등의 순으로 많았고, 골유합 시기는 평균 16.3주였다. 추시 기간 동안 총 30예 중 10° 이상 내반 변형이 5예, 15㎜ 이상 압박고나사 활강이 7예, 지연유합이 2예였으나, 골두천공이나 금속고정 실패는 없었고, 최종적으는 모두 만족스런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임상적으로도 Koval에 의한 보행 능력 평가상, 대부분의 예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골시멘트 보강 압박고나사 내고정 방법은 대퇴골 전자간부 불안정 골절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 가능한 골두 천공, 정복 소설 등을 줄이고, 수술 후 조기 거동을 가능하게 하여 오랜 침상 가료로 인한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 이라고 사료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a PMMA augment¬ed compression hip screw for the manage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in senil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1996 to May 2002, 30 patients (mean age 74.8 years, ranging from 51 to 89) with a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were treated with a PMMA augmented compression hip screw.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6.8 months (12 to 36). Radiologically, the degrees of osteoporosis, the neck-shaft angle after the reduction, the position of lag screw in the femoral head, the degrees of sliding of the lag screw and the shortening of the limb when union had been achieved, the extent of the insertion of the PMMA cement, and the timing of bone union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ambulatory capacity were evaluated by the functional class of Koval. Results: Radiologically, 5 cases of a varus deformity over 10° and 7 cases of lag screw sliding more than 15 mm were found in the 30 cases. However, there was no cutting out of the screw in femoral head nor was there fixation failure of the plate. In addition, union was finally achieved in all cases, although there were two cases of a delayed union. Clinically,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in most of the cases according to the functional class of Koval. Conclusion: For senile patients with a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PMMA augmented compression hip screw appears to be one of the more useful methods allowing the early ambulation and reducing the number of complications by the long immob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