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儒學의 道統과 學的 傳統

        이경무(Lee kyoung-Moo) 대한철학회 2004 哲學硏究 Vol.92 No.-

        유가 사상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변천 또는 발전해 왔다. 이러한 변천 및 발전 속에서 유가 사상의 근본 정신은 그 영속성울 유지하면서 긴 계보를 이루어 왔다. 이것이 바로 유학의 학적 전통인데, 이러한 학적 전통은 유학의 도통과 함께 경서를 근간으로 하여 형성되고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도통과 경서는 서로 다른 범주를 이루고 있다. 때문에 이 둘을 동시에 논하는 것은 쉽지 결코 않은 일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유학의 도통에 관한 논의들을 그 학적 전통 속에서 살펴보았다. 이는 유가 사상의 연속성과 학적 체제성에 대한 전체 적이고 종합적인 이해를 위해 꼭 필요한 작업이었다. 그리하여 도통을 보는 관점과 그에 대한 논의들은 유가 사상의 면속성에도 불구하고 유학의 학적 전통 속에서 다양하게 변천되거나 발전되었음을 알아보았다.먼저 선진 시기의 유학의 도흥은 孔子에 의해 자각되고 孟子에 의해 그 정통성이 주창되었다. 그러나 그 후 漢 代 및 唐代 유학의 흐름 속에서 유학의 도흥은 별 다른 중시를 - 받지 못했다. 그러다가 唐 후기 輪愈와 李翔에 의해 다시 중시되었고, 이후 朱子에 의해 도통관이 확정되었다. 그렇지만 韓愈 이후로도 도통의 정통성에 대한 이견이 계속 제기되어 왔다. Confucian Philosophy has been proceed and progressed according as the times changed. And the fundamental values and spirits of Confucianism have been succeeded and continued through the long process of the times. This paper studied the processes and progresses of Do-Tong(道統) that was discussed in the philosophical tradition of Confucianism it is the tims and purposes of tins study to obtain the general and whole understanding of philosophical scheme of Confucianism. At first the Do-Tong(道統) of Confucianism was awakened and groped by Confucius, and the orthodoxy of that was initiated by Mencius. But no philosophers of Han(漢) and Dang(唐) tack a serious view of that From that tune on, Han-You(韓愈) and Lee-Ko(李) provoked that again, and Chu-She(朱書) confirmed the legitimacy of that. By the way, the system of that had been discussed continually due to a historical viewpoint of Confucianism For example Seok-Kae(石介) and Son-Bok (孫復) emphasized the continuity of Do-Tong(道統) before Chu-She(朱書), and many philosophers of Cheong(淸) stressed the historical spirits of Confucianism which was inbered in that.

      • KCI등재
      • KCI등재

        ‘지’와 공자 인학

        이경무(Lee kyoung-Moo)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7 No.-

        이 글은 공자가 주장한 ‘지’의 의미와 위상을 공자 인학의 체계 속에서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 세 가지 논의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첫째는 공자가 주장한 ‘지’의 의미에 관한 것으로, 공자는 지를 ‘~~를 할 줄 안다’는 것 즉 실천적 의미의 지혜와 ‘~~라는 것을 안다’는 인식론적 의미의 지혜로 대별하고 있다. 둘째는 지에 관한 공자의 관점에 대한 것으로, 공자는 지혜를 지식보다 우위에 놓고 지혜의 실현을 추구하면서 지혜를 실현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을 제시함으로써 종선시후의 목적적 관점을 취하고 있다. 셋째는 지와 인의 관계에 관한 것으로, 공자가 주장하는 지는 궁극적으로 인에 포괄되어 한편으로 지의 실천이 인의 완성을 목적으로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인이 지의 실천 근거가 되고 있다. This paper studied the meanings and phases of chi in the Confucius’ Jenlogy system. As the result, this paper have had three main contents. First, the meanings of chi. that were argued by Confucius in Lunyu were classified into two parts. One another was the meaning of ‘know to how’ what is called wisdom in the context of practice, and the other was the meaning of ‘know about that’ what is called knowledge in the context of epistemology. Second, Confucius’ standpoint about the chi. was examined precisely. Confucius more emphasized wisdom than knowledge in a teleological standpoint and so that held up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realization of wisdom.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 and jen was confirmed in Confucius’ standpoint of Lunyu. To put it simply, the practice of wisdom intended the realization of jen on one hand and jen was a foundation of wisdom on the other hand in Confucius’ Jenlogy.

      • KCI등재

        ‘도道’, ‘덕德’과 공자孔子 인학仁學

        이경무(Lee Kyoung-moo)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1 No.-

        이 글은 공자가 주장한 도, 덕의 개념을 공자 인학의 체계 속에서 규명하고 있다. 도와 덕은 공자 인학의 주요 개념을 이루고 있는데, 공자가 주장한 도와 덕은 서주 이후 인문주의의 전통과 인간의 주체성 및 민본에 대한 춘추 이후의 자각을 윤리적 관점에서 발전시켜 전개한 것이다. 물론 윤리적 의미의 도, 덕 개념은 이미 공자 이전에 분화되어 있었다. 그러나 공자는 윤리 규범으로서 예가 실천적 행위로써 준수되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 도와 덕의 실천을 새롭게 주장하면서, 인을 도와 덕의 본질로 규정하고 이로써 도와 덕의 규범적 절대성과 실천적 가능성의 근거를 확립하고 있다. 그 결과 공자 인학은 목적론적 윤리설과 의무론적 윤리설이 상보적으로 종합되어 하나의 체계를 이루면서도 그 안에서 동기주의와 결과주의가 긴장 관계를 이루며 공존하게 되는 특징을 갖게 되었다. 공자 인학의 이러한 특징은 현대 사회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법으로서 시사점을 갖질 수 있는 바, 앞으로 이에 대한 보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paper studies the concept of tao and te in Confucius' Jenlogy system. Tao and te became primary concept of Confucius" Jenlogy, through Confucius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tao and te under an awakening of human identity and democracy in an ethical viewpoint. Of course ethical concept of tao and te were specialized before Confucius already. But in those days traditional ethical norm was not abided as a behavioral guideline. For that reason Confucius asserted the practice of tao and te as a new ethical norm and prescribed the jen for the essence of tao and te. Hereby Confucius established the normal absolute and practical possibility.

      • KCI등재
      • KCI등재

        한비자의 정치사상

        이경무(Lee, Kyoung-moo)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1 No.-

        이 글은 중국 고대 제자백가 중 한 사람인 한비자의 정치사상을 법가사상의 집대성적 성격과 이론 체계 속에서 고찰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한비자가 주장한 法, 術, 勢의 내용과 그 상관관계를 밝힌 다음, 다시 그것들의 의미를 刑名參同과 參驗의 논리에 비추어 이해해보고 있다. 먼저 제2장에서는 정치에서 있어서 법의 필요성을 본격적으로 제기한 전국 중기 정치개혁가들의 주장 및 활동과 그에 대한 정치 사상가로서 한비자의 위상과 역할을 살펴보고 있다. 이어 제3장에서는 한비자가 주장한 상벌의 필요성과 군주의 도{主之道}를 고찰함으로써 ‘군주의, 군주에 의한, 군주를 위한’ 법치를 지향하는 한비자 정치사상의 이론적 근거를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군주에 의한’ 정치의 필수 조건으로서 법, 술, 세의 의미와 상호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한비자 법가 사상의 집대성적 특성을 고찰한 다음, 법, 술, 세에 관한 한비자의 논의를 형명참동과 참험에 따라 규명하고 있다. This paper studied the political thoughst of Hаn-feizi(韓非子) who was one of the all classes of philosophers in ancient China especially in a viewpoint of how could he made a synthesis of all thought of legalist school and formulated a synthetic theory. So to speak, it tried to examine the contents of ‘fa(法), ‘shu(術)’, ‘shi(勢’) and the interrelation of them and to exhibit the meaning oh them according to the logic of ‘xingming cantong(刑名參同)’. For the purpose it, it inspected tree chapter’s content like that following. First, it carried out maintenance and strenuous exertion of the peoples who proposed full out the necessity of ‘fa(法’) in politics in ancient China and revealed out the status and role of Hаn-feizi(韓非子) as a political philosopher. Second, it contemplated the necessity of ‘shǎng fá(賞罰)’ and ‘tao of zhǔ(主之道)’ that was asserted by Hаn-feizi(韓非子) and catched hold of the foundation of Hаn-feizi(韓非子)’s political thoughts that intended to the legal administration of ‘jùn zhǔǐ(君主)’. Third, it inquired into the meaning and interrelation of the ‘fa(法)’ ‘shu(術)’ ‘shi(勢)’ that were necessary indispensable condition to legal administration of ‘jùn zhǔǐ(君主)’ and than contemplated Hаn-feizi(韓非子)’s integration into a greater whole and Hаn-feizi(韓非子)’s argument for the ‘fa(法’) ‘shu(術)’ ‘shi(勢)’ according to the logic of ‘xingmiпg cantoпg(刑名參同)’.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