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영어교사의 언어 교수 효능감에 관한 분석 연구

        윤택남(Tecnam Yoon)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1

        본 연구는 강원도 소재 공립초등학교에서 영어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언어교수 효능감의 수준을 파악해 보고 개별 배경변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 기법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언어교수 효능감 측면은 영어교사의 언어적, 정서적, 인지적 역량의 정도에 따라 학습자들의 언어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개의 배경변인에 따른 일반적 언어교수 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성별과 연령대 및 교육경력별로는 큰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영어전담에 대한 인식이 언어교수 효능감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영어를 좋아하여 지도를 선호한다는 집단의 효능감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어학관련 연수경험을 토대로 일반적 언어교수 효능감을 비교한 결과, 연수를 경험한 집단의 효능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the general language teaching-efficacy of elementary English teachers in Gangwon province and to analyze any differences based on the variables. To do this, the number of 30 in-service English teachers, as the focal participants answered a survey. The findings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 degree of the general language teaching efficacy got influenced by the English teachers’ linguistic, emotional and cognitive competence, which may have several effects on elementary ELLs’ language development. Second, the analysis of the five variables on the general language teaching-efficacy showed that there were few differences in gender, age group, and teaching career.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not only in the perception of the English language specialist but also in the experiences in the intensive English program.

      • KCI등재

        온라인 다독프로그램에 대한 초등영어학습자의 인식 조사연구

        윤택남(Yoon, Tecnam),양지혜(Yang, Jihye) 영상영어교육학회 2021 영상영어교육 (STEM journal) Vol.22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current research study is to identify the primary English language learners’ perceptions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online extensive reading program, and to figure out any statistical differences based on the four different variables such as participants’ gender, grade,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 and length of English study time. To answer these questions, a total number of 105 students from a national elementary school in Gangwon province participated and answered a survey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of 23 items in tota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a quantitative way using Jamovi program, which is an open and free comprehensive statistical software. The results revealed that overall perceptions of the online extensive reading program as well as affective factors, and satisfaction degree were positive a bit beyond average.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s showed that the mean of the female group was higher than the male on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and English proficiency, however. Lastly, based on the length of English study tim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ffective factors, and satisfaction degree. Based on the findings,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later addressed.

      • KCI등재

        온라인 동요 학습이 초등영어학습자들의 듣기능력과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윤택남 ( Tecnam Yoon ),양지혜 ( Jihye Y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효과적인 듣기지도 방안으로써 EFL 환경에 학습하기 적절한 온라인 영어 동요를 선정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초등영어학습자들의 듣기능력과 정의적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내 군 지역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4학년 43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을 위해 영어 듣기능력 시험을 사전 사후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정의적 영역 설문지를 배포,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시각적 학습자이며 디지털 매체에 친숙한 연구참여자들은 온라인 동요활용 학습에서 듣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온라인 영어 동요 기반 학습이 초등영어학습자들의 정의적 특성, 즉 흥미도, 자신감, 몰입, 동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연구참여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효과적이었고, 주의집중력과 정확한 원어민 발음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and apply online English nursery rhymes suitable for learning in the EFL environment as an effective listening instruction method, and to examine the effect on the listen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s of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o do so,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argeting 43 fourth graders of a public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a county area in Gangwon-do.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English listening ability 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test, and the questionnaire for affective domains was distributed,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who are visual learners and familiar with digital medi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listening in online nursery rhyme learning. Second, online English nursery rhyme-bas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ffective domains of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hat is, interest, confidence, immersion, motivation, and attitude. In particular, it was effective in arousing learning interest of participants and improving concentration of attention and understanding of pronunciation like native speakers.

      • KCI등재

        A Study on Elementary English Teachers’ Responses to Classes Using AI-Powered Application: Focusing on Odinga English

        윤택남(Tecnam Yoon),이경아(Kyung A Kelly Lee) 영상영어교육학회 2023 영상영어교육 (STEM journal)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ponses of English teachers to utilizing an AI-based interactive application, Odinga English. To determine their views, a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four English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application consisted of fun elements with graphics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In addition, learners improved their self-confidence by solving problems on their own. Second, the design and interface of the application were appealing to young learners, an important point as both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play an important role when lower-grade students are learning with a new tool. Third, the adaptation of the educational application wa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familiar with using technology to learn. Lastly, each learner received individual feedback on their speaking and pronunciation.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use of the AI-based application was positive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learners. Above all, it was effective in increasing learning interest and confidence, which are important for elementary school learners. It was also positive in improving learners’ speaking and pronunciation skills through customized feedback.

      • KCI등재

        다문화 기반 초등영어교육에 관한 예비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윤택남(Tecnam Yoon),최가영(Ga Young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초등교사들의 인식과 가치관을 파악함으로써 바람직한 다문화 기반 초등영어교육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립 C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6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연구 문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들의 다문화교육 기반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가치관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초등학생의 전반적인 이해도가 상당히 높았으며, 초등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들의 다문화 기반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에 따라 개인적 변인(성별, 학년, 전공)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학년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으나 성별에 따른 다문화 교육 기반 영어교육의 인식과 가치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근소하게나마 높게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인식도에 있어서는 과학과와 체육과 학생들이 각각 평균값 4.13, 4.49로 영어과 학생들(3.87)에 비하여 다문화교육기반 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다문화 교육 유무와 개인별 변인(성별, 학년, 전공)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다문화 교육 유무와 성별에서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냄으로써 두 변수 간의 관계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문화 교육 유무와 학년에 따른 연관성에서는 유의수준이 p<.05보다 작으므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다문화 교육 유무와 전공별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확률의 값이 .044로 서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re-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surveyed 63 pre-service teachers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using an online survey. A quantitative method is used in order to collect and analyze data.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pre-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stand at a considerably high level in their overall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tudents and clearly recognize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Second, concerning the difference that the personal variables of gender, grade, and major make in the subjects’ perception of English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education, grad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gender and major are responsible for a slight difference. Third, an analysis was mad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having or not having receive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personal variables of gender, grade, and major, yielding the following results: Gaining or not gaining multicultural education does not correlate with gender, but does significantly with grade and major.

      • KCI등재

        인포그래픽 활동을 통한 초등영어 학습의 효과 분석

        윤택남 ( Yoon Tecnam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2 외국어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포그래픽을 활용한 수업정리 활동이 초등영어학습자들의 영어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영어학습자 45명을 대상으로 4주간의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주요 연구도구로는 영어능력 검사지, 정의적 영역 설문지와 학생 성찰일지가 활용되었다. 인포그래픽을 활용한 처치반과 교과서 기반의 일반적인 수업을 진행한 통제반과의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영어능력 검사지를 통해 살펴본 두 집단 간의 사후 점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인포그래픽을 활용한 처치반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만 독립 표본 t-검정 결과 두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각 집단 내 영어능력의 변화 추이를 대응 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처치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어 인포그래픽 기반 활동이 초등영어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흥미도, 자신감, 동기, 학습태도, 자기주도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 흥미도와 동기, 자기주도적 참여면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내 정의적 영역에 대한 변화를 대응 표본 t-검정을 통해 살펴본 결과, 처치반에서 흥미도와 자신감, 동기 및 자기 주도적 참여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성찰일지를 통해 참여자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인포그래픽 기반 활동이 수업에 대한 지식과 정보 확장 측면, 협동심과 배려, 영어 학습에 대한 관심과 흥미 유발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infographic activity on the English ability and affective factors in a primary English class. To meet these goals, a 4-week case study was administered with 45 primary ELLs. An English proficiency test, a survey on affective domains and a reflective journal, as a focal research instrument were utiliz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were revealed as follows. First,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higher mean score in the post-English proficiency test than the control group, whil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independent t-tes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eatment group in paired samples t-test. Second, as for the affective domains(interest, motivation, self-directedn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esid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est, confidence, motivation, self-directedness in the treatment group in paired samples t-test. Lastly, the analysis of the reflective journal illustrated three key themes of the infographic activity such as the expansion of the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 escalation of the cooperation and consider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interest and motivation for learning.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말하기 학습이 초등영어학습자들의 정의적 특성과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윤택남(Tecnam Yoon),이승복(Seungbo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9

        본 연구의 목적은 AI 스피커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수업과 활동이 초등영어학습자들의 정의적 특성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총 46명의 초등영어학습자가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지를 사전-사후 배포하여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I 기반 영어 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관련 수업 후 AI 기반 활동의 교육적 장점과 효능에 대한 인식이 넓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AI 기반 영어 말하기 활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사전대비 사후의 평균값이 상승하고 대응표본 t-검정 결과 흥미도, 가치관, 태도 영역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AI 활용 영어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실험 전에 비해 평균 만족도가 상승하고 특히 효능감, 학업성취감 및 몰입도면에서 높은 상승을 보였다. 끝으로 AI 기반 영어 학습의 만족도과 정의적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AI 기반 영어 학습에 대한 만족도는 학습자들의 자신감, 흥미도, 태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y effects of primary English language learners’ affective factors and satisfaction through AI-based speaking activity.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a total number of 46 ELLs from a public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Survey questionnaire on affective factors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distribu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could expand their knowledge on AI-based activity towards its educational advantages and capability. Second, overall affective factors of the participants on AI-based activity changed positively, with the improvement of the mean score. The paired samples t-tes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interest, value and attitude. Third, the satisfaction degree on AI-based learning escalated, particularly in the sense of 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involvement. Lastly, it was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degree was correlated with learners’ self-confidence, interest and attitude.

      • KCI등재

        아동문학을 통한 초등영어 지도방안 -주석기반읽기활동을 중심으로-

        윤택남(Yoon, Tecnam)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학습자를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해 필요한 요인 분석을 통해 아동문학 기반 활동의 효과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강원도 B 소재 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 총 13명을 실험반으로 구성하고 총 14주 걸쳐 선정된 아동문학 작품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전 설문을 통해 학생들의 개별화 학습 선호도, 수업 관련 언어 기능별 선수 학습, 교실영어 이해도, 아동문학 활용 학습 방법 탐색, 수업 관련 내용 이해도 점검을 조사하였으며 설문결과 분석 후 5학년 영어전담교사와 설문조사에 드러난 학습자들의 특징을 토대로 아동문학을 활용한 영어지도 방안을 구현하였다. 지도는 주석기반읽기 활동과 워드클라우드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 참여자들의 수준과 성격을 고려하여 학생 간 서로 협업하여 진행 할 수 있고 의사소통능력 향상은 물론, 영어 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흥미도와 몰입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요소를 지닌 활동에 초점을 두었다. 실험결과 아동문학 활용과 주석기반읽기 활동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율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끝으로 추후 연구와 관련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ing elementary English class through children’s literature with close reading annotation. In order to figure out any potentials, 14-week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in a local elementary school in Gangwon province. A number of 13 students were engaged in and 9 selected English literature for young learners was utilized. Prior to the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administered to seize the perspectives of the focal participants toward English learning. The survey was composed of 11 questions and questioned about learning preference, language proficiency to four skills(reading, writing, listening, speaking), degree of understanding classroom English, standpoint for using children’s literature, and degree of understanding English lesson. After collecting the results from the participants, the data was analyzed and used as a resource to create ‘how to teach English through children’s literature’. As a main activity, both close reading annotation and wordcloud were proposed and conducted in reading class. sFindings show that close reading annotation and wordcloud has potential to ELLs by shedding light on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 KCI등재

        음성대화처리기술 기반 In-Class 앱을 활용한 초등영어학습자의 반응 연구

        윤택남 ( Yoon Tecnam ),홍선호 ( Hong Sunh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특별호2

        본 연구에서는 음성대화처리기술 기반 In-Class 앱을 활용한 초등영어학습자의 반응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5학년 초등영어학습자 7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설문지를 통하여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우선, 음성대화처리기술을 활용한 수업은 초등영어학습자들의 인식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전과 사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n-Class와 같은 음성대화처리 기술의 활용이 영어 학습자들에게 학습효과를 제고하고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유용한 방법임을 시사 한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음성대화처리기술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영어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바, 자신감, 태도, 몰입도, 가치, 동기, 흥미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자신감과 동기도, 그리고 흥미도 면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끝으로 음성대화처리기술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영어학습자들의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본 결과, 만족도 하위항목 가운데 효과성을 비롯한 모든 항목에서의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학업의 효과성, 성취도, 의지 면에서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위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해 음성대화처리기술 기반의 영어 학습은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와 활용 가능성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초의사소통능력 신장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ponses of the primary ELLs’ recognition, affective factors and learning satisfactions towards VRC(Voice Recognition Technology)-based English learning.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72 young ELLs enrolled in the fifth grade at B elementary school in Gangwon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as a main research instrument was administer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after collecting. The results show as follows: First, English lessons with VRC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calating young ELLs’ overall recognition.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survey on the recognition, which means VRC helped young ELLs gain educational effects and concentration. Second, English lessons with VRC changed young ELLs’ affective factors, such as self-confidence, attitude, value, motivation and interest, positively as time went.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onfidence, motivation and interests. Lastly, the improvement of learning satisfaction appeared, particularly in the pedagogical effectivenes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iveness, achievement and willingness. To sum up, it can be concluded that English learning with VRC has positive effects and merits on young ELLs’ educational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atisfaction.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to be addressed.

      • KCI등재

        온라인 텅 트위스터 활동이 초등영어학습자의 발음 및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윤택남(Yoon, Tecnam),김병선(Kim, Byungsun)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1 No.2

        본 연구는 텅 트위스터의 교육적 효과에서 불구하고 국외 연구에서와 달리 국내연구가 미흡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온라인상에서 자기 주도적 텅 트위스터 활동이 초등영어학습자들의 영어 발음과 말하기 그리고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37명의 5학년 초등영어학습자들을 대상으로 Ghani(2018)가 연구에서 소개한 방법으로 텅 트위스터 활동을 수행하게 한 후 말하기 테스트 점수 추이와 정의적 영역 중에서 자신감, 흥미, 태도를 중심으로 설문을 통해 사전, 사후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텅 트위스터 활동이 문법, 어휘, 유창성, 발음, 엑센트를 포함한 영어 말하기 시험에서 전체적으로 평균값이 상승하였으며, 특히 유창성과 발음, 엑센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텅 트위스터 활동은 자신감과 흥미 그리고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는데, 특히 태도 측면에서 비약적인 상승이 나타났다. 셋째, 발음과 말하기 능력 향상과 정의적 특성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발음, 유창성, 엑센트와 정의적 특성 간 높은 정의 상관성이 드러났지만, 문법과 어휘는 정의적 특성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 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Despite the educational effect of tongue twister,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fact that domestic research was insufficient, unlike foreign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online tongue twister activities on pronunciation, speaking skills and affective factors of Korean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o this end, 137 of 5th grade elementary English learners were asked to perform tongue twister using the method introduced in the study by Ghani (2018). And the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peaking performance of pre- and posttest a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cusing on confidence, interest, and attitu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tongue twister activity showed an overall increase in the average scores in the English speaking test including grammar, vocabulary, fluency, pronunciation, and accent. In particula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uency, pronunciation, and accent. Second, the tongue twister activit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elf-confidence, interest, and attitud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improvement in pronunciation and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factors, high definitional correlations between pronunciation, fluency, accent and affective factors were revealed, but grammar and vocabulary had no correlation with affective factors. Finally, educational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