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재판소의 알 권리 결정에 대한 비판적 분석

        윤철수(Cheol Soo Yun),김경호(Gyong Ho Kim) 한국언론법학회 2010 언론과 법 Vol.9 No.2

        본 연구는 1988년 헌법재판소가 설립된 이래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국민의 기본권으로서의 알 권리 침해 사례를 통하여 알 권리에 대한 헌법적 근거 및 주체와 범위, 헌법소원 대상이 된 법률 등을 고찰하면서 결정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헌재 결정 중 알 권리가 중요한 쟁점이 되었거나 또는 알 권리 논의의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었던 41건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알 권리를 국민의 기본권으로서의 헌법적 지위를 분명히 명시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대상범주나 제한적 요소 등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논란이 되고 있었는데, 사회적 약자 층인 청각장애 선거인들이 수화방송을 의무화하지 않은 것에 대한 헌법소원의 결정과 군사기밀보호법 관련규정과 관련한 결정에 있어서는 소극적 해석을 하는 한계를 보였다. 대상영역에 있어서는 종전에는 접근 가능한 정보원, 특히 국가 기타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만을 대상으로 삼았던 반면, 최근에는 공공기관 외의 사안에 대해서도 알 권리가 인정되는 사례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알 권리, 나아가 표현의 자유 영역에 있어 제한적 요소는 그것을 기밀로 하지 아니하면 현실적인 위험이 초래될 것이 명백한 경우에 한정되어야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onstitutional foundation of the right to know by analyzing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s. The research reviewed 41 cases on which the Court has dcided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88.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urt recognized the right to know as a constitutional right of an individual. This study also found that private areas as well as public ones have recently become the subjects to constitutional suits. However, some decisions of the Court have raised public debates due to their conservative interpretations of laws. The decision on the election law that did not compel the sign-language broadcast for hearing-impaired voters is one suitable example. In conclusion, legal limitations or sanctions on the right to know should not be imposed unless the subject expression can cause a clear and present danger.

      • Ordovician cephalopods from the Jigunsan Formation, Taebaek-Yeongwol, Korea

        Cheol-Soo Yun(윤철수) 한국고생물학회 2011 고생물학회지 Vol.27 No.2

        두족류 화석은 태백층군의 오르도비스기 지층 중 직운산층에서 가장 풍부하게 산출된다. 직운산층에서 산출된 두족류 화석은 총 23속 51종으로 분류되었다. 그 중에는 12개의 새로운 분류학적 명칭으로 1개의 신속과 11개의 신종을 제안한다. 신속은 Filispyroceras이며, 신종은 다음과 같다: Endoceras depressum, Michelinoceras subannulatum, M. maiandros, Centroonoceras sesongense, Troedssonella maggolense, Stereoplasmoceras fusiforme, S. jigunsanense, Diestocerina sangdongensis, Ormoceras yangi, O. tanabei, Stolbovoceras unilocularis. 51종의 두족류화석에 근거하여 직운산층은 다음과 같이 3개의 군집대로 나누어진다: (1) Holmiceras coreanicum - Sactorthoceras makkolense대, (2) Kotoceras grabaui - Wennanoceras subchikunense대, (3) Ormoceras yangi - Ormoceras tanabei대. 이 3개의 군집대는 각각 암층서학적으로 직운산층의 하부, 중부, 상부 층원에 해당한다. 그리고 小林貞一에 의해 막골층의 상부에서 기설정된 Sigmorthoceras대은 거화석대에서 폐기하고 상부에 있는 직운산층의 하부 층원에 설정한 새로운 군집대인 Holmiceras coreanicum - Sactorthoceras makkolense대로 전속시킨다. 직각석류와 내각석류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직운산층 두족류 동물군은 주각석류가 대부분인 중국 북동부(길림 지역)의 그것과는 완전히 다른 양상을 보인다. 직운산 두족류는 북중국과 발틱-스칸디나비아 지역의 두족류와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여준다. 북중국의 황하동물군은 본 지역의 13속의 두족류를 공유한다. 특히 두 지역에서 현지성인 Kotoceras, Centroonoceras, Leptoplatophrenoceras, Stereoplasmoceras, Wennanoceras 등의 공통 산출은 그들간에 생물학적 유사성을 보여준다. 노르웨이, 오슬로 지역과 발틱해 인근에서 산출된 중기 오르도비스기 두족류 동물군은 Sactorthoceras, Stereoplasmoceras와 많은 lituitids로 구성되며 그 중 11속은 직운산 동물군과 공통이다. 두족류화석에 근거한 직운산층은 북중국의 Lower Majiagou층과 남중국의 Upper Dawan층과 잘 대비되며, Darriwilian 시대에 해당한다. 또한 직운산층은 러시아 시베리아평원의 중기 오르도비스기 지층인 Krivolutsky층과도 동시대이다. The Ordovician Jigunsan Formation of the Taebaek Group yields very abundant cephalopod fossils. The cephalopod fauna from the Jigunsan Formation consisting of 51 species belonging to 23 genera is systematically described. Twelve new taxonomic names are proposed, including one new genus and eleven new species: they are Filispyroceras n. gen., Endoceras depressum n. sp., Michelinoceras subannulatum n. sp., M. maiandros n. sp., Centroonoceras sesongense n. sp., Troedssonella maggolense n. sp., Stereoplasmoceras fusiforme n. sp., S. jigunsanense n. sp., Diestocerina sangdongensis n. sp., Ormoceras yangi n. sp., O. tanabei n. sp., and Stolbovoceras unilocularis n. sp. The cephalopod fossils of the Jigunsan Formation provide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three assemblage zones in ascending order: i.e., (1) the Holmiceras coreanicum - Sactorthoceras makkolense Assemblage Zone, (2) the Kotoceras grabaui - Wennanoceras subchikunense Assemblage Zone, (3) the Ormoceras yangi - Ormoceras tanabei Assemblage Zone. These cephalopod biozones roughly correspond to the lower, middle, and upper members of the Jigunsan Formation. The Sigmorthoceras Zone previously recogniz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ggol Formation should be rejected from the macrofossil zones and is transferred to the lower member of the overlying Jigunsan Formation as a new name, Holmiceras coreanicum - Sactorthoceras makkolense Assemblage Zone. The Jigunsan cephalopod fauna characterized by orthoceroids and endoceroids differs entirely from that of northeast China which is dominated by actinoceroids, but shows an affinity with those of North China and the Balto-Scandinavia region. The Hwangho fauna in North China shares 13 genera with this fauna. Especially, the co-occurrence of Kotoceras, Centroonoceras, Leptoplatophrenoceras, Stereoplasmoceras, and Wennanoceras in both regions strongly supports a biogeographic affinity between them. The Middle Ordovician cephalopod faunas of the Oslo region, Norway and the Baltic Sea comprise many lituitids, some Sactorthoceras, and Stereoplasmoceras, in which 11 genera occur in the Jigunsan fauna. The Jigunsan Formation based on cephalopods is well correlated with the Lower Majiagou Formation of North China and Upper Dawan Formation of South China, indicating a Darriwilian age. In addition, the Middle Ordovician Krivolutsky Formation of Siberian Platform, Russia is coeval with the Jigunsan Formation.

      • 경상분지에서 발견된 백악기 파충류 이빨화석

        윤철수(Cheol-Soo Yun),백광석(Kwang-Seok Baek),정영현(Young-Hyeon Jeong) 한국고생물학회 2007 고생물학회지 Vol.23 No.1

        경상분지(중생대 백악기) 내에 있는 5곳의 화석산지에서 공룡이빨5점, 익룡이빨2점, 악어이빨5점, 총 12점의 파충류 이빨화석이 발견되었다. 그 중 수각류 육식공룡이빨화석은 톱날구조가 잘 발달해 있으며, 특히 티라노사우루스과로 동정된 이빨은 다중톱날구조를 가진다. 용각류 이빨의 마모 상태로 보아 이들은 거친 식물의 섬유질을 다량 섭취한 것으로 추정된다. 악어이빨 화석의 표면은 세로방향의 줄무늬, 톱날구조를 가진다. 특히 악어턱뼈 화석(KPE40005)은 표면에 불규칙적인 홈이 발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2001년에 이어 새롭게 발견된 익룡이빨은 백악기 한반도에 서식했던 태로닥틸로이드 익룡의 정체를 밝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들화석들은 신동층군이 퇴적되던 시기에 다양한 파충류들이 하천과 호수환경에 서식하였음을 지시한다. Total 12 reptile teeth including five dinosaur teeth, two pterosaur teeth and five crocodile teeth are discovered from five fossil localities which are corresponding to the Hasandong and Dongmyeong formations in the Gyeongsang Basin (Early Cretaceous). Among these reptile teeth, theropod dinosaur teeth have well-developed sharp serrations and one tyrannosaurid tooth is characterized with multiple serrations, The worn pattern of sauropod dinosaur teeth imply heavy mastication of tough plant fibers. The crocodilian tooth (KPE40005) was found in situ with an incomplete lower jaw. Crocodilian teeth are characterized by the serrations and longitudinal lines. Another discovery of new pterosaur teeth could provide a clue of pterodactyloid pterosaurs lived in Korea. These fossils indicate that various reptiles such as dinosaurs, pterosaurs, and crocodiles lived together in fluvial and lacustrine environments during the deposition of Gyeongsang Super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