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 상황에서의 사회적 하나님 연구 : 삼위일체론 해석에 따른 차별 극복 방안을 중심으로

        윤정안 감리교신학대학교 목회신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세계적인 다문화 상황에서 차이를 차별의 조건이 아닌 다양성과 풍성한 문화적 자산으로 이해하고 화합할 수 있도록, 기독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은 현대 사회의 윤리적 삶의 원리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기독교의 가장 근본 교리라 할 수 있는 삼위일체론이 말하고 있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 안에 현대 다문화 사회의 차별과 갈등을 극복할 윤리적 대안이 있음을 주장한다.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은 예수와 초대교회가 가졌던 삼위일체의 내용을 잘 이해하고 기독교의 정체성을 회복할 때, 그동안 우리의 신앙적 삶과는 동떨어져 있었던 삼위일체론을 삶 속에서 적용할 수 있다. 우리가 삼위일체 하나님의 자유롭고 인격적인 사랑의 사귐 안으로 들어간다면 세계를 창조하신 사회적 하나님의 삶의 방식을 배울 수 있고, 서로를 향한 책임 의식을 가지고 다문화 이웃을 함께 구원을 이룰 생명의 공동체로 초대할 수 있다. 논문은 이와 같은 공적이고 사회적인 공동체적 삶을 위해 몰트만, 보프, 라쿠나, 지지울라스 등이 삼위일체론에서 발견한 관계 지향적, 책임적, 인격적, 상호 소통적인 하나님에 대한 현대 신학적 해석들을 소개하며, 다문화 사회의 현대인들이 세계의 변화와 회복을 실천하는 사회적 하나님의 삶이 되어야 할 것을 제시한다. 하나님과 그리스도와 성령의 관계 안에, 기독교 공동체뿐 아니라 인류와 세계의 모든 이웃들이 추구해야 할 영원한 생명과 연합의 페리코레시스적 삶, 즉 구원의 성례전적 공동체가 추구해야 할 삶의 모습이 담겨있는 것이다.

      • 고전소설의 여성 寃鬼 연구

        윤정안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paper studies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female ghosts that appear in Korean classic novels. It explores the functions of the subject matter of female ghosts in the novels, and the aspects and meanings of changes. Ghosts refer to spirits that could not leave this life and remain in this world because of their wrongful deaths. Ghosts have been discussed for several times in research on Pilgi and Yadam. However, in a number of studies of novels, they either were treated as peripheral to male characters, or failed to draw attention even when they were the main characters because they were “ghosts”. Ghosts in novels should not be taken lightly though, because they play a leading role in narration and place meaning to the works. Ghosts belong to the world of fantasy, not reality. The role of fantasy is to unveil what has been concealed in reality and to reveal real-life problems. In that sense, ghosts, who fall into the category of fantasy, are the ones who show hidden problems of the reality. Moreover, ghos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reality as they were created because of problems in the real life. This demonstrates that ghosts may serve as a window through which we can peek at the real-life issues. Ghosts that make appearances in classic novels are usually female. Instead of trying to dissolve their grudges by themselves, they always appear before someone who will assist them, or a helper, and complain of an injustice. They try their grudge dissolution by triggering the desire in the helper or catching him on his deficiency. With this in mind, the study of ghosts in classic novels should start by looking into the details of what the ghosts have to say and the process of grudge dissolution. Moreover, studies on the helpers are essential as the ghosts always go through them. Based on these premises, Chapter II examines the definition of ghosts, why it matters that the ghosts are “female,” the starting point of female ghosts, and their narrative function. This paper intends to differentiate the concept of ghosts by comparing it with that of “inauspicious spirits” defined in Confucianism. Ghosts and inauspicious spirits are similar in that they were created from wrongful deaths, but as for ghosts, the focus is on how they got to hold grudges and how they reveal problems prevailing in the reality. In contrast, inauspicious spirits are defined as those that have not got any commemorative rites by their descendents and their concept was made to include all the sprits born in irregular natural phenomena into the rules of Confucianism. Against this backdrop, ghosts may be utilized as a channel to explain things that cannot be explained with the Confucian principles. Why are the ghosts female? Deceased women chose to be ghosts to be granted an opportunity to raise their voice despite their socially vulnerable position. Women were always the weak even if they were from the ruling class. In particular, women in Joseon Dynasty, the period when Neo-Confucianism was introduced and patriarchy was settling down, had no choice but to remain in the margins. That was why they could not speak up against any injustice they experienced. However, these victimized women recovered their lost voices as they became ghosts, and they got to reveal and resist wrong social orders established in the reality. The first narrative literature in which ghosts are found is considered to be Chinese Supernatural Tales in the Six Dynasties. In Korean narrative literature, the evidences of ghosts are found in the stories of Mil-bon-choi-sa (密本摧邪), Do-hwa-nyeo and Bi-hyeong-rang(桃花女鼻荊郞), Chi-kui (志鬼) from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and the stories of Soo-sap-seok-nam (首揷石枏) and Choi Chi-won (崔致遠) from Soo-ih-jeon (殊異傳). In particular, Choi Chi-won (崔致遠) is a model of the female ghosts narratives in classic novels. The two ladies in the novel died while being disgruntled at their marriages, which is in common with the ghosts in classic novels who faced their death filled with grudges. In addition, they did not go to the afterworld and made appearance before Choi Chi-won to dissolve their grudges. Therefore, it is safe to say that the subject matter of female ghosts in classic novels started from the novel Choi Chi-won (崔致遠). Female ghosts talk about how they feel they have been wronged, try to dissolve grudge and expose what they have been through is wrong. In particular, they always complain of an injustice to helpers and show the story behind how they turned into ghosts. In other words, the most important reason behind their appearance is to let others know about the unfairness they experienced. This exposure reveals problems in the society, which can win the sympathy of the readers because the problems are those of the living as well as of the ghosts. These stories of ghosts are chosen as a material for narration to disclose the problems of humans via ghosts, not because unfair incidents were frequented, but because the conditions for discovering the stories were satisfied. In this sense, ghosts are a type of analogy; the details of their stories or their methods of grudge dissolu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exposed problems. It is especially problematic that the novels put up female ghosts. The detailed analysis on different social problems revealed in different works is carried out in Chapters III and IV. Chapter III analyzes the features of female ghosts appearing in jeon-gi novels. Firstly, the female ghosts in Man-bok-sa-jeo-po-ki (萬福寺樗蒲記) and Lee-seng-kyu-jang-jeon (李生窺墻傳) died while trying to protect their chastity during wars. In these novels, the ghosts made an issue of their tragic love that could not be realized because of their deaths, instead of the cause of their deaths. They upheld the Confucian value of chastity with their death, but as a result, they could not lead a normal life as ordinary women. That is why they became ghosts. They appeared before Yang-saeng and Lee-seng, respectively, and became engaged in romantic relationships with them. After some time, however, they passed onto the next life with sorrow and failed to dissolve their grudge. Chastity and an ordinary life of a woman is a dilemma that cannot stand together. Although the novels brought up a question asking which of the two Confucian duties – chastity and an ordinary life of a woman – is more valuable, they could not find the answer. They reserved the answer by ending with a conclusion that ghosts went to the afterworld. In the sense that women’s chastity is an analogy to men’s loyalty, Man-bok-sa-jeo-po-ki (萬福寺樗蒲記) and Lee-seng-kyu-jang-jeon (李生窺墻傳) may be understood as literary works asking a question about Confucian values. In the story of Ha-saeng-gi-woo-jeon (何生奇遇傳), the ghost felt it to be unfair that she died because of her father’s fault. Then, when her father engaged in a Confucian act, she was given a chance to revive. After her revival, as her father intended to dishonor the promise to marry her daughter to Ha-saeng to save his face, she persuaded her father to keep the promise naming chastity and faith as the reasons. As such, in Ha-saeng-gi-woo-jeon (何生奇遇傳), a non-Confucian act resulted in misfortune, but a Confucian act transformed misfortune into happiness. Therefore, this story can be considered as a work presenting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a Confucian society via a female ghost. Here comes a dilemma, though: men, who were the main body of the Confucian society, were unable to realize Confucian values by themselves, but they did so by mediating the desires of female ghosts. In this regard, the problems of the Confucian society suggested in Ha-saeng-gi-woo-jeon (何生奇遇傳) remain unaddressed. Prince Anpyeong in Woon-yeong-jeon (雲英傳) seem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person in maintaining the order of Confucianism as he tried to make Soo-seong-kung a place of the Confucian utopia. At the same time, he went against the order by teaching poetry to court ladies, who were considered unqualified for the training of Confucianism. Prince Anpyeong was therefore a marginal man in a Confucian society and Soo-seong-kung was an isolated space that hid the existence of court ladies. Other characters of the novel, including Woon-yeong, accepted a sexual desire of men and women as something natural and affirmed the love between Woon-yeong and Official Kim even though they practiced Confucianism. Unfortunately, when their love became known to the outside of Soo-seong-kung, and Woon-yeong had to die for violating the Confucian order. Since she could not accept it, she appeared before You-young and complained of an injustice to him. The appearance of Woon-yeong as a ghost constitutes revelation about and a resistance against an absolutized ideology of Confucianism, as well as a skepticism about the Confucian ideology. Chapter IV presents the features of female ghosts in Korean Novels, in which the female ghosts were born because of family conflicts and played a role of bringing contradictions in family systems to light. Jang-hwa-hong-ryen-jeon (장화홍련전) and Kim-in-hyang-jeon (김인향전) talk about the conflicts between daughters of their father’s former wives and their stepmothers. The stepmothers falsely accused their stepdaughters of losing their chastity and the fathers, who believed such accusation to be true, killed their daughters to uphold the honor of their families. Then, the dead daughters became ghosts and presented themselves in this world. Instead of personally engaging in revenge, they appeared before their county magistrate to tell their stories and succeeded in the revenge. Such indirect revenge represents that the daughters regarded the recovery of their damaged reputation as more important than the revenge itself. These revival tales show the conditions for a happy life for a woman. In Jeong-eul-sun-jeon (정을선전), Chuyeon was falsely accused of losing her chastity by her stepmother as in Jang-hwa-hong-ryen-jeon (장화홍련전) and Kim-in-hyang-jeon (김인향전), but an immediate cause of Chuyeon becoming a ghost was her husband Eul-sun’s distrust of Chuyeon’s chastity. After Chuyeon became a ghost, Eul-sun admitted his fault, which reversed their relationship. Such reversal was possible only because Chuyeon became a ghost. She was also granted a title by the emperor, which publicly untangled her resentment. Eul-sun made effort to find a cure to revive his wife, which makes him an ideal husband figure. Chuyeon revived thank to Eul-sun, only to be framed again for losing her chastity by Lady Jeong-ryeol. This time, however, Eul-sun trusted Chuyeon completely and solved the case, which is a depiction of an ideal husband. In Sook-yong-nang-ja-jeon (숙영낭자전), while Seon-gun, the husband of Sook-yong-nang-ja, showed absolute love and trust in her, she was in conflict with her father-in-law Baek-gong. Taking advantage of this conflict, Seon-gun’s concubine Mae-wol had Sook-yong-nang-ja be falsely charged of adultery while Seon-gun was away to take the state examination. Sook-yong-nang-ja was cleared of the false charge as her ornamental hairpin hit stone steps, but she committed suicide and became a ghost. She appeared in Seon-gun’s dream and told him about the unfairness she had experienced, hoping that the matter would be settled. Seon-gun revealed the whole story and punished the mastermind Mae-wol. Moreover, Seon-gun took over the position of his incompetent father Baek-gong, who had failed to solve the situation properly, and became a new head of household after winning the first place in the state examination. As the case was solved, Sook-yong-nang-ja revived like ghosts in other novels. Different versions of this novel describe her life after the revival from various angles. The emergence of these different versions constitutes the answers to the kinds of relationship with the in-laws in order to make Sook-yong-nang-ja happy. Chapter V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female ghosts appearing in classic novels based on the discussions made in previous chapters. All the female ghosts discussed in Chapters III and IV were found to be related to the value of chastity. They had to die to protect their chastity or because their chastity was damaged. This unfairness led the women to become ghosts, who then came back to this world to tell their stories and try to dissolve their grudges. Female ghosts are found in Pilgi and Yadam. However, they are different from the ghosts in classic novels in that they only play a secondary role in the process of showing the achievements of noblemen or are utilized as ways to exhibit outstanding abilities of noblemen. In other words, the stories of the female ghosts in classic novels serve as a core element to construct the significance of the novels as the narratives unfold around the complaints and grudge dissolution of the female ghosts. It is not that women with unjust experiences always make an appearance as ghosts in classic novels. The female characters that do not appear as ghosts simply wait until their feelings are released. On the contrary, the characters that became ghosts are more active in letting others know about their feelings of being wronged and in dissolving their grudges. In this regard, being a ghost allows a woman to speak up and act in a more active manner. Nevertheless, the women who became ghosts were all associated with chastity. They could become ghosts only when they had a problem related to chastity. An ironic situation occurs here: the more the ghosts cherish their chastity and talk about their feeling of unjustness to the living people, the more seriously the problems resulting from chastity come out. The issue of chastity seems to be solved through grudge dissolution, but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women had to die because of chastity are exposed through the complaints of female ghosts. Chastity was violent to women, and this violence became harsher towards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 existence of female ghosts implies a chance to expose the problem of chastity and overturn the reality. 이 논문은 한국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여성 寃鬼의 형상과 그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여성 원귀라는 소재가 작품 속에서 어떻게 기능하고 있으며, 그 변화의 양상과 의미는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원귀는 억울한 죽음으로 인해 저승으로 가지 못하고 이승에 남게 된 귀신을 의미한다. 원귀는 필기나 야담의 연구에서는 여러 차례 다뤄진 바가 있지만, 소설의 연구에서는 남성 주인공의 부차적인 존재로 다뤄지거나 주인공으로 등장하면서도 원귀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은 적이 거의 없다. 그러나 소설에 등장하는 원귀는 작품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차지하면서 서사를 이끌어나가면서 작품의 의미를 만드는 데 주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소홀히 다룰 수 없는 존재이다. 원귀는 현실이 아닌 환상의 영역에 속하는 존재이다. 환상은 현실에서 가려지고 은폐된 것들을 들춰내 현실의 문제들을 들춰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렇다면 환상의 영역에 속하는 원귀는 은폐된 현실의 문제를 드러내는 존재로 볼 수 있다. 더구나 원귀는 현실의 문제로 인해 발생했다는 점에서 현실과 밀접하게 연루되어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원귀가 현실의 문제를 엿볼 수 있는 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드러낸다.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원귀는 대체로 여성이며, 직접 해원을 시도하지 않고 반드시 원조자 앞에 나타나 하소연을 하며, 원조자의 욕망이나 결핍을 자극하여 해원을 시도한다. 그러므로 고전소설의 원귀에 대한 연구는 하소연의 내용과 해원의 과정을 살피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 또한 반드시 원조자를 거친다는 점에서 원조자에 대한 연구 역시 필수 요소이다. 이와 같은 전제에서 Ⅱ장에서는 본격적인 논의의 전제로서 원귀라는 용어의 개념, ‘여성’이 문제되는 이유, 여성 원귀의 출발점, 여성 원귀의 서사적 기능과 같은 것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원귀의 개념은 유교의 ‘厲鬼’와의 비교를 통해서 분명하게 드러내고자 했다. 원귀와 여귀 둘 모두는 억울한 죽음에서 발생했다는 공통점에서 비교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원귀가 원한을 가지게 된 이유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현실의 문제를 들추는 존재인 것과 달리 여귀는 제사를 받지 못해 발생한 존재로, 변칙적인 자연 현상으로 발생하는 귀신들을 유교의 법칙 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설정된 존재이다. 이런 점에서 원귀는 유교의 원리로만 설명되지 않는 혹은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을 드러내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 왜 원귀는 여성인가? 원귀는 사회적으로 약자에 해당하는 존재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원귀라는 존재가 되기를 선택한다. 여성은 비록 지배층의 신분이라 하더라도 언제나 약자였으며, 특히 성리학이 도입되고 가부장제가 정착되어 갔던 조선시대의 여성은 늘 주변부에 머물러야 했다. 그러므로 여성들은 억울한 일을 당해도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없었다. 그러나 이 억울한 여성들은 원귀가 됨으로써 잃어버린 목소리를 되찾아 현실의 질서가 잘못되었음을 폭로하고 저항할 수 있게 된다. 귀신의 모습을 서사 문학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은 중국 육조시대의 지괴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우리의 서사 문학에서는 ��삼국유사��의 <밀본최사>, <도화녀비형랑>, <지귀>, 그리고 ��수이전��의 <수삽석남>, <최치원>과 같은 작품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그 가운데 <최치원>은 고전소설의 여성 원귀 서사의 전형을 보여준다. <최치원>의 두 여인은 자신들의 혼사에 불만을 품고 죽었는데, 이것은 원한으로 인해 죽게 된 고전소설 속의 원귀와 상통하는 면이 있다. 또한 이승에 머물면서 최치원 앞에 나타나 해원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고전소설에서 여성 원귀라는 소재의 출발점은 <최치원>임을 알 수 있다. 여성 원귀는 자신의 억울함을 하소연하고 해원을 시도하면서 자신이 겪은 일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폭로한다. 특히 이들은 반드시 원조자를 통해 하소연을 함으로써 자신이 원귀가 된 사연을 노출하는 데서 원귀의 가장 중요한 등장 목적은 자신의 억울함을 알리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폭로를 통해 사회의 문제는 노출되는데, 이것은 원귀만의 문제가 아닐 산 자들의 문제이므로 공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원귀의 사연은 억울한 일이 빈출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이 발견될 조건이 마련되었기 때문으로, 원귀를 통해 산 자의 문제를 드러내기 위해 서사의 소재로 선택된 것이다. 그러므로 원귀는 일종의 우의인데, 어떤 문제를 드러내느냐에 따라서 억울함의 내용이나 해원의 방식은 다르다. 특히 여성을 원귀로 내세운다는 점에서 문제적인데, 작품마다 드러내는 사회적인 문제에 대한 분석은 Ⅲ장과 Ⅳ장을 통해 본격적으로 분석되었다. Ⅲ장에서는 전기소설에 등장하는 여성 원귀의 형상을 분석하였다. 우선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에 등장하는 여성 원귀들은 모두 전란에서 정절을 지키려다가 죽음을 당했으며, 이때 원귀들은 죽음의 원인보다는 죽음 때문에 이룰 수 없는 애정을 문제 삼았다. 죽음으로 정절이라는 유교적 가치를 지킬 수 있었지만, 그로 인해 평범한 아낙의 삶은 누릴 수 없었기에 원귀가 되어 각기 양생과 이생 앞에 나타나 애정 관계를 맺게 된다. 그러나 일정 시간이 흐른 뒤 슬픔을 머금고 저승으로 가게 됨으로써 해원은 실패하게 된다. 정절과 평범한 여성의 삶은 양립할 수 없는 딜레마의 문제인데, 절개와 평범한 여성의 삶이라는 유교의 도리 가운데 어떤 것이 더 가치 있느냐는 질문을 던졌으나 그 답을 구하지 못하고 원귀들이 저승으로 가는 결말을 통해 답을 유보하고 있다. 여성의 정절은 곧 남성의 충성과 유비된다는 점에서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은 유교의 가치에 대한 물음을 던진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생기우전>에서 원귀는 아버지의 잘못으로 죽었다는 점에서 억울하다. 그런데 아버지가 유교적인 행동을 하자 다시 살아날 기회를 얻게 된다. 또한 다시 살아난 원귀는 아버지가 체면 때문에 하생과의 혼인 약속을 지키려 하지 않자 정절과 신의의 문제를 들어 아버지를 설득한다. 이처럼 <하생기우전>에서 비유교적인 행동은 불행이라는 결과를 초래하지만, 유교적인 행동은 불행을 행복으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하생기우전>은 여성 원귀를 통해서 유교 사회의 문제와 해결책을 제시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유교 사회의 주체인 남성들은 스스로 주체가 되지 못하고 여성 원귀의 욕망을 중개하는 과정을 통해 유교의 가치를 실현시킨다는 점에서 딜레마적이다. 그런 점에서 <하생기우전>이 제기하고 있는 유교 사회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운영전>의 안평대군은 수성궁을 유교적 유토피아로 만들려고 하는 등 유교의 질서에 누구보다도 적합한 인물로 보이지만, 궁녀라는 유교 수련의 부적격자들에게 시를 가르침으로써 유교의 질서와 어긋나 있다. 이처럼 안평대군은 유교 사회의 경계인이며, 수성궁은 격리된 공간으로서 궁녀들의 존재를 은폐한다. 운영을 비롯한 <운영전>의 다른 등장인물들 역시 모두 유교를 수련하였음에도 남녀의 정욕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면서 운영과 김진사의 사랑을 긍정한다. 그러나 운영과 김진사의 사랑이 수성궁 외부로 알려지자 유교 질서를 위반한 대가로 운영은 죽어야만 했고, 이를 받아들일 수 없었던 운영은 유영 앞에 나타나 자신들의 억울함을 하소연한다. 원귀 운영의 등장은 유교의 절대화된 이념에 대한 폭로이자 저항이며, 이는 유교 이념에 대한 회의를 드러내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한글소설에 등장하는 여성 원귀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 작품들에서 여성 원귀는 가족 갈등에 의해 발생하며, 가족 제도의 모순을 폭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장화홍련전>과 <김인향전>은 전처의 딸들과 계모의 갈등을 다루고 있다. 계모는 전처의 딸들에게 정절이 훼손되었다는 누명을 씌우고, 이를 믿은 가부장이 가문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자신의 딸들을 처단한다. 그러자 전처의 딸들은 원귀가 되어 이승에 나타난다. 이들은 직접 복수하지 않고 고을의 부사 앞에 나타나 하소연을 하고 복수에 성공한다. 간접적인 방식의 복수는 전처의 자식들이 복수보다는 명예의 회복을 더욱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들은 재생담을 통해 여성으로서의 행복한 삶의 조건을 보여준다. <정을선전>에서 추연은 <장화홍련전>이나 <김인향전>에서처럼 계모의 모해로 정절이 훼손되었다는 누명을 쓰게 되지만, 추연이 원귀가 되는 직접적인 원인은 남편인 을선이 추연의 정절을 의심했기 때문이다. 원귀가 된 추연은 을선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데, 이를 통해 부부 관계가 역전된다. 이 관계의 역전은 추연이 원귀가 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또한 황제의 직첩을 받게 되는데, 이를 통해 공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억울함을 해소한다. 을선은 추연의 회생 약을 구하기 위해 노력하는데, 이상적인 남편의 모습이다. 추연은 을선 덕분에 재생하는데, 정렬부인에 의해 다시 정절이 훼손되었다는 누명을 쓰게 된다. 그러나 이때 을선은 추연을 절대적으로 믿고 사건을 해결함으로써 이상적인 남편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숙영낭자전>에서 숙영낭자는 남편인 선군이 절대적인 사랑과 신뢰를 했던 것과 달리 시아버지인 백공과는 갈등 관계에 놓인다. 이 갈등을 이용해 선군의 첩인 매월은 선군이 과거를 보러 간 사이 숙영낭자가 간음했다는 누명을 쓰게 만든다. 섬돌에 꽂힌 옥잠으로 인해 누명은 벗겨지지만, 숙영낭자는 자살을 하고 원귀가 되어 선군의 꿈에 나타나 억울함을 호소함으로써 사건의 완전한 해결을 시도한다. 선군은 사건의 전말을 밝혀내어 사건의 주모자인 매월을 처단하고, 사건을 제대로 처결하지 못한 무능한 백공을 대신하여 장원급제를 한 선군이 새로운 가부장이 된다. 사건이 해결된 이후 숙영낭자는 다른 작품의 원귀들처럼 재생을 하게 되는데, 이때 이본들은 다양한 각도에서 재생 이후의 삶을 그린다. 이 다양한 이본의 출현은 시댁과의 관계가 어떠해야 숙영낭자가 행복한가에 대한 답에 해당한다. Ⅴ장에서는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여성 원귀의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Ⅲ장과 Ⅳ장의 논의를 통해서 살펴본 여성 원귀들은 모두 정절이라는 가치와 연루되었다. 이들은 정절을 지키기 위해, 혹은 정절이 훼손되었다는 이유로 죽어야만 했다. 이 억울함으로 인해 여성들은 원귀가 되어 이승으로 돌아와 하소연을 하고 해원을 시도하였다. 여성 원귀는 필기나 야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등장하는 여성 원귀들은 남성 사대부의 행적을 드러내는 과정에서 보조적으로 등장하거나 남성 사대부들의 뛰어난 능력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고전소설의 원귀와는 사정이 다르다. 필기와 야담에서 여성 원귀의 이야기는 남성 사대부를 드러내는 수단으로 활용된 것과 달리, 소설에서는 여성 원귀의 하소연과 해원을 중심으로 서사가 전개되면서 원귀의 사연이 작품의 의미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활용된다. 고전소설에서 억울한 사연을 가진 여성은 언제나 원귀로 등장하는 것은 아니다. 원귀로 등장하지 않는 여성은 그저 자신의 억울함이 해소될 때까지 기다릴 뿐이다. 그러나 원귀가 된 여성은 자신의 억울함을 알리고 해원을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인다는 점에서 원귀라는 존재는 여성이 적극적으로 말을 하고 행동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원귀가 되는 여성들은 모두 정절과 관련되어 있었다. 여성은 정절과 연관되었을 때 원귀가 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들은 정절을 소중히 여기면서 자신의 억울함을 이승의 사람들에게 말할수록 정절로 인한 문제는 더욱 심각하게 드러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진다. 겉으로는 해원을 통해 정절의 문제가 봉합된 듯 보이지만, 정절로 인해 여성이 죽어야 했던 정황은 여성 원귀의 하소연을 통해 드러나기 때문이다. 정절은 여성에게 폭력적이며, 이 폭력성은 조선 후기로 올수록 더욱 가혹하게 작동한다. 그러므로 여성 원귀의 존재는 정절의 문제를 드러내면서 현실을 전복시킬 가능성을 내포한다.

      • 『장화홍련전』 연구

        윤정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장화홍련전」은 1656년 철산에서 있었던 실제 사건과 신원설화가 결합되어 탄생한 작품이다. 「장화홍련전」은 많은 이본이 있으며, 계모형 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으로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논의되었다. 「장화홍련전」은 17세기를 전후하여 벌어진 가족제도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계모의 위상 변화는 작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본고는 17세기 가족제도의 변화에 따른 계모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장화홍련전」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고자 했다. 또한 「장화홍련전」이 허구화되는 메커니즘을 Rene Girard의 ‘희생양’ 개념을 통해서 규명해보려 했다. 아울러 방각본의 환생담의 의미를 작품 전체와의 상관성 안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장에서는 「장화홍련전」의 이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실사와 설화가 결합하여 발생한 「장화홍련전」은 박인수본을 통해서 19세기 초 혹은 18세기 말에는 사건의 패러다임이 전동홀에서 장화·홍련으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이본의 양상을 작품의 결말에 나타나는 재생 모티프를 기준으로 재생담이 없는 이본과 재생담이 있는 이본으로 나누었다. 재생담이 있는 이본은 다시 재생의 방법에 따라서 부활과 환생으로 분류했다. 부활의 방법은 다른 소설들에서도 흔히 보이는 방식으로 「장화홍련전」의 독특함을 담보하지 못한다. 그러나 환생의 방식으로 장화와 홍련이 재생하는 것은 다른 소설에는 없는 매우 독특한 유형이다. Ⅲ장에서는 「장화홍련전」을 둘러싼 가족제도의 변화와 소설화의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장화홍련전」의 서술 초점은 계모에게 있다. 17세기 이후 가족제도는 종법제를 바탕으로 한 가부장제로 바뀌었고, 이에 따라서 계모의 사회적 조건이 변화하게 된다. 계모는 재혼 가정으로 ‘시집을 가게’ 되고 ‘어머니’의 지위를 획득하게 된다. 그러나 계모는 가족의 구성원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여기서 ‘희생양 메커니즘’은 작동한다. 즉, 가족 구성원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외부인으로 취급을 받으며, 폭력의 피해자가 되었을 때 복수를 할 수 없는 계모는 공동체가 폭력으로 물드는 것을 막기 위해 ‘희생양’이 된다. 계모는 모든 가정불화의 원인으로 지목되지만, 실상 그것은 변화된 가족제도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폭력을 환상적인 수법으로 해소하고 있을 뿐이다. 환생담의 의미 역시 이러한 희생양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전기적 구성의 완성, 그리고 권선징악이라는 고전소설의 문법을 완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이면에서는 계모가 없는 가정에는 아무런 불화도 발생하지 않는다고 말함으로써 여전히 계모에게 가정불화의 모든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 또한 결혼을 하는 여성들이 시댁에서 언제든 희생양이 될 수 있다는 불안을 친정과의 관계를 계속 유지하는 모습을 통해서 해소함으로써 희생양의 조건에서 빗겨가려는 당대 여성들의 소망을 반영하고 있다. JANGHWA-HONGRYEN-JON(장화홍련전) is the story which is made by mixing with the grudge tale and the actual event on Chulsan in 1656. JANGHWA-HONGRYEN-JON has many different editions and it is the most important work of the stepmother typed novel discussed by many researchers. JANGHWA-HONGRYEN-JON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change of the family system in 17th century off and on. Especially, the change of phase of the stepmother operates as a important element for understanding the story. Accordingly, this article tried to provide the first step to be able to understand JANGHWA-HONGRYEN-JON by going chase after the change of recognition of the stepmother as the change of the family system. Also, this article tried to find out the mechanism of fabricating JANGHWA-HONGRYEN-JON by the concept of Rene Girard's 'Scapegoat'. In addition, this article intended to examine the meaning of rebirth story of Banggakbon(방각본) in interrelationship of the whole work. In chapter Ⅱ, this article examined many different editions of JANGHWA-HONGRYEN-JON. The paradigm of the event on JANGHWA-HONGRYEN-JON which is united with a real event and a tale is changed to JANGHWA·HONGRYEN from Jeon, Dong-Hol(전동홀) at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or the end of the 18th century by Park, In-Soo(박인수) edition. With keeping in this view, the aspect of the different edition is divided into the one with regeneration and the other one without regeneration on a standards of the regeneration motif appeared in the conclusion of the work. The different edition is divided into resurrection and rebirth again by the method of regeneration. The method of resurrection can't guarantee the unique of JANGHWA-HONGRYEN-JON as the way showed commonly in other stories. However, the things regenerating by Janghwa and Hongryen is a very unique pattern which is not found in other stories. In chapter Ⅲ, there are discussion about the mechanism of the novelizing and the change of the family system surrounding JANGHWA-HONGRYEN-JON. The narration focus of JANGHWA-HONGRYEN-JON is on the stepmother. As The family system after 17th century was changed into a paterfamilias system based on clan rules, the social condition of the stepmother was also changed. The stepmother 'married into' the stepfamily and got the position of 'mother'. But she wasn't accepted as the member of the family. Scapegoat mechanism worked at this point. In other words, she looked as the member of the family but actually she was treated as outsider, and when she was the victim of the violence, she became the 'scapegoat' to protect the community from rampant violence who couldn't pay off. Stepmother was pointed out as all the cause of the family trouble, but actually it was nothing but dissolving the violence by fantastical technique which could be happened in the changed family system. The meaning of the rebirth story is also effected by scapegoat mechanism. Superficially, it looks as completion the fictional biographical construction and the descriptive grammar of the classic novel called promotion of virtue and reproval of vice. However, it says in the other side that there are no troubles in the family without stepmother, so it still shifts all the responsibility of the family trouble to the stepmother. Also, it reflects the wishes of the women those days who deflect the condition of the scapegoat by dissolving the anxiety - woman who get married can be the scapegoat at any time in the house of her husband - through keeping maintaining relations with the parents home of a married wo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