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행위주체로서의 유아 교구와 성역할 담론 간의 내부작용 탐구

        윤여주 ( Yoon¸ Yeojoo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0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에서 전통적으로 강조되어온 교구와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간중심적 관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기 위하여, 유아 교실의 옷 입히기 교구, 유아들, 성역할 담론 간의 관계성을 Karan Barad (2007)의 내부작용 (Intra-action) 이론을 통하여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미국의 한 대학부설 유치원에서 실시된 유아교실의 물질성에 관한 민족지학적 연구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였다. 내부작용 이론은 인간과 비인간인 모든 주체가 행위주체성과 능동성을 가진다고 보고, 이 주체들 간의 관계성에 시선을 맞추고 세계를 바라본다. 이에 따라 본 연구 역시 인간과 물질의 이분법적인 분류 및 위계적 분석에서 벗어나 물질, 즉 교구가 가지는 역동성과 교구를 둘러싼 교실 내외의 담론, 유아들, 교사, 시간, 공간 간의 내부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 교실 안에서 특정 발달적 목적을 가지고 유아들이 그것을 발견하여 배워주기를 기다리는 수동적인 물질로 여겨졌던 교구들이, 물질, 담론, 인간 간의 내부작용을 통하여 또 다른 내부작용을 만들어내며, 불확정성과 비결정성을 지닌 현상들을 발현하는 주체가 됨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 내부작용들은 끊임없이 변화되고, 이탈하고, 변형되며 유아의 놀이에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I draw upon Karan Barad’s (2007) theory of intra-action to understand the entangled relationship among Dress-up Dolls, children, and gender discourse and to re-examine the traditional meaning of material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The data on play incidents with Dress-up Dolls is excerpted from ethnographic study for materiality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The notion of intra-action rejects the hierarchical and categorical binary of human and non-human, but focuses rather on materials as active participants and performative agents. Based on this idea, in this study, the complex and dynamic intra-active process around the toy, children, stereotypically gender discourses, anti-gender-bias discourses in the classroom, time, and space are analyzed. Although the counter-heteronormative gender discourses worked as a norm in the classroom, all the matters including Dress-up Dolls, the discourses, children, teachers, and space and time were engaged in the children’s play in a different way. The play was shifted, transformed, and transgressed. This allows us to understand that toy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are not passive recipients of educational meanings that human provides, but instead, they involve in producing new possibilities of phenomena in the class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